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8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0
1. 연구의 범위 20
2. 연구의 방법 21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분석의 틀 24
제1절 문화지역의 개념과 특성 24
1. 문화지역의 개념과 유형 24
2. 문화지역의 특성 28
3. 문화지역의 발전 31
제2절 도시회복력 개념과 이론 41
1. 도시회복력 개념 41
2. 도시회복력 이론 44
제3절 분석의 틀 50
1. 문화지역 회복력 요인 구성 50
2. 분석틀과 분석방법 54
제3장 문래창작촌 현황 및 예술생태 특성 56
제1절 문래창작촌 형성과 도시 여건 56
1. 문래창착촌 형성 56
2. 문래창작촌의 도시 여건 58
제2절 문래창작촌 예술생태 구성과 특징 77
1.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특성 77
2. 문래창작촌 예술 장르 특성 85
3. 문래창작촌 입지 요인 86
4. 소결 93
제4장 문래창작촌의 상업화와 예술생태 변화 94
제1절 문래창작촌의 상업화 94
1. 상업화 현황 94
2. 상업화의 단계별 특성 104
제2절 상업화로 인한 지역환경과 예술생태 변화 110
1. 상업화로 인한 지역 환경 변화 110
2. 상업화로 인한 예술생태 변화 113
제5장 상업화에 대응하는 문래창작촌의 도시회복력 118
제1절 지역 변화에 대한 적응 118
1. 상업적 장르로 변화 118
2. 상업적 공간으로 활용 120
3. 상업적 예술활동 등장 125
제2절 지역 내 이동과 확장 129
1. 지역 내 이동 129
2. 지역의 확장 133
제3절 민관협력을 통한 대응 137
1. 예술가 대응 네트워크 137
2. 공공과의 협력 대응 148
제4절 상업화의 이슈화 및 저항 158
1. 축제를 통한 대응 158
2. 예술활동을 통한 대응 160
3. 포럼 및 실태조사를 통한 대응 164
제6장 결론 168
제1절 연구 결과 168
제2절 연구 함의 173
참고문헌 176
ABSTRACT 186
[표 1-1] 데이터 수집 21
[표 1-2] 심층 인터뷰와 FGI 추진사항 22
[표 2-1]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 언급수(2015~2019 학위논문) 31
[표 2-2] 문화를 통한 도시혁신전략의 단계와 사례 33
[표 2-3] 거버너스 아일랜드 아트(Governors Island Arts) 34
[표 2-4] 문화지역 형성 주요 흐름 35
[표 2-5] 문화지구 지정 현황 36
[표 2-6] 예술활동 거점지역 활성화사업 추진계획안 39
[표 2-7] 관점에 따른 회복력 개념 및 특성 44
[표 2-8] 회복력 구성요소 종합 48
[표 2-9] 인사동 권장업종 분포 현황 51
[표 2-10] 대학로 내 공연장 규모 변화 51
[표 2-11] 대학로 시기별 공연장 분포 현황 52
[표 2-12] 문화지역에 회복력 적용(조작적 정의) 54
[표 2-13] 문래창작촌 회복력 적용 시 분석대상 55
[표 3-1] 문래동 일대 도시계획 추진현황 63
[표 3-2]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 주요 내용 64
[표 3-3] 문래동1~4가 도시환경정비계획 정비구역 분할 66
[표 3-4] 문래동 1~3가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정비계획 수립 방향 68
[표 3-5] 경인로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사업계획 70
[표 3-6] 문래동1~4가 건축물 경과연도 70
[표 3-7] 문래동1~4가 건축물 연면적 71
[표 3-8] 문래동1~4가 건축물 용적율 현황 71
[표 3-9] 문래동1~4가 건축물 지상 층수 현황 72
[표 3-10] 문래동1~4가 건축물 지하 층수 현황 73
[표 3-11] 문래동1~4가 건축물 주용도 현황 73
[표 3-12] 문래동1~4가 건축물 주구조 현황 74
[표 3-13] 문래동1~4가 필지 면적 현황 75
[표 3-14] 문래동1~4가 필지 면적 평균 75
[표 3-15] 문래동1~4가 필지 공시지가 현황 75
[표 3-16] 문래동1~4가 필지 공시지가 평균 76
[표 3-17] 문래동1~4가 필지 소유자 현황 76
[표 3-18]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유형 78
[표 3-19]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면적 79
[표 3-20]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층수 80
[표 3-21]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운영기간 80
[표 3-22]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운영형태 81
[표 3-23] 창작공간 월 임차료 82
[표 3-24] 창작공간 입지한 건축물 특성 - 준공연도 83
[표 3-25] 창작공간 입지한 건축물 특성 - 필지면적 83
[표 3-26] 창작공간 입지한 건축물 특성 - 주용도 84
[표 3-27] 창작공간 입지한 건축물 특성 - 건축물 구조 84
[표 3-28] 문래창작촌 활동 예술가 대표 활동 분야 85
[표 3-29] 문래창작촌 활동 예술가 전체 활동 분야 86
[표 3-30] 문래창작촌에 공간 마련 이유 87
[표 3-31] 문래동이 변했으면 하는 방향 92
[표 4-1] 문래동1~4가 외식업 개·폐업 현황 95
