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3
Ⅰ. 서론 15
1. 연구목적 15
2) 연구목적 16
2. 연구내용과 방법 17
1) 선제(選題) 감정(勘定) 17
2) 연구현황 18
3) 연구중점과 연구방법 20
Ⅱ. 은일사상과 문인 원림 23
1. 은일사상의 기원 23
1) 隱과 逸의 내함 23
2) 은사의 개념과 유형 25
3) 은일의 기원과 발전 30
2. 중국 문인 원림의 은일철학 44
1) 유·도·석의 은일철학 45
2) 문인 원림의 은일 표현 48
Ⅲ. 중국 문인 원림의 철산문화 함의 55
1. 암혈과 동천의 문화적 함의 55
1) 은일문화 중 암혈지사 55
2) 도교문화 속 福地洞天 56
2. 문학과 회화의 암혈과 동천 58
1) 고대 문학 중 암혈과 동천 59
2) 고대 회화 중 암혈과 동천 61
3. 중국 문인 원림의 암혈과 동천 조성 방식 65
1) 별천지 66
2) 산 중 함방 68
3) 은일동방 69
Ⅳ. 중국 문인 원림 중 식물의 상징 의미 72
1. 대나무와 파초의 의상 72
1) 대나무와 덕행 72
2) 파초의 아름다운 자태 73
2. 문학과 회화의 대나무와 파초 75
1) 고대 문학 중 대나무와 파초 75
2) 고대 회화 중 대나무와 파초 77
3. 중국 문인 원림의 대나무와 파초 조성 방식 78
1) 竹徑通幽, 蕉窗分映 79
2) 粉墻竹影, 蕉肥石瘦 80
3) 風吹竹聲, 雨打芭蕉 81
Ⅴ. 중국 문인 원림 중 동물의 정신 의미 84
1. 鶴景과 魚趣의 정신 정취 86
1) 鶴景과 魚趣의 정신 정취 87
2) 魚 : 美好之意, 漁父之情 88
2. 문학과 회화의 鶴景과 魚趣 90
1) 고대 문학 중 鶴景과 魚趣 90
2) 고대 회화 중 鶴景과 魚趣 94
3. 중국 문인 원림의 鶴景과 魚趣 조성 방식 95
1) 林間放鶴, 園中養鶴 96
2) 林禽漁隱, 池間戲魚 98
Ⅵ. 결론 101
참고문헌 103
Abstract 107
〈圖2-1〉 (淸)段玉裁 《說文解字注》 (經韻樓藏版淸嘉慶二十年刊本) 23
〈圖2-2〉 (晋)郭璞注 《爾雅》 (淸嘉慶十一年顧广圻思适齋 据明吳元恭本翻刻本) 23
〈圖2-3〉 (宋)陳彭年等撰 《大宋重修广韻》 (南宋宁宗年間杭州翻刻本) 23
〈圖2-4〉 (淸)段玉裁 《說文解字注》 (經韻樓藏版淸嘉慶二十年刊本) 24
〈圖2-5〉 (晋)郭璞注 《爾雅》 (淸嘉慶十一年顧广圻思适齋据明吳元恭本翻刻本) 24
〈圖2-6〉 (宋)陳彭年等撰 《大宋重修广韻》 (南宋宁宗年間杭州翻刻本) 24
〈圖2-7〉 (元)趙孟頫 《松陰高士圖》 局部 絹本設色 208x84.7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25
〈圖2-8〉 (明)文徵明 《松石高士圖》 局部 紙本設色 71x35厘米 天津博物館藏 25
〈圖2-9〉 (近代)張大千 《梧桐高士圖》 局部 紙本設色 137x68厘米 南京博物院藏 25
〈圖2-10〉 (南宋)李唐 《采薇圖》 絹本設色 27.2x89.6厘米 故宮博物院藏 26
〈圖2-11〉 (淸)錢慧安 《巢由避世圖》 紙本設色折扇 18x52.5厘米... 30
〈圖2-12〉 (明)吳偉 《問津圖》 局部 洒金紙本白描 46.3x110.2厘米 北京故宮博物院藏 32
〈圖2-13〉 (明)唐寅 《老子圖》 局部 絹本設色 21.9x26.4厘米 英國大英博物館藏 32
〈圖2-14〉 (漢)司馬遷撰, 裴駰集解 《史記》 (1656年汲古閣版) 33
〈圖2-15〉 (漢)桓寬撰 《鹽鐵論》 (明万歷十四年張袠星聚堂刊本) 33
〈圖2-16〉 (明)沈周 《林隱圖》 局部 紙本設色 35.7x374.7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34
〈圖2-17〉 (淸)丁觀鵬 《摹仇英西園雅集圖》 局部 紙本設色 95.1x43.9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34
〈圖2-18〉 (明)仇英 《桃源仙境圖》 局部 絹本設色 175x66.7厘米 天津博物館藏 35
