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14
1.2. 연구의 목적 17
1.3. 연구 방법 및 구성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0
2.1. 생체인식(Biometrics) 20
2.1.1. 생체인식 인증기술 개요 20
2.1.2. 생체인식 인증기술 활용 22
2.2. One ID(One Identity) 24
2.2.1. 싱글 토큰(Single Travel Token) 24
2.2.2. One ID 해외 적용 사례 27
2.2.3. 바이오 패스(Bio Pass) 30
2.2.4. 생체인식 기반기술의 사회적 수용 33
2.3. 혁신확산이론과 혁신 저항 37
2.3.1.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Theory) 37
2.3.2. 혁신저항(Innovation Resistance) 39
2.4.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45
2.5. 사용자 특성 51
2.5.1. 인지된 즐거움(Perceived Enjoyment) 51
2.5.2. 개인 혁신성(Personal Innovativeness) 52
2.5.3. 자기 효능감(Self Efficacy) 54
2.6. 혁신 특성 55
2.6.1. 상대적 이점(Relative Advantages) 55
2.6.2. 적합성(Compatibility) 56
2.6.3. 인지된 위험(Perceived Risk) 57
2.7. 신뢰(Trust) 58
제3장 연구모형 및 설계 61
3.1. 연구모형 61
3.2. 연구 가설의 설정 62
3.2.1. 연구모형 I에 대한 가설 62
3.2.2. 연구모형 II에 대한 가설 74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82
3.3.1. 인지된 즐거움 83
3.3.2. 개인 혁신성 84
3.3.3. 자기 효능감 85
3.3.4. 상대적 이점 86
3.3.5. 적합성 87
3.3.6. 인지된 위험 88
3.3.7. 성과기대 89
3.3.8. 노력기대 90
3.3.9. 신뢰 91
3.3.10. 혁신저항 92
3.3.11. 사용 의도 92
3.4. 설문조사 대상 및 분석방법 93
제4장 연구모형 I 실증분석 95
4.1. 표본의 특성 95
4.2.1. 인구 통계학적 특성 95
4.2.2. 일반적 특성 96
4.2. 신뢰성 분석 97
4.3. 확인적 요인분석 및 측정항목 평가 98
4.3.1. 모델 적합도 평가 99
4.3.2. 타당성 분석 102
4.4. 가설의 검증 105
4.4.1.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105
4.4.2. 가설검증 결과 107
제5장 연구모형 II 실증분석 111
5.1. 표본의 특성 111
5.2. 신뢰성 분석 111
5.3. 확인적 요인분석 및 측정항목 평가 112
5.3.1. 모델 적합도 평가 112
5.3.2. 타당성 분석 115
5.4. 가설의 검증 119
5.4.1.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119
5.4.2. 가설검증 결과 120
제6장 결론 124
6.1. 연구 결과 요약 124
6.1.1. 연구모형 I 결과 요약 124
6.1.2. 연구모형 II 결과 요약 126
6.2. 연구의 시사점 128
6.2.1. 학술적 시사점 128
6.2.2. 실무적 시사점 130
6.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32
참고문헌 134
설문지 155
ABSTRACT 163
표 1.1. 연구의 흐름도 19
표 2.1. 주요 생체인증 기술 분류 21
표 2.2. 생체인식 인증기술 간 장단점 비교 21
표 2.3. 생체인식 기술 주요활용 사례 22
표 2.4. 'One ID' 구현 Timeframe 25
표 2.5. 공항별 생체인식 인증기술 적용 사례 29
표 2.6. 여객 탑승수속 평균소요시간 분석결과 30
표 2.7. 국내선 One ID 탑승서비스 이용실적 분석 31
표 2.8. 생체인식 기반기술의 사회적 수용에 관한 선행연구 35
표 2.9. 신제품/혁신기술을 대상으로 혁신저항 선행연구 43
표 2.10.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구성 이론 47
표 2.11. UTAUT를적용한 선행연구 49
표 3.1. 연구모형 I가설 정리 73
표 3.2. 연구모형 II 가설 정리 81
표 3.3. 설문지 구성 82
표 3.4. 인지된 즐거움 측정항목 83
표 3.5. 개인 혁신성 측정항목 85
표 3.6. 자기효능감 측정항목 86
표 3.7. 상대적 이점 측정항목 87
표 3.8. 적합성 측정항목 88
표 3.9. 인지된 위험 측정항목 89
표 3.10. 성과기대 측정항목 90
표 3.11. 노력기대 측정항목 90
표 3.12. 신뢰 측정항목 91
표 3.13. 혁신저항 측정항목 92
표 3.14. 사용 의도 측정항목 93
표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구모형 I, II 공통) 95
표 4.2. 표본의 일반적 특성(연구모형 I,II공통) 97
표 4.3. 측정변수의 신뢰도 98
표 4.4.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Model Fit) 평가기준 100
표 4.5. 연구모형I 모형적합도(Model Fit) 평가결과 101
표 4.6.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연구모형I) 103
표 4.7. 구성개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연구모형I) 105
표 4.8. 판별 타당성 검증결과(연구모형I) 105
표 4.9. 구조방정식 모형적합도 결과(연구모형I) 106
표 4.10. 가설의 검증 결과 (연구모형I) 108
표 5.1. 측정변수의 신뢰도 112
표 5.2.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적합도(Model Fit) 평가기준 113
표 5.3. 연구모형II 모형적합도(Model Fit) 평가결과 114
