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6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2

1. 연구의 배경 22

2. 연구의 목적 29

제2절 선행연구 고찰 31

1. 중국 수묵화의 색채 미학 31

2.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의 색채 미학 34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6

1. 연구 범위 36

2. 연구 방법 37

제2장 중국 수묵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39

제1절 수묵화 색채 미학의 기원 39

1. 미학 사상 39

2. 색채의 분류 49

3. 예술적 특징 55

제2절 중국 수묵화 색채의 미학적 가치 57

1. 미학적 감정 57

2. 문화적 정체성 58

3. 사회적 가치 59

제3절 현대의 색채 미학 60

1. 특징 60

2. 혁신 및 응용 61

3. 가치 64

제3장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론적 논의 68

제1절 발전 과정 68

1. 기원 68

2. 초기 수묵 애니메이션 71

3. 3D 수묵 애니메이션 76

제2절 표현 기법 79

1. 선(線).묵(墨).색(色) 79

2. 2D 수묵 애니메이션 81

3. 3D 수묵 애니메이션 83

제3절 예술적 특징 88

1. 화면 구성 88

2. 색채 요소 89

3. 화면 효과 91

제4장 올챙이 엄마 찾기 94

제1절 작품 소개 94

1. 생명에 대한 관심 94

2. 문화 계승의 성과 99

3. 먹색의 예술적 감화 104

제2절 영화의 색채 디자인 분석 107

1. 보색과 동색의 배합 107

2. 전통 색채의 기능 109

3. 고전적 색채의 장면 묘사 113

제3절 영화의 예술 효과 분석 118

1. 기호적 의미 118

2. 흑백의 대비 119

3. 변화 및 선염(渲染) 120

제5장 산수정 122

제1절 작품 소개 122

1. 인간과 자연의 공생 122

2. 전통 미학의 계승 성과 125

3. 고전 예술의 기질 131

제2절 영화의 색채 디자인 분석 133

1. 허실상생(虛實相生) 133

2. 색채 대비는 시각 효과를 강화 136

3. 전묵법(全墨法) 139

제3절 영화의 예술 효과 분석 142

1. 오색관(五色觀) 142

2. 아득하고 담백 145

3. 수묵화의 창작성 147

제6장 도화원기 150

제1절 작품 소개 150

1. 유유자적 150

2. 문화 요소의 계승 성과 154

3. 수묵의 다원적 융합 156

제2절 영화의 색채 디자인 분석 162

1. 전체 색채 조성 162

2. 다양한 소재를 콜라주한 애니메이션 164

3. 겸공대사(兼工帶寫) 165

제3절 영화의 예술적 효과 분석 167

1. 여백(留白) 167

2. 색채의 다양화 167

3. 환상적인 시각 효과 169

제7장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 색채의 미학적 가치 173

제1절 색채의 가치 173

1. 표현 기능 173

2. 표현 기법 174

3. 미적 의미 180

제2절 미학적 가치 181

1. 막간(幕間)의 미학 181

2. 선의(禪意)의 미학 184

3. 정서적 미학 186

제3절 문화적 가치 190

1. 역사 문화적 가치 190

2. 철학적 문화 191

3. 미적 문화 195

제8장 결론 197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의의 197

1. 연구의 요약 197

2. 연구의 의의 198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200

1. 연구의 한계 200

2. 연구의 시사점 200

참고 문헌 204

ABSTRACT 216

표목차

〈표 1〉 인터넷 상 수묵 애니메이션 키워드 검색 결과 22

〈표 2〉 국제 영화계에서 상을 수상한 〈올챙이 엄마 찾기〉 100

〈표 3〉 〈산수정〉 중국 국내외 수상 내역표 125

그림목차

〈그림 1〉 여백 효과를 표현한 수묵화 41

〈그림 2〉 옥란(玉蘭): 팔대산인(八大山人) 41

〈그림 3〉 팔대산인의 작품1 42

〈그림 4〉 팔대산인의 작품2 42

〈그림 5〉 정섭(鄭燮) 「죽석도(石竹圖)」 청(清)대 수묵화 44

〈그림 6〉 범관(範寬)의 「계산행려도」 송대 45