〈圖2-19〉 (淸)石濤 《陶渊明詩意圖》 之一 紙本設色 每開27x21.3厘米 北京故宮博物院藏 35
〈圖2-20〉 (淸)石濤 《廬山草堂圖》 紙本水墨 94.8x50厘米 美國大都會藝術博物館藏 37
〈圖2-21〉 (南宋)趙伯駒 《輞川別墅圖》 局部 絹本設色 39.1x592.5厘米 美國弗利爾美術館藏 37
〈圖2-22〉 (南宋)陸游 《自書詩卷》 局部之 《訪隱者不遇》 紙本墨書 31x701.5厘米 遼宁省博物館藏 38
〈圖2-23〉 (北宋)蘇軾 《宋獨樂園詩》 局部 紙本墨書 28.7x153.6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38
〈圖2-24〉 (北宋)范寬 《溪山行旅圖》 局部 絹本淺設色 206.3x103.3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39
〈圖2-25〉 (北宋)李成 《山水圖頁》 局部 絹本淺設色 30.4x22厘米 弗利爾美術館藏 39
〈圖2-26〉 (明)仇英 《獨樂園圖》 局部 絹本設色 28x519.8厘米 美國克利夫蘭藝術博物館藏 39
〈圖2-27〉 (淸)錢維城 《獅子林圖》 局部 紙本設色 38.1x187.3厘米 加拿大阿爾伯特博物館藏 40
〈圖2-28〉 湖州蓮花庄 40
〈圖2-29〉 (明)沈周 《柴桑招隱圖》 局部 紙本設色 17.4x76厘米 印第安納波利斯藝術博物館 41
〈圖2-30〉 (明)唐寅 《溪山漁隱圖》 局部 絹本設色 29.4x351厘米 台北故宮博物院 41
〈圖2-31〉 (明)文徵明 《拙政園圖冊》 局部 紙本水墨 23x23厘米 美國大都會博物館藏 41
〈圖2-32〉 无錫寄暢園 42
〈圖2-33〉 上海豫園 42
〈圖2-34〉 揚州个園 43
〈圖2-35〉 蘇州退思園 43
〈圖2-36〉 (淸)丁觀鵬 《十二禁御圖之太簇始和圖》 局部 絹本設色 179.3x108.4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44
〈圖2-37〉 (淸)羅聘 《篠園飮酒圖》 紙本設色 80x54.6厘米 美國大都會藝術博物館藏 44
〈圖2-38〉 (明)唐寅 《老子圖》 局部 絹本設色 21.9x26.4厘米 英國大英博物館藏 46
〈圖2-39〉 (元)華祖立 《玄門十子圖》 局部之老子像 紙本設色 27.8x403.8厘米 上海博物館藏 46
〈圖2-40〉 (元)華祖立 《玄門十子圖》 局部之庄子像 紙本設色 27.8x403.8厘米 上海博物館藏 46
〈圖2-41〉 (明)文徵明 《拙政園圖冊》 局部之小滄浪 紙本水墨 23x23厘米 美國大都會博物館藏 49
〈圖2-42〉 蘇州拙政園小滄浪 49
〈圖2-43〉 (明)文徵明 《句曲山房圖卷》 局部 紙本設色 28.2x155厘米 上海博物館藏 50
〈圖2-44〉 (明)文徵明 《茶事圖》 局部 紙本水墨 122.9x35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50
〈圖2-45〉 (明)仇英 《移竹圖》 局部 絹本設色 159.5x63.9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50
〈圖2-46〉 (明)趙左 《竹院逢僧圖》 局部 紙本設色 67.9厘米x31.2厘米 日本大阪市立美術館 50
〈圖2-47〉 (淸)鄧石如 《篆書白氏草堂記》 旅順博物館藏 52
〈圖2-48〉 蘇州虎丘 52
〈圖2-49〉 常熟曾趙園 52
〈圖2-50〉 揚州个園入口 53
〈圖2-51〉 蘇州獅子林菊花 53
〈圖3-1〉 (明)謝時臣 《四皓圖》 局部 絹本淺設色 252.4x100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56
〈圖3-2〉 (淸)兪齡 《竹林七賢圖》 局部 絹本設色 169.2x95.9 厘米 濟南博物館藏 56
〈圖3-3〉 (淸)佚名 《金闕玄元太上老君八十一化圖卷》 局部 57
〈圖3-4〉 (元)方從義 《云林鐘秀圖》 局部之道敎第三十二福地龍虎山 紙本水墨 24x105厘米 私人藏 58
〈圖3-5〉 (明)劉珏 《山水合卷》 局部之道敎第九洞天林屋洞 紙本設色29.2x44.2厘米 私人藏 58
〈圖3-6〉 (宋)李昉等撰 《太平御覽》 (上海古籍出版社, 2008年4月影印) 60
