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 연구 배경 15
2. 연구 목적 20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3
1. 연구 범위 23
2. 연구 방법 26
제3절 선행연구 27
1.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조형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27
2. 중국 애니메이션 작품 및 요괴 문화이론 30
3. 해외 애니메이션 작품 및 요괴 문화이론 36
제2장 중국의 요괴 개념 및 주요 자료 분석 44
제1절 전통 요괴 문화의 기원(起源) 및 발전 45
1. 신화(神化)를 통한 영물(灵物)이 된 사례 45
2. 종교적 토템이 된 사례 46
3. 풍물로 미화된 사례 48
4. 전통소설에 등장하는 사례 49
제2절 전통 요괴의 조형 원리 51
1. 신화와 요괴 51
2. 〈산해경(山海經)〉의 영향 53
3. 전통 요괴의 조형 원리 54
제3절 중국 요괴의 분류 60
1. 자연현상형 요괴 61
2. 동식물형 요괴 63
3. 반인반수형 요괴 66
4. 인간형 요괴 69
제3장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디자인 71
제1절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디자인 특징 71
1.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디자인 정의 71
2. 다양한 설계 방법 75
3. 스타일과 장르 76
제2절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중요성 89
1. 살아 있는 캐릭터의 중요성 89
2.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의 상업적 가치 92
제3절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의 발전과 변화 94
1. 캐릭터 조형에 대한 특성의 강화 94
2. 범(泛)오락화 및 반(反) 정규화 97
3. 캐릭터의 전승 및 문화 발전 100
제4장 중국 애니메이션 요괴 캐릭터의 조형 디자인 특징 103
제1절 요괴 캐릭터의 조형 디자인 103
1. 체형의 조형 디자인 103
2. 표정의 조형적 디자인 109
3. 의상과 소품 디자인 113
제2절 애니메이션에서 요괴 캐릭터의 색채 표현 118
1. 민족색채의 강조 119
2. 캐릭터 조형 색채의 승화 121
3. 배경색채의 가치 124
제3절 애니메이션에서 요괴 캐릭터의 성격 및 행위 특징 128
1. 성적 표현의 세속화 129
2. 캐릭터의 유머화 133
3. 캐릭터 간의 갈등관계 138
제5장 중국 요괴 캐릭터의 조형적 디자인 방법 142
제1절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142
1. 경극의 조형 요소 142
2. 그림자의 조형 요소 145
3. 기타 전통예술의 참조 147
제2절 요괴 캐릭터 조형 디자인의 주요방법 150
1. 분해 및 재구성 150
2. 가감(加减) 153
3. 접목법 158
제3절 조형 디자인 기법에 대한 적용 169
1. 행렬(矩阵) 169
2. 접합 및 조합 172
제6장 중국 요괴 캐릭터의 조형 디자인 175
제1절 요괴 캐릭터의 독특한 미적 이미지 175
1. 요괴 다자인에 담긴 인간미 175
2. 요괴의 괴상한 이미지에 대한 '심축(审丑)' 문화 176
3. 요괴 캐릭터만의 유니크한 판타지 미 178
제2절 요괴 캐릭터 조형적 디자인의 성공사례 181
1. 요괴 캐릭터의 엔터테인먼트적 성격 181
2. 요괴 캐릭터의 융합적 성격 186
제3절 요괴 캐릭터의 지속적 발전 전략 193
1. 요괴 캐릭터 조형적 디자인의 지속적 발전 193
2. 요괴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인지도 확산 195
3. 요괴 캐릭터와 관련 사업의 추진 197
제7장 결론 202
제1절 연구 요약 202
제2절 연구의 한계 204
제3절 연구의 시사점 205
참고 문헌 213
ABSTRACT 219
〈그림1〉 고서와 애니메이션에서 후토(后土)의 이미지의 비교 32
〈그림2〉 〈산해경(山海经)〉과〈나의 붉은 고래(大鱼海棠)〉에서 제강(帝江) 이미지의 비교 33
〈그림3〉 〈소문신(小门神)〉에서 신토(神荼)와 우르(郁垒)의 이미지 35
〈그림4〉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유바바 변신 전후의 이미지 39