〈그림 7〉 송본 「청명상하도」: 답청 46

〈그림 8〉 명본 「청명상하도」: 혼례 장가가는 날 46

〈그림 9〉 청원본 「청명상하도」: 혼례 장가가는 날 46

〈그림 10〉 제백석(齊白石)의 「과소도(果蔬圖)」 48

〈그림 11〉 「만학송풍도(萬壑松風圖)」, 남송, 이당(李唐), 비단 채색 49

〈그림 12〉 광물질 안료 50

〈그림 13〉 오색체 50

〈그림 14〉 중국화의 안료도 51

〈그림 15〉 당 엽립본(閻立本) 「보련도(步輦圖)」 52

〈그림 16〉 전자건(展子虔) 「유춘도(遊春圖)」 일부분 53

〈그림 17〉 왕유(王維) 「설계도(雪溪圖)」 57

〈그림 18〉 리우칭허(劉慶和) 「이상(理想)紙本彩墨)」 55×65cm 61

〈그림 19〉 이진(李津) 「족식도(足食者)」지본 채색 180×97cm 61

〈그림 20〉 미진밍(米金銘) 「천마(天馬)」 시리즈 62

〈그림 21〉 미진명(米金銘) 「현채하엽(炫彩荷葉)」 시리즈 63

〈그림 22〉 텐시쥔(田希軍)의 「고진유운(古鎮遺韻)」 63

〈그림 23〉 텐시쥔(田希軍)의 「천산사로가원(天山絲路家園)」 63

〈그림 24〉 멍쉐쥔(孟鶴群)의 「청과항(青果巷)」 64

〈그림 25〉 팡시앙(方向)의 「도시사생(都市寫生)」시리즈 65

〈그림 26〉 〈사슴방울(鹿鈴)〉 탕징(唐澄)과 우창(鄔強) 작(1982) 73

〈그림 27〉 〈피리부는 목동(牧笛)〉 터웨이(特偉), 첸자쥔(錢家俊)(1963) 74

〈그림 28〉 송(宋) 하규(夏圭) 「송계범월도(松溪泛月圖)」 75

〈그림 29〉 〈산수정(山水情)〉(1988) 75

〈그림 30〉 〈여름(夏)〉 쉬이(許毅) 최초의 3D 수묵 애니메이션 실험 단편 영화(2003) 76

〈그림 31〉 비백(飛白) 기법의 산석(山石) 78

〈그림 32〉 비백(飛白) 기법의 마른 나무 줄기 78

〈그림 33〉 산수정(山水情) 79

〈그림 34〉 산수정(山水情) 80

〈그림 35〉 올챙이의 엄마 찾기(小蝌蚪找媽媽) 81

〈그림 36〉 〈대요천궁(大鬧天空)〉(1961) 82

〈그림 37〉 〈대요천궁(大鬧天空)〉(1961) 83

〈그림 38〉 산수정(山水情) 83

〈그림 39〉 3D 애니메이션 〈여름(夏)〉 84

〈그림 40〉 〈나의 붉은 고래(大魚海棠)〉(2017) 85

〈그림 41〉 수묵 애니메이션 영화 〈여름(夏)〉 86

〈그림 42〉 수묵 애니메이션 영화 〈여름(夏)〉 87

〈그림 43〉 수묵 애니메이션 단편 〈절필(絕筆)〉 92

〈그림 44〉 수묵 애니메이션 단편 〈절필(絕筆)〉 93

〈그림 45〉 제백석(齊白石)의 〈새우(蝦)〉 94

〈그림 46〉 제백석의 〈10리 밖에서 개구리 소리가 산골짜기에서 들려오네(蛙聲十裏出山泉)〉 95

〈그림 47〉 올챙이 시기의 연꽃의 색상 96

〈그림 48〉 어린 개구리 시기의 연꽃의 색상 96

〈그림 49〉 출발할 때의 올챙이 색상 97

〈그림 50〉 엄마를 찾기 직전 올챙이의 색상 97

〈그림 51〉 올챙이 엄마 찾기 98

〈그림 52〉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03

〈그림 53〉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05

〈그림 54〉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06

〈그림 55〉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07

〈그림 56〉 보색 대비표 108

〈그림 57〉 〈올챙이 엄마 찾기〉 보색 108

〈그림 58〉 〈올챙이 엄마 찾기〉 동색 계열 108

〈그림 59〉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09

〈그림 60〉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홍색 올챙이 110

〈그림 61〉 중국 전통 오색 대조도 112

〈그림 62〉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분홍색 배경 114

〈그림 63〉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황색 배경 114

〈그림 64〉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16

〈그림 65〉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17

〈그림 66〉 〈올챙이 엄마 찾기〉 장면 119