〈圖3-7〉 (西漢)東方朔撰 《海內十洲記》 (明万歷崇禎間刻本淸印) 60
〈圖3-8〉 (淸)王原祁 《輞川圖》 局部 紙本設色 36.5x1055.4厘米 私大都會藝術博物館藏 61
〈圖3-9〉 (唐)王維 《輞川圖卷》 (明拓本) 紙本拓本31.75x825.5厘米 美國芝加哥東方圖書館藏 61
〈圖3-10〉 (唐)盧鴻 《草堂十志圖》 局部 紙本水墨 29.4x600 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63
〈圖3-11〉 (唐)李公麟 《龍眠山庄圖》 局部 紙本水墨 28.9x364.6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63
〈圖3-12〉 (唐)杜琼 《南村別墅圖冊》 局部 紙本設色 33.8x51厘米 上海博物館藏 63
〈圖3-13〉 (淸)吳歷 《晴云洞壑圖》 局部 絹本淺設色 167x62厘米 旅順博物館藏 64
〈圖3-14〉 (明)戴進 《達摩六代祖師圖》 局部 絹本設色 33.8x219.5厘米 遼宁省博物館藏 64
〈圖3-15〉 (明)仇英 《桃源仙境圖》 局部 絹本靑綠 175x66.7厘米 天津博物館藏 65
〈圖3-16〉 (明)李士達 《仙山樓閣圖》 局部 絹本設色 167.7x79.2厘米 南京博物院藏 65
〈圖3-17〉 (南宋)趙伯駒 《輞川別墅圖》 局部 絹本靑綠 39.1x592.5厘米 美國弗利爾美術館藏 65
〈圖3-18〉 (淸)袁江 《東園圖》 局部 絹本設色 59.8x370.8cm 上海博物館藏 65
〈圖3-19〉 上海豫園 66
〈圖3-20〉 蘇州环秀山庄 66
〈圖3-21〉 蘇州拙政園"別有洞天" 67
〈圖3-22〉 (明)唐寅 《華山圖》 局部 紙本淺設色 116.4x41.4厘米 克利夫蘭藝術博物館藏 68
〈圖3-23〉 蘇州獅子林臥云室 68
〈圖3-24〉 (元)王蒙 《具區林屋圖》 局部 紙本設色 68.7x42.5厘米 台北故宮博物院 70
〈圖3-25〉 蘇州滄浪亭印心石室 70
〈圖4-1〉 (淸) 郑燮 《赠杏花樓主竹石图》 纸本水墨 175x92厘米 上海博物馆藏 73
〈圖4-2〉 (南宋)赵孟坚 《㱑寒三友图》 纸本水墨 32.5x53.4厘米 台北故宫博物院藏 73
〈圖4-3〉 (南宋)扬无咎 《四梅图》 局部 纸本水墨 37.2x358.8厘米 故宫博物院藏 73
〈圖4-4〉 (南宋)赵孟坚 《墨兰图》 局部 纸本水墨 34.5x90.2厘米 故宫博物院藏 73
〈圖4-5〉 (淸)朱耷 《芭蕉竹石圖》 紙本水墨 50x131厘米 故宮博物院藏 74
〈圖4-6〉 (明)沈周 《蕉石圖》 紙本水墨 46x110厘米 故宮博物院藏 74
〈圖4-7〉 (明)仇英 《蕉陰結夏圖》 局部 紙本設色 279.1x99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74
〈圖4-8〉 (淸)兪齡 《竹林七賢圖》 局部 絹本設色 169.2x95.9厘米 濟南博物館藏 76
〈圖4-9〉 (淸)樊圻 《蘭亭修禊圖》 局部 絹本設色 28.4x392.8厘米 克利夫蘭藝術博物館藏 76
〈圖4-10〉 (明)沈周 《蕉石圖》 紙本水墨 128.5x53.1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77
〈圖4-11〉 (元)倪瓒 《竹樹野石圖》 局部 紙本水墨 92x37.4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77
〈圖4-12〉 (明)文徵明 《蕉陰仕女圖》 局部 絹本設色 46.4x21.9厘米台北故宮博物院藏 77
〈圖4-13〉 (明)謝环 《香山九老圖》 局部 絹本設色 29.8x148.2厘米 美國克利夫蘭美術館藏 78
〈圖4-14〉 (淸)石濤 《西園雅集圖》 局部 紙本設色 36.5x328厘米 上海博物館藏 78
〈圖4-15〉 (元)倪瓒 《水竹居圖》 局部 紙本設色 55.5x28.2厘米 中國國家博物館藏 78
〈圖4-16〉 (元)王云 《休園圖》 局部 絹本設色 54x1295厘米, 旅順博物館藏 78
〈圖4-17〉 (明)仇英 《獨樂園圖》 局部 絹本設色 28x519.8厘米 美國克利夫蘭藝術博物館 78
