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ABSTRACT 12
제1장 내러티브를 들어가며 15
1.1. 내러티브의 시작 15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1.3. 연구 퍼즐 22
1.4. 용어의 정의 23
제2장 문헌 고찰 24
2.1. 시각장애 여성의 삶과 특성 24
2.1.1. 시각장애 정의와 구분 24
2.1.2. 장애 여성과 시각장애 여성의 특성 28
2.1.3. 장애 여성의 어머니로 사는 삶과 특성 32
2.2. 셀프리더십 개념과 삶에 미치는 영향 35
2.2.1. 셀프리더십 개념 35
2.2.2. 셀프리더십 자기 영향 요인 37
2.2.3. 셀프리더십이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 42
제3장 연구 방법 46
3.1. 내러티브 탐구와 절차 46
3.2. 연구 참여자 선정 49
3.3. 자료 수집 51
3.4. 자료 분석 53
3.5. 연구의 엄격성 56
3.5.1. 연구의 윤리성 56
3.5.2.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 58
제4장 연구 결과 61
4.1. 삶에 관한 이야기: 박한희, 이유진, 김소민의 내러티브 62
4.1.1. 박한희의 내러티브 기술 62
4.1.2. 이유진의 내러티브 기술 94
4.1.3. 김소민의 내러티브 기술 120
4.2. 공명을 불러일으키는 줄거리 엮기 146
4.2.1. 갈망: 만약 볼 수 있었더라면 147
4.2.2. 독립: 추동을 이끄는 사건 151
4.2.3.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 속 셀프리더십 160
제5장 내러티브를 나오면서 165
5.1. 개인적 정당화 166
5.2. 실천적 정당화 171
5.2.1. 왜곡된 인식에서 벗어나기 172
5.2.2. 관계적 탐구자로 살기 176
5.3. 함의 181
참고문헌 185
부록 199
[부록 1] 200
[부록 2] 203
[부록 3] 204
[그림 4-1]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 속 셀프리더십 의미 16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에서 나타나는 셀프리더십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 퍼즐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의 과정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에서 비춰진 셀프리더십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시력을 잃게 된 후부터 현재 어머니로 사는 삶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야기를 살아왔는지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하였다.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 세 명을 대상으로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연구참여자들 개인별 심층 면담과 비구조화된 대화 방식, 전화 면담, 메일, 문자 메시지, 영상자료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과 Connelly(2007)의 분석 방법에 따라 삼차원적 공간에서 자료를 입체화시켜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기술은 첫 번째 연구 퍼즐에 답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독특한 자기만의 살아낸 이야기를 각각의 조각들과 파편의 고유성에 주의를 기울여 내러티브 덩어리로 엮어내었다. 이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분석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기술 간에 반향을 일으키는 공명을 찾아 갈망과 독립, 그리고 삶 속 셀프리더십이라는 세 개의 줄거리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는 제한된 진로에도 불구하고 자기 꿈을 위해 끝없이 도전하는 모습에서 자기 통제력을 나타냈다. 둘째, 모성권을 지켜냄으로써 가정에서의 여성 역할에 대한 의심을 불식시키고 자기의 존재가치를 증명해 내는 셀프 리더의 삶을 살아냈다. 셋째, 안정된 가정을 꾸리겠다는 셀프리더십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사회복지 급여 수급권을 포기하고 경제적 독립의 가치를 실현했다. 넷째, 시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굴복하지 않고 타인에게 의존하는 삶이 아닌 자기 주도적이고 공동체적인 삶을 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을 통해 학교생활, 직업생활, 결혼생활의 일상을 살아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전맹 시각장애 여성의 삶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셀프리더십'을 '장애'라는 측면에서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를 바라보는 접근을 시도하였다. 셋째, 장애에 대한 책임을 손상을 가진 개인으로 보지 않고 사회모델 개념을 전제로 봄으로써 장애를 둘러싼 가치관이나 잘못된 고정관념에 대한 책임 의식을 형성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넷째,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가 경험하는 갈망에 대한 이해와 독립성 확립에 필요한 경험, 자율성 욕구 해소를 통해 자기 효능감, 자기 통제감, 목적의식을 형성해 가는 근거를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전맹 시각장애 어머니의 삶 속에 비춰진 셀프리더십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로서 이를 바탕으로 인간 삶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