〈그림 67〉 〈산수정(山水情)〉 특위(特偉) 1988 123

〈그림 68〉 〈산수정〉 흐르는 물, 숲, 산석 세부도 124

〈그림 69〉 〈산수정〉 고금 연주가 노인 124

〈그림 70〉 〈산수정〉 장면 126

〈그림 71〉 〈산수정〉 폭포 장면 127

〈그림 72〉 〈산수정〉 인물 디테일 장면 127

〈그림 73〉 〈산수정〉 '천인합일'의 경지 128

〈그림 74〉 〈산수정〉 '허경무물'의 경지 129

〈그림 75〉 〈산수정〉 '허경무물'의 경지 130

〈그림 76〉 산수정 132

〈그림 77〉 〈산수정〉 춘하추동 사계절의 변화 133

〈그림 78〉 〈산수정〉 차가운 색조 134

〈그림 79〉 〈산수정〉 따뜻한 색조 134

〈그림 80〉 〈산수정〉 고금 연주 노인의 볼 색상 137

〈그림 81〉 〈산수정〉 사제 간의 옷 색상 대비 137

〈그림 82〉 〈산수정〉 주제에 따른 색상 계열의 변화 138

〈그림 83〉 〈산수정〉 명암, 차갑고 따뜻한 색조 대비 화면 139

〈그림 84〉 〈산수정〉 '전묵법'이 사용된 화면 140

〈그림 85〉 〈산수정〉 소년의 내적 성장에 따른 색채 변화 142

〈그림 86〉 〈산수정〉 돛의 색채 순도 대비 143

〈그림 87〉 〈산수정〉 줄거리의 긴장도에 따른 흑백 대비 변화 144

〈그림 88〉 〈산수정〉 수면 화면 146

〈그림 89〉 〈산수정〉 수면 화면 146

〈그림 90〉 〈산수정〉 스승과 제자 두 사람의 옷 색상 대비도 148

〈그림 91〉 〈도화원기(桃花源記)〉 도화꽃 피는 장면 151

〈그림 92〉 〈도화원기〉 세외도원(世外桃源), 풍경 152

〈그림 93〉 〈도화원기〉 중국화, 전지, 그림자극 요소 153

〈그림 94〉 〈도화원기〉 수묵화 155

〈그림 95〉 〈도화원기〉 조형적 요소 155

〈그림 96〉 〈도화원기〉 문화적 요소 대비도 157

〈그림 97〉 〈도화원기〉 희곡적 요소 158

〈그림 98〉 〈도화원기〉 겸공대사-사의적 화면 159

〈그림 99〉 〈도화원기〉 겸공대사-중채 공필화 화면 159

〈그림 100〉 〈도화원기〉 3D 기술의 전형적인 화면 161

〈그림 101〉 〈도화원기〉 3D 기술의 전형적인 화면 162

〈그림 102〉 〈도화원기〉 차가운 색조, 따뜻한 색조 화면 대비 163

〈그림 103〉 〈도화원기〉 현실 사회와 도화원에서의 캐릭터 색채 대비도 165

〈그림 104〉 도화원기 168

〈그림 105〉 수면의 선염 변화도 170

〈그림 106〉 캐릭터의 색상 대비도 170

〈그림 107〉 줄거리에 따른 선염 대비도 171

〈그림 108〉 〈산수정〉 필법 대비도 176

〈그림 109〉 〈산수정〉 수파묵, 〈도화원기〉 간파습, 〈올챙이 엄마 찾기〉 농파담 화면 178

〈그림 110〉 〈올챙이 엄마 찾기〉 담황색 186

〈그림 111〉 〈산수정〉 연회색 186

〈그림 112〉 〈산수정〉 연남색 186

〈그림 113〉 〈도화원기〉 각기 다른 왕조를 상징하는 황갈색, 홍색, 갈색 대비도 188

〈그림 114〉 〈도화원기〉 어부 189

〈그림 115〉 〈도화원기〉 홍색-녹색 대비 화면 189

〈그림 116〉 〈도화원기〉 화면 192

〈그림 117〉 〈산수정〉 청담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화면 194

초록보기

 최근 중국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이 전 세계 애니메이션 산업으로부터 주목(初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색채 표현은 객관적인 사물의 색상을 그대로 담아낸 것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사상이 반영되기도 하고 문화의 계승으로도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오늘날 정보화 시대라는 배경에서 영화 미술 디자인에 전통 색채 표현을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경지를 이끌어낼 수 있다. 특히, 현대 애니메이션 영화의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중국 전통 미학과 중국 특징을 활용한 새로운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으로, 선행 연구 고찰을 시작으로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방법론적 의미 등을 논하였다.