〈그림5〉 〈캇파 쿠와 여름방학을(河童之夏)〉에서 캇파의 이미지 40
〈그림6〉 청룡(靑龍)·백호(白虎)·주작(朱雀)·현무(玄武) 46
〈그림7〉 중국 내몽골 배구현 탁림구 부근의 절벽에 새겨진 벽화 47
〈그림8〉 중국 범정산과 귀주 나문화 제사활동 49
〈그림9〉 태양신 라(Ra), 아누비스, 가네샤 53
〈그림10〉 복희(伏羲), 여와(女媧), 번천(梵天), 습파(湿婆) 53
〈그림11〉 필방(毕方), 일목국(一目国), 일팔민(一臂民) 55
〈그림12〉 개명수와 구풍(九风) 57
〈그림13〉 저인국(底人國) 59
〈그림14〉 혼이라, 영소 59
〈그림15〉 신밧드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78
〈그림16〉 설리번(苏利文) 81
〈그림17〉 팬더와 타이렁 84
〈그림18〉 몽키 및 타이그리스 85
〈그림19〉 레서판다 시부 및 맨티스 86
〈그림20〉 카오너시 87
〈그림21〉 신필(神筆) 96
〈그림22〉 〈첨심공주(甜心格格)〉 99
〈그림23〉 소백(小白) 106
〈그림24〉 바오칭팡주(宝青坊主) 107
〈그림25〉 〈나소흑전기〉의 요정 캐릭터와 네파(涅帕) 108
〈그림26〉 명가 할아버지(冥加爷爷)와 여우 칠보(狐妖七宝) 109
〈그림27〉 표정 110
〈그림28〉 결계수(结界兽) 112
〈그림29〉 영파(灵婆) 113
〈그림30〉 〈백사:연기〉와 〈청사의 시련〉의 청사(青蛇) 의상 116
〈그림31〉 혼돈(混沌) 116
〈그림32〉 야유신(夜游神) 118
〈그림33〉 영파(灵婆) 121
〈그림34〉 돌요괴(石妖) 123
〈그림35〉 뱀 사모(蛇母)의 쌍두 구렁이 변신 124
〈그림36〉 청록색과 흰색의 연무 배경에서 강남의 아름다운 경치 128
〈그림37〉 쥐파자(鼠婆子) 133
〈그림38〉 천서기담(天书奇谭) 중 각 캐릭터 조형 137
〈그림39〉 토토로의 버스 탑승 장면 138
〈그림40〉 〈대란천궁〉의 손오공과 연극검보 143
〈그림41〉 〈천서기담(天书奇谭)〉 흑여우·핑크여우·블루여우 145
〈그림42〉 황금 소라(金色的海螺) 우렁이 처녀와 어가 청년 147
〈그림43〉 제야 이야기(除夕的故事) 149
〈그림44〉 모돈룡(母猪龙) 150
〈그림45〉 사불상(四不相)의 해부도 I 152
〈그림46〉 사불상(四不相)의 해부도 II 152
〈그림47〉 마그카르고 153
〈그림48〉 신조 제강(帝江)과 우바(胡巴) 155
〈그림49〉 구미호(九尾狐)의 이미지 156
〈그림50〉 삼수(三手)와 신섭(神涉) 157
〈그림51〉 〈나의 붉은 고래〉에서의 영매(靈婆) 158
〈그림52〉 〈강자아〉에서의 샤오지우(小九) 161
〈그림53〉 〈소문신〉(小门神)에서의 야유신(夜游神) 162
〈그림54〉 〈산해경 해외남경〉과 애니메이션의 소야유(小夜游) 163
〈그림55〉 〈수문신〉(小門神)에서의 년수(年獸) 165
〈그림56〉 〈인삼왕국〉(人參王國)에서의 야후삼(鴨狐参) 165
〈그림57〉 〈기동전사 건담〉(機動高達戰士) 167
〈그림58〉 〈신신방: 나타중생(新神榜:哪吒重生)〉에서의 오병(敖丙)의 원형 168
〈그림59〉 슈렉 178
〈그림60〉 손오공과 이랑신이 싸우는 장면 180
〈그림61〉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给小桃的信)〉에서의 요괴 185
〈그림62〉 〈몬스터 헌트(捉妖记)〉에서의 우바(胡巴) 186
〈그림63〉 〈구색록(九色鹿)〉 및 돈황 모고쿠 동굴(敦煌莫高窟)벽화 187
〈그림64〉 〈나타요해 (哪吒闹海)〉에서 나타(哪吒) 188
〈그림65〉 〈우주소년 아톰〉(鐵臂阿童木)에서의 아톰 189
〈그림66〉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西游記之大聖歸來)〉에서의 손오공 191
〈그림67〉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의 백귀야행 207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애니메이션 스토리의 기초이자 전체 애니메이션 흐름의 길잡이다. 애니메이션 디자인에서 조형은 작품 전체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품을 좌우하는 관건이다. 요괴 캐릭터 디자인은 사람들이 상상하고 예술적인 작품을 통해 구현되는데 초기에는 요괴 캐릭터의 조형물이 보통 무섭고 이상한 이미지였지만 지금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이중 〈몬스터 주식회사(Monster Inc.)〉, 〈이웃집 토토로(となりのトトロ)〉등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요괴 이미지를 살펴보면 기존의 모습과 비교하여 많이 바뀌어 귀엽고 착한 이미지로 변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외모가 특이하고 못생겼지만 인간처럼 성격의 양면성을 드러내는 만큼 요괴 캐릭터는 더욱 재미있고 생동감 있다. 미국, 일본, 한국의 애니메이션과 게임, 그리고 이들의 파생상품이 중국에 수입되면서 중국 관객들은 심리적으로 요괴에 호감을 갖게 되었고, 요괴 캐릭터에 관심을 가진 관객들이 많아지면서 애니메이션 디자이너들의 과제가 되었다.