〈圖4-18〉 (明)唐寅 《對竹圖》 局部 絹本設色 28.6x119.8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79
〈圖4-19〉 揚州个園 79
〈圖4-20〉 (元)趙孟頫 (傳) 《西園雅集圖》 局部 絹本設色 131.5x67厘米 台北故宮博物院 79
〈圖4-21〉 蘇州网師園"殿春簃 79
〈圖4-22〉 蘇州拙政園"听雨軒" 81
〈圖4-23〉 (淸)鄭燮 《竹石圖》 紙本水墨 137.2x79.2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81
〈圖4-24〉 蘇州怡園"玉延亭" 82
〈圖4-25〉 蘇州拙政園"听雨軒" 82
〈圖5-1〉 (唐)佚名 《伏羲女娲图》 绢本设色 220x116.5厘米 新彊博物馆藏 84
〈圖5-2〉 (唐)佚名 《伏羲女娲图》 绢本设色 231x115厘米 北京故宫博物院藏 84
〈圖5-3〉 商周时期灵囿示意图 84
〈圖5-4〉 (明)仇英 《上林圖》 局部 絹本靑綠 45x1265厘米 私人收藏 85
〈圖5-5〉 (東漢)宅院畵像磚 40x46.4厘米 中國國家博物館藏 85
〈圖5-6〉 (明)仇英 《獨樂園圖》 局部 : 鹿 絹本設色 28x519.8厘米 美國克利夫蘭藝術博物館藏 86
〈圖5-7〉 (明)仇英 《輞川十景圖》 局部 : 狗 絹本設色 30.5x987厘米 吉林省博物館藏 86
〈圖5-8〉 (明)錢穀 《求志園圖》 局部 : 鵝 紙本設色 29.8x190.2厘米 北京故宮博物院藏 86
〈圖5-9〉 (淸)王云 《休園圖》 局部 : 鴛鴦 絹本設色 54x1295厘米 旅順博物館藏 86
〈圖5-10〉 (明)劉俊 《四仙戲鶴圖》 絹本設色 118x76厘米 美國印第安納波利斯藝術博物館藏 87
〈圖5-11〉 (明)童垲 《松鶴延年圖》 絹本設色 201.8x97.2厘米 安徽省博物館藏 87
〈圖5-12〉 蘇州暢園"涤我 塵襟" 87
〈圖5-13〉 (新石器)人面魚紋彩陶盆 中國國家博物館藏 88
〈圖5-14〉 (商)戍嗣子鼎及銘文拓印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藏 88
〈圖5-15〉 (明)劉節 《藻魚圖》 絹本設色 140.5x83.7厘米 美國克利夫蘭藝術博物館藏 90
〈圖5-16〉 (元)吳鎭 《漁父圖》 局部 絹本水墨 84.7x29.7厘米 故宮博物院藏 90
〈圖5-17〉 (明)唐寅 《花溪漁隱圖》 局部 絹本設色 74.7x35.8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90
〈圖5-18〉 (淸)金農 《相鶴經轴》 紙本墨書 278x50.7厘米 故宮博物院藏 92
〈圖5-19〉 (明)王象晋 《二如亭群芳譜》 (明天啓元年序刊本) 92
〈圖5-20〉 (明)邊文進 《百鶴圖卷》 局部 絹本設色 25.4x241.33厘米 四川博物館藏 94
〈圖5-21〉 (南宋)周東卿 《魚樂圖》 局部 紙本設色 30.8x593.7厘米 美國大都會藝術博物館藏 94
〈圖5-22〉 (明)文徵明 《琴鶴圖》 局部 紙本設色 63.4x29.2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94
〈圖5-23〉 (明)唐寅 《溪山漁隱圖》 局部 絹本設色 29.4x351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94
〈圖5-24〉 (淸)周培春 《官員品級圖冊》 局部 紙本設色 25.6x17.1厘米 美國大都會藝術博物館藏 97
〈圖5-25〉 (明)項圣謨 《孤山放鶴圖》 局部 紙本設色 94.8x32.7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97
〈圖5-26〉 (淸)王云 《休園圖》 局部 絹本設色 54x1295厘米 旅順博物館藏 98
〈圖5-27〉 蘇州虎丘"養鶴澗" 98
〈圖5-28〉 (明)唐寅 《溪山漁隱圖》 局部 絹本設色 29.4x351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99
〈圖5-29〉 (元)吳鎭 《漁父圖》 局部 紙本水墨 33x651.6厘米 上海博物館藏 99