[표 4-2] 2019년과 2022년 외식업 현황 문래동1~4가 비교 96
[표 4-3] 문래동 1가~4가 외식업 현황(2022.12.31. 기준) - 인허가연도 97
[표 4-4] 문래동 3가 57, 58번지 연도별 외식업 분포 현황 100
[표 4-5] 문래동2가 외식업 개·폐업 현황 102
[표 4-6] 문래동2가 연도별 외식업 분포 현황 103
[표 4-7] 문래동 2가 외식업 현황(2022.12.31. 기준) - 인허가연도 104
[표 4-8] 문래창작촌의 상업화 단계 109
[표 4-9] 여러 개의 상업공간을 운영하는 사례 112
[표 5-1] 문래동 예술가 활동 분야(2008) 119
[표 5-2] 문래동 예술가 활동 분야(2022) 119
[표 5-3] 문래동 창작공간 활용형태(2010) 121
[표 5-4]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활용 형태 123
[표 5-5] 문래창작촌에서 계속 활동하는 이유(예술가 인터뷰 및 FGI) 130
[표 5-6] 문래창작촌에서 계속 활동하는 이유(예술가 인터뷰) 133
[표 5-7] 문래창작촌 연도별 창작공간 현황 135
[표 5-8] 문래예술공장 운영위원회 해산과 문래예술인회의 출범 과정 139
[표 5-9] 문래예술인회의 주요 활동 140
[표 5-10] 예술안심도시협동조합 설립 목적 141
[표 5-11] 예술안심도시 협동조합 기획공간 운영 142
[표 5-12] 예술안심도시 협동조합 전시작가 공모사업(2022) 143
[표 5-13] 문래캠퍼스 강좌 프로그램(2018) 144
[표 5-14] 문래예술공장 공간 구성 149
[표 5-15] 문래예술공장(서울문화재단)에서 추진한 문래창작촌 활성화사업 150
[표 5-16] 문래예술공장(서울문화재단)에서 추진한 MEET 151
[표 5-17] 술술센터 공간 구성 155
[표 5-18] 2022년 문래공공예술 지원사업 주요내용 157
[표 5-19] 영등포네트워크예술제 개최 현황 159
[표 5-20] 문래오픈포럼(2016) 165
[표 5-21] 2022 문래동 창작환경 실태조사 설문문항 166
[표 6-1] 문래창작촌 회복력 분석결과 종합 172
[그림 1-1] 연구의 구성 19
[그림 1-2] 연구의 공간적 범위 20
[그림 2-1] 국내 문화주도 젠트리피케이션 전개 과정 29
[그림 2-2] 젠트리피케이션 학술 연구 건수 30
[그림 2-3] 적응적 순환 45
[그림 2-4] 4가지 회복력 구성요소 47
[그림 2-5] 분석의 틀 55
[그림 3-1] 문래창작촌 형성과정 58
[그림 3-2] 문래창작촌 범위 59
[그림 3-3] 문래창작촌 주변 현황 60
[그림 3-4] 문래창작촌 일대 용도지역 현황 61
[그림 3-5] 문래동 기계금속 집적지 업종 분류도 62
[그림 3-6] 문래동1~4가 도시환경정비계획 정비구역 설정 65
[그림 3-7] 문래동1~4가 도시환경정비계획 토지이용계획 66
[그림 3-8] 문래동 1~3가 정비 기본구상 67
[그림 3-9] 경인로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재생거점별 기본방향 69
[그림 3-10]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분포 현황(2022) 77
[그림 3-11]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분포 현황-면적(2022) 79
[그림 3-12]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분포 현황-운영기간(2022) 81
[그림 4-1] 문래동1~4가 외식업 개·폐업 현황 95
[그림 4-2] 문래동 1~4가에서 영업 중인 외식업 현황(2022.12.31.기준) 98
[그림 4-3] 문래동3가 57, 58번지 위치 98
[그림 4-4] 문래동 3가 57, 58번지 외식업 개·폐업 추이 99
[그림 4-5] 문래동 3가 57, 58번지 외식업 업소수 및 평균 영업기간 추이 100
[그림 4-6] 문래동 2가 외식업 개·폐업 현황 101
[그림 4-7] 문래동 2가 외식업 업소수 및 평균 영업기간 추이 104
[그림 4-8] 올드문래 전경 107
[그림 4-9] 웨이브스 전경 108
[그림 4-10] 문래창작촌 내 셀프사진 스튜디오 현황 109
[그림 4-11] 옥상 공간을 활용하는 상업시설 현황(인허가연도 기준) 111
[그림 4-12] 옥상 공간을 활용하는 상업시설 전경 111
[그림 4-13] 꼴라보하우스 문래 113
[그림 4-14] 아케이드 서울 113
[그림 5-1] 문래창작촌 공방 현황(2017) 120
[그림 5-2] 문래창작촌 공방 현황(2022) 120
[그림 5-3]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활용 형태 123
[그림 5-4] 힐링포레스트 공간 운영 현황 124
[그림 5-5] 갤러리 문래 126
[그림 5-6] 문래골목숲길 현황 127
[그림 5-7] 2023 문래아트페어 128
[그림 5-8] 문래창작촌 창작공간 분포 현황(2008.12.) 133
[그림 5-9] 문래창작촌 영역 확장 134
[그림 5-10] 문래 14 홍보물 146
[그림 5-11] '선물의 집 문래'에서 판매하는 작품 147
[그림 5-12] '문래창작촌의 자존심, 숲은 살아있다 展' - 포스터와 오프닝 파티 162
[그림 5-13] '치솟는 월세에 살아남은 공간들의 생존투쟁' 홍보물 164