중국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특수 역사 시기의 사회적 불안 등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요괴 이미지가 점차 사람들의 시야에서 사라지고 있고 한 때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신화 전설, 민담, 지괴 문학 속의 요괴들도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중국 민족의 요괴 문화는 점차 쇠퇴하고 있다. 하지만 이 요괴들은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그들이 살 공간을 찾아낸다. 애니메이션이라는 상상력이 담긴 플랫폼은 요괴들이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최고의 무대가 되기도 한다. 이에 비해 중국 요괴 시리즈는 서유기(西游記)와 요재(聊齋) 시리즈의 끊임없는 리메이크, 캐릭터 이미지의 반복되는 사용으로 인해 요괴 문화의 원래의 궤도에서 벗어나게 했다. 이로 인해 중국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요괴 이미지는 동질화 현상과 혁신성 부족으로 창의적인 요괴 이미지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시청자는 아직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많기 때문에 판타지 소설이나 국적 불명의 서구 문화 소재만 접하다 보면 중국 문화에 대한 무지와 배척, 무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요즘 사회에서 요괴 캐릭터의 조형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요괴들의 풍부한 조형과 독특한 전설성은 예술 창작자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며 현재의 기술 수단도 요괴 형상의 표현 형식을 위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하였다. 요괴문화는 민간에서 태어나 성장하면서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통문화의 한 구성 요소로서 관객에게 제시됨과 동시에 전통문화도 전달한다.
본문의 연구 내용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뉜다. 제1장은 주로 본 과제의 연구 배경,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국내외의 애니메이션 현황과 이론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제2장은 요괴 문화의 정의, 기원 및 발전으로부터 상세한 정리를 하고 중국 고서 〈산해경(山海經)〉 의 전통 요괴의 형상에 대하여 분석하여 후속 내용을 위해 이론적인 뒷받침을 제공한다. 제3장은 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디자인의 중요성,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발전 역사의 변천 및 애니메이션 캐릭터 조형 일반 법칙의 근거를 소개한다. 제4장은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요괴 캐릭터의 조형적 디자인의 특징을 분석한다. 제5장은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요괴 캐릭터의 조형적 디자인의 경로 및 방법을 탐색하고 제시한다. 6장은 주로 요괴 문화 요소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요괴 캐릭터 조형 디자인 전략을 요약한 것이다. 결론 부분은 애니메이션 요괴 캐릭터의 조형 방향에 대한 마지막 요약과 전망을 제시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