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Ⅰ. 머리말 10

1. 연구사 검토 10

2. 연구 대상 및 방법 16

Ⅱ. 대상 유적 현황 20

1. 영서지역 20

1) 철원 동주산성 20

2) 철원 성산성 21

3) 철원 할미산성 22

4) 춘천 봉의산성 23

5) 횡성 갈풍리산성 24

6) 홍천 대미산성 24

7) 홍천 석화산성 25

8) 원주 해미산성 26

9) 영월 대야산성 27

10) 영월 정양산성 28

11) 평창 노산성 29

12) 정선 고성리산성 29

13) 정선 송계리산성 30

14) 정선 애산리산성 31

2. 영동지역 32

1) 삼척 오화리산성 32

2) 삼척 숙암리산성 33

3) 강릉 강문동토성 33

4) 강릉 명주산성 34

5) 양양 석성산성 35

6) 양양 후포매리산성 36

Ⅲ. 대상 유적 분석 37

1. 속성 분류 37

1) 산성의 분포 양상에 따른 분류 37

2) 산성의 형식 및 규모에 따른 분류 38

3) 산성의 성벽 축조방법에 따른 분류 45

4) 성벽의 시설물에 따른 분류 54

5) 산성 내 출토유물 58

2. 단계 설정 60

1) I기 60

2) II기 61

3) III기 62

Ⅳ. 강원지역 신라 산성의 축조 양상 65

1. 단계별 양상 65

1) I기 65

2) II기 75

3) III기 79

2. 관방체계와 교통로 82

Ⅴ. 맺음말 86

참고문헌 89

Abstract 94

표목차

표 1. 강원지역 내 성곽유적 현황 17

표 2. 강원지역 신라 산성 현황 17

표 3. 산성의 분포 양상에 따른 분류 37

표 4. 산성의 형식에 따른 분류 39

표 5. 산성 성벽의 둘레 분류 41

표 6. 산성의 비고(比高)에 따른 분류 43

표 7. 산성의 해발고도(표고)에 따른 분류 43

표 8. 산성의 해발고도와 비고(比高) 44

표 9. 산성의 축성 재료에 따른 분류 45

표 10. 석성 성벽 단면 형태에 따른 분류 48

표 11. 협축 성벽 간의 비교 50

표 12. 유적의 출토유물 59

표 13. 강원지역 신라 산성 속성표 63

그림목차

그림 1. 강원지역 신라 산성 현황 18

그림 2. 강원지역 신라 산성 현황 19

그림 3. 산성의 형식에 따른 분류 40

그림 4. 표고와 비고의 개념도 42

그림 5. 토성의 토층단면도 46

그림 6. 협축 성벽 외벽 현황도 51

그림 7. 편축 성벽 외벽 현황도 53

그림 8. 영월 정양산성 내 시설물 58

그림 9. I기 위치도 60

그림 10. II기 위치도 61

그림 11. III기 위치도 62

그림 12. 강릉 강문동토성 전체 현황도 68

그림 13. 양양 후포매리산성 채집 토기 70

그림 14. 양양 후포매리산성 잔존 성벽 71

그림 15. 양양 후포매리산성과 고분군 위치도 72

그림 16. 삼척 오화리산성 현황도 74

그림 17. 삼척 오화리산성 출토 유물 74

그림 18. 보은 삼년산성과 문경 고모산성 77

그림 19. 삼척 숙암리산성 위치도 79

그림 20. 순흥 비봉산성과 읍내리고분군 (左 :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 右 : 세종문화재연구원, 2017) 80

그림 21. '명주성' 명 와당 82

그림 22. 대상 유적 단계별 위치도 85

초록보기

 본 논문은 강원지역 신라 산성에 관한 연구이다. 강원지역에서 확인된 신라 산성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고, 분석 가능한 속성을 추출하여 형식을 분류하고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서 강원지역의 신라 산성이 어떤 맥락에서 축성되었는지 파악하고, 신라의 관방체계와 교통로에 대해서도 파악하였다.

강원지역에서 확인된 성곽유적은 총 90개이다. 이 중에서 현재까지 신라 산성으로 파악된 곳은 총 20개소이다. 지역적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철원 3기, 춘천 1기, 횡성 1기, 영월 2기, 양양 2기, 정선 3기, 평창 1기, 원주 1기, 홍천 2기, 삼척 2기, 강릉 2기가 있다.

20기의 신라 산성을 중심으로 각 특징을 선별하고, 이 중에서 현재까지 유실되지 않고 비교적 잘 남아 있어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특징을 중심으로 속성을 파악하였다. 그 속성은 ①분포양상, ②형식 및 규모, ③성벽 축조방법, ④성벽의 시설물, ⑤출토유물 등이다. 이를 종합하면 신라 산성의 축성 시기를 총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I기는 강원지역에 산성이 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로, 동해안에 위치하며 토성 혹은 석성으로 축성되었다. 강원지역 신라 산성의 대부분은 석축성으로 확인되고 있지만, I기의 유적들은 대부분 토성으로 분포한다. 이 중 가장 먼저 축성된 성은 강릉 강문동토성으로 시기는 4세기 말에 해당한다.

II기는 석성이 주를 이루기 시작하며, 남한강 상류역을 따라 강 남안(南岸)에 축조된 양상을 보인다. 이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축성된 산성은 정선 송계리산성으로 5세기 중엽에 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II기 축성 초기에는 토성과 석성이 구간 별로 나누어 축성되는 양상이 보이며, 그 이후에는 모두 석성으로 축성된다. 성벽은 협축으로 쌓아올렸으며, 대부분 장방형의 석재를 이용하여 '品'자형쌓기를 하였다.

III기는 모두 석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륙지역에 남-북으로 길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유적들은 원주-횡성-홍천-춘천 등의 교통로를 따라 분포하고 있으며, 6세기 중엽 이후로 확인된다. 성벽은 모두 편축법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석재는 방형 혹은 장방형의 성돌을 이용하였다. 석재의 크기가 II기의 유적들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다.

신라는 강원지역으로 진출하면서 교통로에 성을 축조하였으며 그 양상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첫째, 동해와 태백산맥 사이에 있는 평야지대를 따라 동해안로로 진출하였다. 이때 삼척·강릉지역을 통합하면서 교통로를 개척하였으며, 이 과정은 군사적 의미도 있지만 경제적·문화적 의미도 강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해안로에 진출한 이후 서쪽의 남한강 상류역으로 진출하였다. 이때 고구려와 대치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군사적 진출이었으며, 대외 진출로를 개척하기 위한 단계이다. 그 결과 남한강 상류역을 중심으로 신라가 횡적인 방어선을 구축하였으며 북에서부터 남하하는 적의 침략으로부터 대비할 수 있었다. 셋째, 동해안로와 남한강 상류역에 'ㅓ'자의 형태로 방어선을 구축한 신라는 이후 경주-대구-상주-단양-원주-횡성-홍천-춘천-철원으로 연결되는 긴 육상교통로를 확보하면서 북진을 위한 군사적 이동과 지원을 유리하게 가져간 것으로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