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8

Ⅰ.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3

3. 용어의 정의 13

1) 경력단절간호사(Inactive nurses) 13

2)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 14

3) 직업가치관(Work value) 14

4) 재취업 의도(Re-employment intention) 14

Ⅱ. 문헌 고찰 15

1. 경력단절간호사 현황 15

2.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영향 요인 16

3. 사회적지지 18

4. 직업가치관 20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설계 22

2. 연구 대상 22

3. 연구 도구 23

(1) 사회적지지 23

(2) 직업가치관 23

(3) 재취업 의도 23

4. 자료수집 및 절차 24

5. 자료 분석 방법 24

6. 윤리적 고려 25

Ⅳ. 연구 결과 2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2. 대상자의 사회적지지, 직업가치관 및 재취업 의도 정도 28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취업 의도 29

4. 사회적지지, 직업가치관 및 재취업 의도 간의 상관관계 31

5. 대상자의 재취업 의도 영향요인 33

Ⅴ. 논의 34

Ⅵ.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1

부록 51

〈부록 1〉 연구 대상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 51

〈부록 2〉 연구 심의 결과 통지서 54

〈부록 3〉 연구대상자용 설문지(온라인) 56

Abstract 61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7

〈Table 2〉 Participants' Social support, Work value, Re-employment intention 28

〈Table 3〉 Differences in Re-employment inten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30

〈Table 4〉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Work value, Re-employment intention 32

〈Table 5〉 Factors influencing Re-employment intention 33

초록보기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직업가치관이 재취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간호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어 이전에 보건소 및 의원급, 병원급, 종합병원급, 상급종합병원급에 근무 하였으나 현재 기준으로 1년 이상 보건소 및 의원급, 병원급, 종합병원급, 상급종합병원급에 간호사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여성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10월 24일부터 10월 28일까지 자가보고형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나이는 30세~35세가 54.4%로 가장 많았고 평균 33.22세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57.6%였고, 가구 형태는 3인 가구가 34.4%로 가장 많았다. 자녀는 50.4% 없었고, 자녀가 있는 49.6% 중 자녀 수는 1명이 79%, 막내 자녀 나이는 7세 미만 81.5%, 육아대행자(가족, 지인, 보육기관 등)는 있음이 62.1%였다. 임상 경력은 5

2. 년 이상이 52.4%, 경력단절기간은 1년이 36%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사회적지지의 전체 평균은 4.05±0.52,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 평균은 4.10±0.53, 정보적지지 평균은 4.07±0.56, 물질적지지 평균은 3.92±0.61, 평가적지지 평균은 4.09±0.54였다. 직업가치관의 전체 평균은 3.91±0.49, 하위요인인 외재적가치 평균은 4.02±0.48, 내재적가치 평균은 3.80±0.63이었다. 재취업 의도 평균은 3.83±0.80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취업의도를 분석한 결과 경력단절기간(F=4.04, p=.01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경력단절여성간호사의 사회적지지, 직업가치관과 재취업 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직업가치관과 사회적지지(r=.55, p<.001), 재취업 의도와 사회적지지(r=.23, p<.001), 재취업 의도와 정서적 지지(r=.28, p<.001), 재취업 의도와 정보적지지(r=.24, p<.001), 재취업 의도와 물질적지지(r=.20, p<.001), 재취업 의도와 평가적지지(r=.20, p<.001), 재취업 의도와 직업가치관(r=.51, p<.001), 재취업 의도와 외재적가치(r=.40, p<.001), 재취업 의도와 내재적가치(r=.48 p<.001)로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6.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업가치관이 재취업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단절여성간호사의 재취업 의도를 26.7%(R²=.288, adj.R²=.267, F=13.96, p<.001)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경력단절여성간호사의 직업가치관과 경력단절기간이 재취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간호사를 대상으로 재취업 격려 및 홍보, 개인의 역량과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간호사 적정 보수 지급 및 근무환경 등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