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2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선행 연구 검토 19
3. 연구 방법 29
1) 연구 기간 및 일정 30
2) 연구 절차 및 분석 30
3) 신뢰도와 타당도 31
Ⅱ. 올림픽과 학문적 배경 33
1. 메가 이벤트로서의 올림픽 33
2. 공연예술과 올림픽 42
3. 문화유산과 올림픽 49
Ⅲ. 올림픽 문화 프로그램 분석 60
1. 올림픽 문화 프로그램의 개념 60
2. 88서울 올림픽대회 문화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 60
1) 경축 행사 63
2) 공연 행사 64
3) 전시 행사 66
3. 평창동계올림픽 대회 문화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 69
1) 평창 올림픽 플라자의 문화 프로그램 행사 73
2) 강릉 올림픽 파크의 문화 프로그램 행사 74
3) 진부역의 문화시설 전시 프로그램 행사 75
4. 올림픽의 문화 프로그램 지속 성장 방안 78
Ⅳ. 올림픽 개·폐회식 공연예술 특성 분석 88
1. 88서울 올림픽 및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개요 88
1) 개·폐회식 개요 및 작품 내용 88
2) 개·폐회식 행사 계획 96
2. 88서울 올림픽 개회식 공연예술 특성 102
1) 앞마당 작품 102
2) 뒷마당 108
3. 88서울 올림픽 폐회식 공연예술 특성 114
1) 오작교-다리 놓기 115
2) 오작교-빛과 소리 116
3) 떠나는 배 117
4) 소원 118
5) 안녕-등불 춤 120
4.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공연예술 특성 121
1) 평화의 땅(문화예술 공연 1) 123
2) 태극: 우주의 조화(문화예술 공연 2) 124
3) 아리랑: 시간의 강 126
4) 모두를 위한 미래(문화예술 공연 4) 127
5) 행동하는 평화(문화예술 공연 5) 128
6) 소망의 불꽃(문화예술 공연 6) 129
5.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 공연예술 특성 131
1) 조화의 빛(문화예술 공연 1) 131
2) 새로운 시간의 축(문화예술 공연 2) 133
3) 열정의 노래(문화예술 공연 3) 133
4) 승리의 밤(문화예술 공연 4) 134
6. 올림픽 유산으로서의 공연예술 프로그램의 지속 성장 방안 및 논의 137
1) 공연예술 프로그램의 역할 적 측면 138
2) 현대과학과 예술의 융합으로 국가 전통 의미부여 139
3) 정책적 변화 141
Ⅴ. 결론 및 제언 144
참고문헌 149
부록 165
Abstract 168
〈그림 1〉 연구 절차 및 분석 31
〈그림 2〉 신뢰도와 타당도 32
〈그림 3〉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종류 37
〈그림 4〉 올림픽이 개최 지역에 미치는 유무형 효과 38
〈그림 5〉 올림픽이 참가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 39
〈사진 1〉 '강상제' 장면(좌) 102
〈사진 2〉 '강상제' 장면(우) 102
〈사진 3〉 '새벽길' 영상 장면(좌) 104
〈사진 4〉 '새벽길' 영상 장면(우) 104
〈사진 5〉 '용고행렬' 장면 105
〈사진 6〉 '천지인' 장면 106
〈사진 7〉 '태초의 빛'(좌) 107
〈사진 8〉 '태초의 빛'(우) 107
〈사진 9〉 '강복과 차일춤' 장면 108
〈사진 10〉 '화관무' 장면(좌) 110
〈사진 11〉 '화관무' 장면(우) 110
〈사진 12〉 '혼돈' 장면 110
〈사진 13〉 '벽을 넘어서' 장면 112
〈사진 14〉 '화합' 장면 113
〈사진 15〉 '오작교' 장면 115
〈사진 16〉 '오작교'-'빛과 소리' 장면 116
〈사진 17〉 '떠나는 배' 장면 117
〈사진 18〉 '기 인도무' 장면(좌) 118
〈사진 19〉 '장고 춤' 장면(우) 118
〈사진 20〉 '소원' 장면 118
〈사진 21〉 '안녕' - 등불 춤 장면 119
〈사진 22〉 '안녕' - 등불 춤 장면 119
〈사진 23〉 '평화의 땅' 장면(좌) 123
〈사진 24〉 '평화의 땅' 장면(우) 123
〈사진 25〉 '태극: 우주의 조화' 장면 124
〈사진 26〉 '아리랑: 시간의 강' 영상 장면(좌) 126
〈사진 27〉 '아리랑: 시간의 강' 영상 장면(우) 126
〈사진 28〉 '모두를 위한 미래' 장면(좌) 127
〈사진 29〉 '모두를 위한 미래' 장면(우) 127
〈사진 30〉 행동하는 평화 장면 128
〈사진 31〉 행동하는 평화 장면 128
〈사진 32〉 '소망의 불꽃' 영상 장면(좌) 130
〈사진 33〉 '소망의 불꽃' 영상 장면(우) 130
〈사진 34〉 '조화의 빛' 장면 132
〈사진 35〉 '새로운 시간의 축' 장면 133
〈사진 36〉 '열정의 노래' 장면 133
〈사진 37〉 '승리의 밤'장면(좌) 134
〈사진 38〉 '승리의 밤'장면(우) 134
〈사진 39〉 나오차오와 수이리팡 140
모든 올림픽의 개·폐회식은 스포츠 경기 이외에 '문화 프로그램'과 '예술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포괄적인 문화예술축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개·폐회식 예술 프로그램은 공연예술의 발자취와 그 시대의 발전상을 한 눈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수십억의 인구가 '공유와 소통'을 통해 상호 간의 예술적 공감대를 증대시키고 개최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88서울 올림픽 때만 해도 개, 폐회식의 예술 프로그램은 '마스게임'이라 일컬었으나, 현재는 공연예술로 지칭하며 전문성과 국가의 상징적 이미지를 조화롭게 펼쳐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민체전의 안무 감독을 맡아 진행해온 홍선미는, "국내의 전국 도민체전만 하더라도 주제공연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역할적인 면에서는 마스게임 개념과 큰 차이는 없지만,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 포괄적인 예술의 여러 장르를 활용한 그라운드 공연으로 변모되었다."(안무자 인터뷰, 2023)라고 언급한다. 그러므로 스포츠와 예술 융합의 결정체가 올림픽이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올림픽이 국가 행사 특성상 스포츠와 예술의 융합이 절실하게 요구되므로 그에 맞는 적절한 계획과 융합을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에 의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이 메가 이벤트로써 성공 개최한 88서울 올림픽과 2018년에 개최한 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 행사 및 개·폐회식 공연예술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스포츠예술 융합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 제시에 목적을 둔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88서울·평창 올림픽대회에 나타난 문화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인가?
