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8
제2장 조종암의 건립과 변천 17
제1절 조종암의 건립과 위상 변화 17
제2절 구의행사·대통행묘 건립 28
제3장 조종암에 대한 화서학파의 인식 37
제1절 이항로·김평묵의 조종암 인식 37
제2절 유중교의 조종암 인식 44
제4장 결론 61
참고문헌 65
Abstract 68
본 연구는 조선 후기 朝宗巖의 건립 이후 각 사유 주체가 공간을 정체성과 어떻게 결부하고자 했는지를 그들이 취한 전략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조종암은 尊明義理의 표상이라는 점에서는 변함없는 의미를 지닌 공간이었지만, 각 주체가 조종암을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지점은 서로 달랐다. 기존 연구가 주로 명 유민 정체성 문제의 세부 사항으로서 조종암을 분석했다면, 본 연구는 조선 지식인이 취한 수용과 해석의 전략이 그들의 정체성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긴 시간선 위에서 찾아내고자 했다.
조종암은 17세기 후반 許格, 李齊杜, 白海明 등에 의해 세워졌다. 건립자들은 巖面에 존명의리의 가치를 담은 글자를 새겼다. 사라진 명에 대한 변함없는 의리를 상징하는 공간을 만들어 낸 것이다. 19세기 초반 趙鎭寬은 조종암을 중화 계승 의식 위에서 읽어냈다. 공간이 지닌 가치에 동의하면서도 그 위에 계승의 의미를 덧붙인 것이다. 이는 18세기 초반 대보단·만동묘의 건립 이후 중화 계승 의식이 본격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해석이었다.
19세기 중반 明 遺民은 조종암 옆에 선조인 九義士와 명 태조를 제사하는 공간을 만들었다. 조종암이 지닌 가치를 전유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조선 지식인이 중요시했던 명 신종과 명 의종의 존재감은 희미해지고 대신 명 태조가 자리를 차지했다. 명 유민의 전략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특별함을 드러내기 위한 구별 짓기의 시도였다. 명 유민은 중화문화의 진정한 구현자이자 정통성 있는 계승자는 조선 지식인이 아니라 자신들이라고 주장했다.
19세기 중후반 화서학파는 이러한 명 유민의 인식을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도 조종암을 자신들의 영향력 속에서 다시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들은 명유민의 중요성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중화문화의 진정한 계승자는 그들이 아니라 조선이라고 인식하였다. 金平默은 당대 지식인이 명 유민을 제대로 대우하지 않는 모습을 비판했지만, 그가 제기한 문제의 핵심은 존명의리의 구현자여야 할 조선이 책무를 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편 그는 「朝宗巖三賢傳」 등을 저술하며 조종암이 지닌 가치를 재생산하고자 했다.
柳重敎는 명 태조의 제사 공간이 지닌 의리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명 신종·의종을 중시했던 기존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 통합을 시도했다. 명 유민의 전략을 春秋義理의 연장선 위에 놓음으로써 중화 문명의 계승자는 조선임을 분명히 하고자 한 것이다. 유중교는 명 유민의 永曆 연호 사용을 지지했지만, 그것은 崇禎 연호 사용이 잘못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영력 연호를 중시하지 않는 태도가 南明의 정통성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화서학파는 중화 계승 의식 속에 명 유민의 주장을 녹여내고자 했으며, 그 목표는 명 유민의 전략을 통해 창출된 권위를 자신들에게 연결함으로써 정체성과 권위를 강조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의리의 표상으로 존재하는 공간에 접근하는 주체의 전략을 탐구함으로써, 정체성과 권위를 강조하기 위한 시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중요시하지 않았던 수용 전략을 재검토하여 공간·가치가 정체성과 결합하는 양상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 후기 중화 인식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