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5

1. 연구의 목적 15

2. 연구의 필요성 17

제2절 선행연구 22

1. 색채 미학 이론 23

2. 영화 서사에서의 색채 미학 25

3. 장이머우 감독 영화에 드러난 색채 미학의 특징 30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3

1. 연구 범위 33

2. 연구 방법 36

제2장 색채 미학과 영화 서사의 상관성 39

제1절 색채 미학의 정의 39

1. 색채 미학의 개념 39

2. 색채 미학의 가치 50

3. 영화의 색채 미학 53

제2절 영화 중의 서사 56

1. 영화 서사의 정의 56

2. 영화 서사의 운용 57

3. 영화 서사의 심리 62

제3절 영화와 색채 미학의 상관성 64

1. 내용의 상관성 64

2. 시공간의 상관성 67

3. 심리의 상관성 70

제3장 〈영웅〉의 서사와 색채 미학 분석 77

제1절 〈영웅〉의 색채 미학 77

1. 통일성이 강조된 색조 77

2. 이미지가 강조된 색채의 대비 82

3. 색채 심리가 영화 언어를 형성 89

제2절 〈영웅〉 속 서사 94

1. 〈영웅〉 속 다중 서사 94

2. 〈영웅〉 속 서사 시간과 서사 공간 98

3. 〈영웅〉 속 은유 101

제3절 색채 미학이 〈영웅〉 속 서사에 미친 영향 104

1. 서사구조에 미친 영향 104

2. 시간 서사에 미친 영향 105

3. 비기호적 상징에 미친 영향 108

제4장 〈황후화〉의 서사와 색채 미학 분석 113

제1절 〈황후화〉의 색채 미학 113

1. 황금색의 특징화 113

2. 색채의 대비 117

3. 중국 문화 속의 색채 암시 119

제2절 〈황후화〉 속 서사 125

1. 〈황후화〉 속 대비 서사 125

2. 〈황후화〉 속 서사 시간과 서사 공간 131

3. 〈황후화〉 속 기호 139

제3절 색채 미학이 〈황후화〉 속 서사에 미친 영향 144

1. 서사 주제 강화 144

2. 서사 리듬 전개 148

3. 영상 기호 영향 149

제5장 〈진링의 13소녀〉의 서사와 색채 미학 분석 152

제1절 〈진링의 13소녀〉의 색채 미학 152

1. 회색의 특징화 152

2. 회색과 선명한 색상의 대비 155

3. 전환점을 암시 162

제2절 〈진링의 13소녀〉 속 서사 166

1. 〈진링의 13소녀〉 속 서사 내용 166

2. 〈진링의 13소녀〉 속 서사 시간과 서사 공간 173

3. 〈진링의 13소녀〉 속 서사 심리 179

제3절 색채 미학이 〈진링의 13소녀〉 속 서사에 미친 영향 180

1. 캐릭터 강화 181

2. 공간 서사 184

3. 집단무의식 영향 193

제6장 결론 197

제1절 연구 요약 및 의의 197

1. 연구 요약 197

2. 연구 의의 200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 204

1. 연구의 한계점 204

2. 연구의 시사점 205

참고 문헌 214

ABSTRACT 220

〈표 1〉 장이머우 감독의 작품 특징 17

〈표 2〉 중국영화색채연구 행렬분석도 19

〈표 3〉 중국영화이론연구 주요 주제 현황 21

〈표 4〉 영화 색채 서사의 심미적 연구 25

〈표 5〉 문헌 종합분석 27

〈표 6〉 서양 색상 상징 함의 40

〈표 7〉 〈영웅〉 속 인물 의상 색채의 색조 77

〈표 8〉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장면 공간의 색채 구성 78

〈표 9〉 자연환경 공간의 색채 구성 79

〈표 10〉 영화 줄거리 색채 81

〈표 11〉 현란한 색채와 채도가 낮은 색채 구조 비교 158

〈그림 1〉 논점의 출처 설명도 29

〈그림 2〉 뉴턴 색상 휠 41

〈그림 3〉 5행 대응도 46

〈그림 4〉 CIE 색채 시스템 48

〈그림 5〉 RGB과 CMYK색채 모형 49

〈그림 6〉 〈영웅〉 속 인물 의상 색채 78

〈그림 7〉 〈영웅〉 속 장면 색채 80

〈그림 8〉 〈영웅〉 속 스토리 색채의 색조 81

〈그림 9〉 〈영웅〉 속 흰색과 노란색 대비 84

〈그림 10〉 〈영웅〉 속 빨간색과 검은색 대비 86

〈그림 11〉 〈영웅〉 속 파란색과 초록색 대비 88

〈그림 12〉 〈영웅〉속 검은색 90

〈그림 13〉 〈영웅〉 속 빨간색 92

〈그림 14〉 〈영웅〉 속 초록색 93

〈그림 15〉 색채 배치 106

〈그림 16〉 색채 구성 106

〈그림 17〉 〈황후화〉 넓은 면적의 밝은 색 114

〈그림 18〉 〈황후화〉 붉은색 활용 115

〈그림 19〉 〈황후화〉 빨간색과 파란색의 대비 118

〈그림 20〉 〈황후화〉 황색을 이용하여 황권을 표현하다 121

〈그림 21〉 〈황후화〉 블랙 비쥬얼 122

〈그림 22〉 〈황후화〉 애매한 장면 124

〈그림 23〉 〈황후화〉 교차 편집(Cross-Cutting) 장면 132

〈그림 24〉 〈황후화〉 서사 구조 133

〈그림 25〉 〈황후화〉의 황궁 135

〈그림 26〉 〈황후화〉 황궁의 문 136

〈그림 27〉 〈황후화〉의 황궁 복도 136

〈그림 28〉 〈황후화〉 광장의 국화 137

〈그림 29〉 〈진링의 13소녀〉 스틸 컷 153

〈그림 30〉 〈진링의 13소녀〉 속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157

〈그림 31〉 〈진링의 13소녀〉 속 기녀와 여학생의 색채 대비 159

〈그림 32〉 〈진링의 13소녀〉 속 성당 스테인드글라스 창을 통해 들 어오는 빛과 성당 내부의 색채 대비 160

