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1. 연구의 목적 14
2. 연구의 필요성 18
제2절 선행연구 20
1. 중국 애니메이션 서사 연구 20
2. 민속학 관점의 중국 애니메이션 연구동향 26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5
1. 연구의 범위 35
2. 연구의 방법 38
제2장 중국 민속학의 이론적 논의 41
제1절 민속학 가치와 특징 41
1. 민속학의 정의 41
2. 민속학의 특징 44
3. 민속학의 가치 49
제2절 발전 과정 53
1. 계몽기(1920~1940년대) 53
2. 발전기(1950~1990년대) 54
3. 호황기(2000~현재) 57
제3절 민속학 관점의 〈봉신〉 논의 59
1. 민속학 관점의 〈봉신〉 해석 59
2. 〈봉신〉의 민속학 61
3. 〈봉신〉의 영화 민속학으로의 발전 63
제3장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과 민속문화 67
제1절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 67
1. 개념 67
2. 서사 70
3. 서사 특징 73
제2절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민속문화 77
1. 개요 77
2. 분류 79
3. 특징 85
제3절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민속문화 가치 88
1. 민속문화의 계승 및 발전 88
2. 향토적 뿌리와 행동규범 91
3. 민속적 정체성의 확립과 국혼 함양 94
제4장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민속학적 주제와 서사구조 97
제1절 주제선정 97
1. 전통문화의 원형 97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100
3. 인간적 배려 103
제2절 캐릭터 설정 106
1. 대표적인 민족학적 캐릭터 106
2. 인, 의, 악의 캐릭터 유형 109
3. 캐릭터의 현대화 전환 114
제3절 서사구조 118
1. 다원화 희극 구조 118
2. 이분법적 대립 및 갈등 123
3. 중국식 플롯 126
제5장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민속학적 서사 특징 133
제1절 연속적인 서사 주제의 선정 133
1. 신화 시리즈의 개발 133
2. 문화원형의 발굴 137
3. 공통 정서를 통한 서사 139
제2절 중국 스타일의 서사 패턴 143
1. 민속 요소의 교묘한 활용 143
2. 중국 특색의 서사 패턴 146
3. 민족 의식의 깊은 발굴 149
제3절 시대적 서사 표현 153
1. 디지털 기술을 통한 신화의 새로운 서술 153
2. 예술 혁신을 통한 주체 전복의 실현 155
3. IP 최적화를 통한 중국 문화 기호 조성 159
제6장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민속학적 시·공간과 영상 미학 164
제1절 시·공간의 구축 164
1. 열린 시간 164
2. 다차원 공간 168
3. 변화하는 시·공간의 변형 171
제2절 이미지 표현 175
1. 지역 특색이 있는 화면 175
2. 민족 정취의 소리 181
3. 동양 풍경의 장면 185
제3절 미학 표현 189
1. 전통적 요소의 시청각 189
2. 민속 철학의 정서 193
3. 민족 정신 인식 198
제7장 결론 202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의의 202
1. 연구의 요약 202
2. 연구의 의의 207
제2절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 210
1. 연구의 한계점 210
2. 연구의 시사점 212
참고 문헌 217
ABSTRACT 227
〈그림 1〉 민속의 이데올로기 상승 경로 52
〈그림 2〉 〈나타지마동강세〉의 쿠키 영상 135
〈그림 3〉 〈나타지마동강세〉 속 결계수의 이미지 140
〈그림 4〉 〈강자아〉 포스터 140
〈그림 5〉 〈신신방: 양전〉 속 사이버 선계 봉래선도의 번화가 144
〈그림 6〉 〈신신방: 양전〉 속 수묵화 장면 154
〈그림 7〉 〈강자아〉의 디지털 기술 장면 156
〈그림 8〉 〈강자아〉의 플래시백 연출 장면 165
〈그림 9〉 산하사직도(山河社稷圖) 170
〈그림 10〉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전통 민속 기호 173
〈그림 11〉 〈신신방: 양전〉 속 스승을 만나러 간 양전(楊戩) 176
〈그림 12〉 〈신신방: 양전〉에서 나온 펑라이(蓬莱) 선도(仙島) 176
〈그림 13〉 〈나타지마동강세〉의 등불 177
〈그림 14〉 〈나타지마동강세〉 속의 결계 짐승 178
〈그림 15〉 〈신신방: 양전〉 속 낙신부의 비천무 179
〈그림 16〉 〈나타지마동강세〉 속 나타가 입은 두렁이 180
〈그림 17〉 〈신신방: 양전〉 속 양전이 입은 두루마기 181
〈그림 18〉 〈강자아〉 속 사다리의 촬영 각도 187
〈그림 19〉 〈나타지마동강세〉 속 색채 활용 장면 188
21세기의 문화적 융합으로 각 국가의 문화 수출이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각 민족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 콘텐츠의 차이로 인해 중국 문화의 확산 과정에서 인지적 편차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본토 문화가 어떻게 세계의 문화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안정적으로 수출될 수 있을지는 중국이 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문제이다.
