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및 목적 14

1. 연구 배경 14

2. 연구 목적 15

제2절 선행연구 17

1.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 17

2.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 25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4

1. 연구의 범위 34

2. 연구방법 37

제2장 애니메이션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 40

제1절 애니메이션의 발전과정 40

1. 애니메이션의 기원과 발전 40

2. 한국의 애니메이션 발전사 44

3. 중국의 애니메이션 발전사 50

제2절 여성 이미지의 변천과정 55

1. 여성 이미지의 정의 55

2. 여성 이미지의 변천 57

3.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 61

제3절 애니메이션의 여성 이미지 연구 구분 62

1. 여성 이미지의 연구이론 62

2. 여성 이미지의 특정된 지역성 63

3.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외모 성격과 사회적 지위 66

제3장 한·중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 비교 72

제1절 조형 특징 72

1. 과장된 성별 특징 73

2. 민족적인 얼굴 특징 83

3. 자연미의 복식 특징 93

제2절 캐릭터의 유형 97

1. 사실적인 인물류 이미지 100

2. 희소한 동물류 이미지 101

3. 풍부한 판타지류 이미지 103

제3절 연령분포 106

1. 홀로 성장한 여자 아이 109

2. 미모를 숭상하는 소녀와 청년 여성 111

3. 추악하고 사악한 중년, 노년 여성 115

제4장 한·중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성격에 대한 고정관념 비교 119

제1절 성격의 두 가지 기질 119

1. 남성화 성격과 여성화 성격 120

2.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성격의 남녀 기질 125

3.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성격의 남녀 기질 128

제2절 성격의 복잡 정도 131

1. 편평 캐릭터와 원형 캐릭터 131

2.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복잡 정도 135

3.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복잡 정도 137

제3절 캐릭터의 선악 유형 139

1. 정면 캐릭터와 반면 캐릭터 139

2.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선악 유형 142

3.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선악 유형 145

제5장 한·중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비교 148

제1절 여성 캐릭터의 참여 148

1. 여성 캐릭터의 참여도 비교 149

2. 한국의 사회적 배경이 여성의 사회 참여에 미친 영향 151

3. 중국의 사회적 배경이 여성의 사외 참여에 미친 영향 153

제2절 여성의 신분적 지위 155

1. 여성 캐릭터의 신분 비교 156

2.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신분에 대한 여성의식 구축 161

3.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신분에 대한 여성의식 구축 163

제3절 여성의 운명적 표현 166

1. 여성 캐릭터의 운명 비교 166

2.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문화적 배경을 투영하는 여성의 운명 171

3.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문화적 배경을 투영하는 여성의 운명 172

제6장 결론 175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의의 175

1. 연구의 요약 175

2. 연구의 의의 180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안 181

1. 연구의 한계 181

2. 연구의 제안 182

참고문헌 185

부록 197

부록 1. 2010-2022 년 한국의 애니메이션 목록 197

부록 2. 2010-2022 년 중국의 애니메이션 목록 199

ABSTRACT 202

표목차

〈표 1〉 한·중 애니메이션 여성의 성별 특징 73

〈표 2〉 신뢰도 조사 결과 74

〈표 3〉 한·중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 유형 98

〈표 4〉 한·중 애니메이션에서 여성 캐릭터의 연령 분포 107

〈표 5〉 한중 애니메이션 속 여성 역할의 남녀 기질 유형 분포 123

〈표 6〉 한중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원형 캐릭터와 편평 캐릭터 분포 133

〈표 7〉 한중 애니메이션의 여성 선악 유형 분포 141

〈표 8〉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점유율 분포 150

〈표 9〉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점유율 분포 150

〈표 10〉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신분의 분류 분포 158

〈표 11〉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신분의 분류 분포 158

〈표 12〉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여성 캐릭터의 결말 분석 167

〈표 13〉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여성 캐릭터의 결말 분석 168

그림목차

〈그림 1〉 한국 애니메이션 여성의 성별 특징 구성 75

〈그림 2〉 중국 애니메이션 여성의 성별 특징 구성 75

〈그림 3〉 〈드래곤 네스트: 평화 기사단〉의 리아, 넬빈, 아르제타, 카라추 (왼쪽부터) 76

〈그림 4〉 〈신서유기 : 몽키킹의 부활〉의 여자 요괴, 〈대호법〉의 채 (왼쪽부터) 77

〈그림 5〉 〈집〉 가영, 〈소중한 날의 꿈〉 이랑과 수민 80

〈그림 6〉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 차부 부인, 〈사이비〉 영선 어머니 81