〈그림 33〉 〈진링의 13소녀〉 속 지물전과 폐허의 색채 대비 161

〈그림 34〉 〈진링의 13소녀〉 속 적십자 깃발과 인물 의상 및 장소와의 색채 대비 162

〈그림 35〉 〈진링의 13소녀〉 속 색채를 통한 인물 묘사 163

〈그림 36〉 〈진링의 13소녀〉 속 색채를 통한 인물 심리 묘사 165

〈그림 37〉 〈진링의 13소녀〉 속 색채를 통한 인물 심리 묘사 166

〈그림 38〉 〈진링의 13소녀〉 속 색채를 통한 캐릭터 강화 182

〈그림 39〉 〈진링의 13소녀〉 속 색채를 통한 캐릭터 강화 184

〈그림 40〉 〈진링의 13소녀〉 속 외부 공간 색채 187

〈그림 41〉 〈진링의 13소녀〉 속 내부 공간 색채 188

〈그림 42〉 〈진링의 13소녀〉 속 색채의 명도와 채도를 통한 공간 창출 190

〈그림 43〉 〈진링의 13소녀〉에서 색변환 서사공간 활용 191

〈그림 44〉 〈진링의 13소녀〉 스틸 컷 192

〈그림 45〉 〈진링의 13소녀〉 일본군 침입 장면 193

〈그림 46〉 〈진링의 13소녀〉 속 회색 인상 194

〈그림 47〉 〈진링의 13소녀〉 속 장면과 실제 사진 195

초록보기

 영화는 하나의 종합예술로서 문학, 무용, 회화 등과 같이 모두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 예술적 기능을 다하며 일종의 서사성을 지닌다. 색채는 영화예술의 중요한 요소로서 영화의 서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화에서 색채는, 감독의 주관적인 의식을 통해 가공되며 특정한 색채 이미지를 부여함으로써 서사 과정에서 개성적이고 완전하게 표현된다. 또한 색채는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시각적 언어 중 하나로, 아주 강렬한 시각적 충격을 선사하여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이와 동시에 색채는 영화의 서사에 참여하여 영화의 주제, 스토리, 환경 조성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관객이 영화를 관람할 때 가장 먼저 접하는 것은 색채로 가득한 화면이며 그다음에야 영화의 인물이나 스토리 전개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색채는 영화 서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과 의미를 가진다. 중국 영화를 대표하는 거장 장이머우(张艺谋)는 중국 영화는 물론 세계 영화에 매우 상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는 영화의 서사 과정에서 색채의 충분한 발굴, 색채의 세심한 배치 그리고 색채의 상징성, 직관성 등의 특징을 통해 영화의 색채가 관객들에게 강렬한 시각적 충격을 주도록 하였고 이로 하여금 영화 서사 표현의 완전성을 높였으며, 영화 자체의 미학적 효과를 증진했다.

본 연구는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영웅(英雄)〉, 〈황후화(滿城尽帶黃金甲)〉, 〈진링의 13소녀(金陵十三釵)〉를 사례로, 각 작품에서의 색채 활용 및 색채가 서사 과정에서 갖는 기능성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색채 미학적 관점에서 색조의 선택과 내용 서사, 색채 대비와 구조 서사, 색채 심리와 심리 서사 등 색채 미학이 영화 서사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색채가 영화 작품 속 서사 기능에 미친 영향을 찾고, 영화 서사와 색채가 내포하는 문화적 의미를 융합시켜 현재의 영상문화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대중영화 심미교육과 영화감독의 색채 창조 연구를 위한 심미 심리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 선행연구,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제2장에서는 주로 색채 미학의 기본원리와 영화 서사의 정의, 활용, 구조를 포함한 색채 미학과 영화 서사의 연관성에 대해 논하고 영화 서사와 색채 미학의 관계와 조합에 대해 논한다.

제3장에서는 주로 영화 〈영웅〉의 색채 미학과 서사적 특징을 분석한다. 색채 미학이 영화 속에서 구조 서사, 시간 서사 및 비기호적 상징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주로 영화 〈황후화〉의 색채 미학과 서사적 특징을 분석한다. 색채 미학이 영화 속 주제 서사, 공간 서사 및 영상 기호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주로 영화 〈진링의 13소녀〉의 색채 미학과 서사적 특징을 분석한다. 색채 미학이 영화 속 인물 설정, 서사 속도, 집단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분석한다.

제6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다룬다. 색채 미학이 영화 서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며, 색채 미학과 영화 서사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영화산업에서의 색채 미학 발전에 대해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