표 5.4.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연구모형II) 117
표 5.5. 구성개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연구모형II) 118
표 5.6. 판별 타당성 검증결과(연구모형II) 118
표 5.7. 구조방정식 모형적합도 결과(연구모형II) 120
표 5.8. 가설의 검증 결과 (연구모형II) 121
그림 2.1. Smart Path 26
그림 2.2. 바이오 패스 이용단계 32
그림 2.3. 혁신확산 이론 39
그림 2.4. 혁신 저항의 4가지 유형 41
그림 2.5. 혁신저항 모형 42
그림 2.6.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모형 46
그림 2.7.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 모형 48
그림 3.1. 연구모형 I 61
그림 3.2. 연구모형 II 62
그림 4.1. 가설검증 결과(연구모형 I) 109
그림 5.1. 가설검증 결과(연구모형 II) 122
지난 2015년에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는 공항에서 여객에게 무단절의 매끄러운 여정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적인 해답으로 생체인식을 기반으로 한 단일여행 토큰(single travel token)을 제시하였다. 이후 전 세계의 공항에서는 생체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One ID(One Identity)의 적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One ID의 개념은 이용객이 공항에 도착하여 항공기 탑승까지의 전 여정을 승객 정보로부터 추출된 단일 여행토큰, 즉 싱글토큰을 이용하여 여권이나 탑승권 없이 체크인, 백드랍, 보안검색, 항공기 보딩 등 모든 확인점(checkpoint)을 통과하는 것으로 스마트 공항의 핵심기술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국내 공항도 예외는 아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스마트공항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스마트 공항으로의 전환을 꾀하기 시작했으며, 김포공항과 제주공항을 포함한 전국 14개 국내공항에서는 2018년부터 생체정보 인증 신분확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공항 추진계획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국내공항에 적용될 싱글토큰 기능으로써의 바이오 패스에 대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에 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수용모델인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과 혁신기술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 행동적 거부감을 설명하는 혁신저항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 특성변인과 혁신 특성변인을 각각 선행변수로 설정한 두 개의 모형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특성변인 중 인지된 즐거움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혁신저항 및 신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은 혁신저항을 제외하고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개인 혁신성은 노력기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는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혁신저항 및 신뢰는 모두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패스 사용확산을 위하여 생체인식 등록 키오스크, 바이오게이트 등의 디자인, 인터페이스 등의 개선이나 할인 쿠폰과 같은 특별한 서비스나 혜택을 제공하거나 흥미로운 광고나 마케팅 등을 통하여 이용객들의 즐거움과 재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둘째, 혁신 특성변인 중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혁신저항 및 신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인지된 위험은 혁신저항과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UTAUT의 독립변수 중 성과기대만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노력기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신뢰는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이 없으며, 혁신저항 및 신뢰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패스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길게 늘어선 대기줄을 피하고 신속하고 편안하게 수속을 마칠 수 있도록 바이오 게이트 등 바이오 인프라 확충이나, 면세점 등 다양한 사용처 확보가 필요하며 개인정보 유출 등의 위험에 대비하여 안전한 인증기술의 채택과 보안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다. 나아가 정부에서는 국민의 편익과 보안 강화를 위해 관련법령의 개정도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