〈그림 7〉 〈백사: 연기〉, 〈백사2: 청사의 시련〉 83

〈그림 8〉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 일호, 〈레드슈즈〉 백설 86

〈그림 9〉 〈돼지의 왕〉 김철 어머니, 〈서울역〉 혜선,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 지주 딸, 〈전주성〉 구미호 (왼쪽부터) 88

〈그림 10〉 〈백사2: 청사의 시련〉 소청, 쑨 아가씨 90

〈그림 11〉 〈풍어주〉 주인공의 어머니, 〈아이어 맨〉 주인공의 어머니 91

〈그림 12〉 〈예쁜 공주들〉 홍령과 도치안, 〈대호법〉 은파 (왼쪽부터) 92

〈그림 13〉 〈홍길동2084〉 하령, 〈은실이〉 은실, 〈달빛궁궐〉 현주리 (왼쪽부터) 95

〈그림 14〉 〈나타지마동강세〉 은부인 97

〈그림 15〉 〈리틀 도어 갓즈〉 소영, 〈시호전기〉 명주 97

〈그림 16〉 한국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 장르의 구성 99

〈그림 17〉 중국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 장르의 구성 100

〈그림 18〉 〈잎싹, 마당을 나온 암탉〉 잎싹 102

〈그림 19〉 〈홍묘감토화봉황〉 감토, 〈레전드 오브 래빗〉 모란 103

〈그림 20〉 〈달빛궁궐〉 매화부인 104

〈그림 21〉 〈나의 붉은 고래〉 춘 106

〈그림 22〉 한국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 연령 분포 구성 108

〈그림 23〉 중국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 연령 분포 구성 109

〈그림 24〉 〈홍길동2084〉 철이, 〈안녕 자두야〉 자두 (왼쪽부터) 111

〈그림 25〉 〈마경기연〉 다이나 퀸, 〈나의 붉은 고래〉 쥐파 (왼쪽부터) 116

〈그림 26〉 〈타이밍〉 할머니 118

〈그림 27〉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역할의 남녀 기질 유형 구성 124

〈그림 28〉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 역할의 남녀 기질 유형 구성 125

〈그림 29〉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원형 캐릭터와 편평 캐릭터 구성 134

〈그림 30〉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원형 캐릭터와 편평 캐릭터 구성 134

〈그림 31〉 한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선악 유형 구성 142

〈그림 32〉 중국 애니메이션 속 여성의 선악 유형 구성 142

초록보기

 글로벌 물결이 더욱 거세지면서 문화 전파에 대한 각 나라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화의 흐름 속에서 한중 양국은 글로벌 문화에 스며들면서 시대 정신을 융합해 국가 이미지를 더 잘 전달하고 글로벌 문화 영향력을 강화해야 한다. 현대 미디어의 빠른 발전은 문화를 전파하는 데 더 편리하고 광범위한 방법을 제공하여 문화 교류의 범위와 깊이를 더욱 확장한다.

글로벌화에서 애니메이션은 뛰어난 문화적 포용성과 공감 능력을 갖춘 매체로써 국가의 사회 통념과 문화 정신을 잘 전달할 수 있어 한중 양국의 문화 교류와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교 구실을 한다.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는 작품의 가치관을 가장 잘 전달하는 매개체다. 특히 여성의 이미지는 한 국가 여성의 생존 환경과 사회적 지위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적 포용과 사회 문명의 정도를 보여준다.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는 여성 의식을 이끌고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며 여성 의식의 변화와 사회적 젠더 관계 변화를 촉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여성문제는 줄곧 국제 사회의 뜨거운 이슈 중 하나였으며, 남녀평등과 사회 문명의 발전과 관련 있다. 한국과 중국 사회 모두 가부장제 문화의 영향을 받아 남아선호사상이 존재한다. 서양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여성 주체의식은 상대적으로 뒤처져있다. 그러나 여성 의식이 점점 각성하면서 여성의 지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여성들은 올바른 여성 의식으로 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발언권을 얻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에서 시작해 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동기간 한중 양국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작품 속 표현된 여성 이미지를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양국의 전통문화와 현대 여성주의를 결합하여 애니메이션 속 여성 이미지 형성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 보완하고 참고함으로써 한중 양국의 여성문제를 더 잘 관찰할 수 있고 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여성 이미지 연구에 이론적 보완책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