〈圖5-30〉 (宋)叶肖岩 《西湖十景圖冊》 之"花港觀魚"局部 絹本設色 29.4x47.4厘米 台北故宮博物院藏 99
〈圖5-31〉 杭州西湖之"花港觀魚" 99
〈圖5-32〉 (明)繆輔 《藻魚圖》 局部 絹本設色 171.3x99.1厘米 故宮博物院藏 100
〈圖5-33〉 无錫寄暢園"知魚檻" 100
이 글은 중국 문인 정원의 은일 사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은일 사상의 함축과 발전 맥락을 추적하고, 문인 정원의 은일 철학을 분석하고, 중국 고전 정원, 특히 문인 정원의 은일 사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요소와 표현 방식을 논한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연기와 논문의 연구목적, 연구내용, 연구현황, 연구방법 등을 다룬다. 은일 사상은 중국 문인 정원에서 가장 두드러져 문인 정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문헌 결과를 분류하고 분석 및 요약하는 데 중점을 두고 현재 결과의 부족과 이 기사의 연구 방향을 찾는다.
제2장은 은일사상과 문인정원으로 먼저 은일의 근원을 추적하고 은일의 개념과 은일의 역사적 발전 맥락을 요약한다. 둘째, 중국 고전 문인 정원의 은일철학을 유가·도가·불가의 세 가지 측면에서 탐구해 문인 정원의 은일한 표현을 예로 들었다. 은일 사상은 중국 전통 사상 중 유교, 도교, 선종 등 여러 철학 유파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은일 형식을 만들어 은일 문화의 발전을 촉진하고 나아가 문인 정원에서 다른 표현 방식을 만들어냈다.
제3장은 중국 문인 정원에서 산을 가꾸는 문화적 함의로, 정원 경관의 산과 돌 요소인 암굴과 동천을 선택하여 문화적 함의, 예술적 표현 및 정원 조성 방법을 분석한다. 암혈은 은자를 지칭하는 말인데, 동천은 도교의 복지동천 사상에서 유래했다. 고대 은자들은 동굴의 은일에서 산림의 은일으로, 정원의 은일로 교체를 겪었는데, 문인 정원에서 동천사상은 정원의 별천(洞天), 은일동방 산속함방 등의 형식을 이루었다.
제4장은 중국 문인 정원의 식물의 상징적 의미로 정원 경관의 식물 요소인 대나무와 파초를 선택하고 정신 이미지, 예술 표현 및 정원 조성 방법을 분석하였다. 중국 전통 문화에서 대나무와 파초는 정신적인 의미가 풍부하다. 문인들은 대나무, 파초와 같은 식물 요소를 심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바나나 창문, 바람과 대나무 소리, 비가 파초를 치는 것과 같은 정원 풍경을 형성했다.
제5장은 중국 문인 정원에 있는 동물의 정신적 함축으로 정원 경관의 동물 요소인 학경과 어류 취미를 선택하고 심미적 취향, 예술적 표현 및 정원 조성 방법을 분석하였다. 문인 정원의 정원 조성에 동물 요소를 적용하는 장면은 매우 광범위하여 정지된 정원 경관에 역동적인 기운을 더해준다, 학과 물고기는 숲에서 학을 방목하거나 정원에서 학을 기르거나 연못에서 물고기를 노는 등 문인 정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학과 물고기는 식물, 산, 호수 및 기타 정원의 기타 요소와 함께 문인 정원의 동물 레저 공간을 조성하여 은근한 사상을 표현한다.
6장은 결론으로 주로 논문의 취지에 대한 관련 요약과 논문의 단점을 반성한다. 본 논문은 정원, 미술, 문학, 철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관련 성과를 연구 기반으로 하고 문헌 자료, 현장 조사 등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결론을 도출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