본 연구는 문화지역의 상업화와 이에 따른 예술가들의 변화(적응)와 지역의 회복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회복력은 불확실성과 예상치 못한 미래 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고 문제를 회피하거나 완화하는 것에서 머무르지 않고 충격에 적응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고려한다는 점에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지역에서 숙명처럼 발생하는 상업화의 양상과 이러한 상업화 속에서 생존을 위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고자 노력하는 예술가의 모습을 회복력 이론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회복력 이론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4R(내구성, 가외성, 자원활용성, 신속성)을 문화지역의 특성에 맞게 재정의하여 상업화에 대응해 문화지역에서 나타나는 회복력의 속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지는 코로나 이후 급격한 상업화에 직면해 있고 소규모 작업실로 구성되어 있어 환경 변화에 따라 이탈하기 쉬운 문래창작촌으로 설정했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화에 따른 지역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상업적인 장르변화와 공간 활용, 상업적 예술활동이 나타나고 있다. 순수예술인 회화 장르는 감소하고 상업적인 변용이 가능한 공예 장르가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창작 공간은 판매, 교육, 대관 등 상업적인 활동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적인 예술활동의 형태도 보였는데, 펍이나 레스토랑 등 기존 상업시설에 예술이 결합되는 형태, 골목형의 갤러리 밀집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아트페어 개최 등의 현상도 보였다. 지역의 상업화에 적응하는 방안으로 상업적인 예술이 가능하고, 방문객이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간을 이동하더라도 문래창작촌이라는 지역 안에서 창작활동을 이어가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대료 상승, 노후화 된 환경, 상업화로 인한 불편 등이 지역 이동의 주요한 이유였지만, 문래창작촌에서 창작활동을 계속 이어가기 위해 지역 내에서 이동을 택하는 예술가들이 꽤 나타났다. 이러한 예술가들의 이동은 문래창작촌이라는 지역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민관협력을 통한 대응도 나타났다. 지역의 예술인 자치조직과 협동조합의 설립은 지역 내 변화에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힘으로 작동했으며, 예술가 간에는 공동마케팅을 통해 창작활동을 이어가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에서는 문래창작촌의 예술생태 보존을 위해 거점시설 건립, 창작지원 사업, 공간지원 사업 등을 추진했다.
넷째, 지역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축제와 예술 활동, 포럼 등의 방식으로 이슈를 의제화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창작촌 형성 초기에는 재개발에 대응해 지역에 예술가들이 존재함을 알리기 위해 축제를 개최했다면, 상업화가 나타난 이후에는 창작촌에 트랜디 한 상업시설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가 있음을 알리는 방식으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상업화 인지 이후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실태조사 및 포럼을 추진했으며, 상업화를 주체로 하는 전시, 다큐멘터리 등 예술활동을 통해 상업화를 이슈화하기도 했다. 이런 예술활동으로 실제 밀려날 뻔했던 공간이 버틸 수 있었던 사례가 나타나기도 했다.
상업화 속에서도 예술가들이 문래창작촌에서 생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렴한 임대료와 편리한 교통, 자유로운 공간 활용 등 문래창작촌이 가진 환경적 특성도 중요한 이유였지만, 지역 안에서 만들어진 예술가 네트워크와 이를 통한 협업과 예술적 자극, 서로 간 연대와 지지, 지역 자원 활용 등이 예술가들이 스스로를 변화시키면서 문래창작촌에 계속 머무르게 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이 문화지역의 상업화 양상과 그 결과로 나타난 예술(가)의 이탈을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면 본 연구는 상업화라는 지역 변화 속에서 예술가들이 생존하기 위해 어떻게 적응하고 대응하는지를 살펴봤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문화지역이 지속적으로 보전·육성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지속적인 관찰과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예술가들이 상업화되는 환경 속에서 예술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