두 번째 연구 문제는, 88서울·평창 올림픽대회 개·폐회식 공연예술 프로그램의 특성과 스포츠예술 융합의 지속 발전 가능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88서울·평창동계올림픽을 탐색한 결과, 문화 행사 및 개·폐회식 공연예술의 구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었다.
첫째, 88서울 올림픽의 기획된 프로그램은 경축 행사, 공연예술, 전시 행사, 국제학술대회로 진행, 평창동계올림픽 프로그램은 공연예술, 전시 행사, 문화 행사, 인문 및 체험, 교육 행사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88서울 올림픽의 개회식은 식전 행사(앞마당), 공식 행사, 식후 행사(뒷마당), 폐회식으로 거행되었고, 평창동계올림픽은 개, 폐회식의 문화 공연, 한국 전통문화와 미디어아트 등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공연예술로 구성되었다.
이 두 가지의 구성은 올림픽에서의 스포츠와 문화, 공연예술, 축제, 교육 등의 융합을 이루기 위한 기획이었음을 알게 해 준다.
본 연구 결과 88서울·평창 올림픽대회 개·폐회식 공연예술의 특성 분석 중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를 세분화시켜 한국의 다양한 모습을 기본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둘째, 시대 흐름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는 점이다.
또한, 88서울·평창 올림픽대회 개·폐회식 공연예술 프로그램 특성 중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의 표현 방식이 사실과 상징으로 나뉜다.
둘째, 양적인 화려함과 다양성, 생략과 함축의 차이를 보인다.
셋째, 동적인 표현 추구와 정적임의 필요성이 강조된 차이를 보인다.
넷째, 내적 추구와 외적 표출로 보인다.
다섯째, 스포츠와 예술의 융합 지점의 유무를 들 수 있다.
여섯째, 전통과 현대 예술인의 순수 기능 부각과 미디어나 드론 등의 미래지향적 기술력의 부각이 차이점으로 드러난다.
그렇다면, 올림픽에서 공연예술이 스포츠와의 융합 발전하여 지속 성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음의 6가지의 결과를 도출해 냈다.
첫째,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가치 확산 및 적극적인 홍보
둘째, 올림픽 계승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스포츠 공연예술 융합의 민·관 협의체 구성
셋째, 지자체, 스포츠 종목별 단체, 공연예술 단체, 과학의 연계를 위한 전문가 발굴 및 효율적인 시스템 마련과 운영
넷째, 스포츠인과 공연예술 인의 협력을 통한 융합 공연 활성화
다섯째, 올림픽의 '공연예술과 문화유산'의 연구 및 기록화 작업의 체계화
여섯째, 올림픽의 스포츠-공연예술의 융합 정책개발에 대한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책 강화
결국, 올림픽에서 공연예술이 스포츠와 융합 발전할 수 있는 길은 정부, 스포츠인, 공연예술인, 학자, 전문가, 기업 등이 '융합'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단합하여 연구하는 자세로 창의적인 아이디어 소통과 적극인 추진을 통해 이루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또한, 실천적 행동력이라는 것을 강조하여 문서화와 브리핑에 그치는 것이 아닌 작은 계획부터 큰 프로젝트까지 실천하는 행동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88서울·평창동계올림픽에 시행된 문화 프로그램 및 개·폐회식의 공연예술 프로그램 구성 탐색과 스포츠와 공연예술의 융합 발전 가능성 모색은 스포츠예술 분야뿐 아니라 국가를 위한 다양한 측면의 사례로 적용되어 시너지 효과를 주고, 더 나아가 실천적 행동력을 발휘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최근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2036년 또는 2040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노력은 88서울·평창동계올림픽의 장점을 계승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한다면 성공적인 개최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 되어 본 연구에 의의를 둔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