제2장은 중국 수묵화의 색채 미학을 중점적으로 논하였다. 이에 제2장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절에서는 수묵화 색채 미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절에서는 주로 수묵화 색채 미학의 기원과 발전 현황, 기본적 특징, 선행 연구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수묵화의 색채 철학, 색채 구조, 색채 활용 등 측면에서 기본 개념과 이론을 탐색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수묵화 색채의 미학적 특징과 표현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2절에서는 중국 수묵화 색채의 미학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로 미학적 감정, 문화적 정체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수묵화 색채의 영향 등 중국 수묵화 색채의 미학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중국 고대 수묵화의 거장과 대표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묵화 색채의 미학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고 인류 문화사 속 수묵화의 위상과 파급효과를 제시하였다.

제3절에서는 중국 수묵화 색채 미학의 현대적 활용과 발전 현황을 분석하였다. 주로 현대 예술 속 수묵화 색채 미학의 혁신 및 표현 방법, 현대 문화 속 수묵화 색채 미학의 정체성 및 사회적 가치에 미친 영향 등 현대 예술 속 중국 수묵화 색채 미학의 활용 및 발전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 예술가와 대표작을 분석함으로써 현대 예술 속 수묵화 색채 미학의 혁신 및 활용 방안, 그리고 발전 방향을 전망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국 전통문화를 대표하면서 고유한 예술적 특징과 짙은 동양의 문화적 분위기를 가진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색채 미학의 관점에서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의 기원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1절은 전통 수묵 애니메이션, 2D 수묵 애니메이션, 3D 수묵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수묵 애니메이션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제2절은 전통 수묵 애니메이션, 2D 수묵 애니메이션, 3D 수묵 애니메이션의 선과 묵, 색상에 관한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수묵 애니메이션의 표현 기법을 살펴보았다. 제3절은 전통 수묵 애니메이션, 2D 수묵 애니메이션, 3D 수묵 애니메이션의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수묵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4장, 제5장, 제6장은 〈올챙이 엄마 찾기(小蝌蚪找媽媽)〉(1960), 〈산수정(山水情)〉(1988), 〈도화원기(桃花源記)〉(2010)를 중심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세 편을 선정한 이유는 〈올챙이 엄마 찾기〉(1960)는 중국 수묵화와 애니메이션을 최초로 결합한 중국 최초의 수묵 애니메이션으로서, 중국 전통의 문화적 특징과 애니메이션의 고유한 미학적 특징을 담아내고 있다. 〈올챙이 엄마 찾기〉 속 색채는 채먹을 활용한 번짐 효과와 다양한 색채의 조합으로 다양한 화면을 연출하였다. 그리고 형태보다 의미, 생동감 있는 분위기를 강조한 중국화의 특징을 담아내며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스타일과 색다른 방향을 제시했다. 〈산수정〉(1988)은 1980년대 후반 다른 애니메이션과 달리 흑과 백을 활용하며 상징적 의미를 담아낸 수묵 애니메이션으로, 물상(物象), 사물의 형상)의 윤곽선을 최소화하며 애니메이션의 회화적 특징을 두드러지게 표현하면서 애니메이션 산업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도화원기〉(2010)는 단순히 중국 전통 수묵화를 모방 및 복제한 것이 아니라 중국 전통 수묵화의 문화를 계승한 애니메이션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중국 전통 수묵 애니메이션의 정적 감각과 단일한 수묵화의 표현 방식에서 탈피하면서 민간 예술과 공필화와 같은 전통 요소, 그리고 3D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의 현대화에 기여한 대표작이다.

제7장은 앞선 분석 결과와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우수 수묵 애니메이션을 통해 수묵 애니메이션 색채의 미학에 담긴 진정한 가치를 논한다. 주로 색채의 가치를 중심으로 색채의 표현 기능, 표현 기법과 미학적 의미를 분석했다. 제2절은 미학적 가치의 관점, 제3절은 문화적 가치의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했다.

마지막 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논하며,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수묵 애니메이션 속 전통 문화의 색채 특징에 대한 탐구를 통해 수묵 애니메이션의 성공 요인으로 중국 전통 문화의 색채 표현을 제시한다. 이에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발전 방향으로, 현지 색채 문화를 중심으로 삼아 애니메이션 강국의 색채 이념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