애니메이션 산업은 각국의 문화 산업 경쟁의 중요한 내용이 되었으며 애니메이션은 더 이상 오락성만을 위한 상품이 아니라 국가 문화 수출의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이를 통해 두터운 문화 자원을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애니메이션 상품으로 전환하는 것은 중국 전통문화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고 중국과 선진국 간 문화 산업의 격차를 줄이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민속 문화는 중국 전통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수천 년을 이어 온 중국 민족 역사의 집약으로 한 나라, 더 나아가서는 한 민족의 영혼이며 한 민족의 강대한 응집력을 구현하는 존재이다. 역사의 수레바퀴가 굴러감에 따라 민속 사상은 문화 예술과 점차 긴밀하게 결합되어 폭넓게 활용되며 문화 예술 작품에 더욱 높은 수준의 생명력과 생존 공간을 더하고 있다. 영화에 민속 요소를 유기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디테일, 소품, 장면, 분위기, 인물 묘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영화의 시공간 질감, 지역적 특색, 감상의 흥미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은유와 상징 등을 통해 특정한 인문적 의미를 함축적이고 다양하게 부각시킴으로써 작품의 예술적 매력과 민족적 기질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민속이 영화에 들어가면 독창적인 관점으로 사실적인 중국의 모습을 보여주고 중국 민족의 문화를 드높여 중국의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19년을 기점으로 명대의 신마 소설 〈봉신연의〉를 개작한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은 전통을 전복시키는 경이로운 시각 효과로 관객들의 열띤 토론을 불러일으키며 많은 영화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중국 애니메이션 관계자들도 이를 통해 신화의 재구성, 전통적 패러다임과 구별되는 현대적 서사 텍스트, 참신한 미학적 스타일, 성숙한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로 현대 관객들을 위한 중국 고유의 애니메이션 유니버스인 봉신 유니버스를 구축하는 새로운 창작의 길을 찾게 되었다.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에는 중국 전통문화의 특색이 가득하며 뚜렷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은 민간 문학의 각색과 민속적 요소의 활용을 토대로 영화와 드라마 애니메이션의 서사 형식을 통해 민속 문화를 확산시키며 현재 중국의 이야기를 서술함으로써 관객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민속학, 영화 서사학, 문화 사회학, 미학, 기호학을 근거로, 애니메이션 서사 연구의 측면에서 고전 민속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전통 민속 문화와 애니메이션의 결합으로 나타난 서사의 특징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그리고 대표적인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서사를 해석함으로써 민속학적 시각에서 21세기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의 서사 내용, 서사 구조, 서사 미학에 대해 깊이 있고 체계적인 학술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중국 애니메이션의 서사 특징과 혁신 전략, 당면 과제와 미래 발전의 추세를 탐색하여 향후 제작될 중국 전통문화 소재 애니메이션 창작에 참고가 되고 우수한 전통문화가 현대에 널리 확산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연구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논문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고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관련 연구를 탐색하여 본 논문을 위한 연구의 틀을 구축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이다. 민속학의 이론적 의미를 정의, 역사, 선행연구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관련된 개념을 해석함으로써 민속학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파악하여 다음 연구에 튼튼한 이론적 기반을 다지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국 전통 민속 문화와 애니메이션의 정의로 봉신 애니메이션, 〈봉신〉 소재 애니메이션에 담긴 전통 민속 문화, 그리고 민속학적 관점에서 봉신의 혈연관계와 후대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고 〈봉신〉 애니메이션과 민속 문화가 결합하여 발전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봉신〉 애니메이션의 민속학적 주제와 구조 분석으로 영화 서사의 구성 요소인 주제, 캐릭터, 줄거리 등을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 〈봉신〉 애니메이션의 민속학적 서사 특징을 서사 주제의 선정, 서사 구축, 서사 표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봉신〉 애니메이션의 민속학적 시공간과 영상 미학을 연구하였다. 영화 서사를 구성하는 공간 구축, 영상 표현, 미적 표현 등을 분석하였다. 제7장은 결론으로 본 논문의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논문 전체를 정리하고 미래의 방향을 전망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