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2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1.2. 선행연구 15

1.3. 연구 범위와 대상 21

Ⅱ. 이론적 배경 23

2.1. 중재의 개념 23

2.2. 중재자 유형의 검토 25

2.3. 몽골 외교에서의 중재 28

2.4. 분석 틀 32

Ⅲ. 몽골의 중재 사례 연구 34

3.1. 몽골의 독립형 중재자 역할 사례 36

3.1.1.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36

3.1.2. 울란바토르 대화 41

3.2. 몽골의 평화유지군 파견 45

3.2.1. 평화유지군 파견 45

3.3. 몽골의 외교적 중재지 역할 사례 54

3.3.1. 북일 회담의 중재 54

3.3.2. 다국적 군사훈련(연합 훈련) 57

3.3.3. 6자회담 61

Ⅳ. 국제사회에서 몽골의 역할 분석 62

4.1. 중재자로서 역할 분석 64

4.2. 중재지로서 역할 분석 70

4.3. 소결론 79

Ⅴ. 결론 83

참고문헌 85

Abstract 92

표목차

〈표 1〉 중재자 유형과 특징 26

〈표 2〉 시기별 몽골 외교정책의 목표와 내용 28

〈표 3〉 몽골 외교정책에 대한 집권당의 기조 30

〈표 4〉 독립형 중재자 역할의 조건 32

〈표 5〉 외교적 중재지 역할의 조건 33

〈표 6〉 외교적 중재 사례선정 기준 35

〈표 7〉 역대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회의 내용 40

〈표 8〉 역대 울란바토르 대화 회의 내용 45

〈표 9〉 이라크 전쟁 전개 과정 51

〈표 10〉 아프가니스탄 전쟁 전개 과정 52

〈표 11〉 납치 문제를 둘러싼 일본과 북한의 협상 과정 57

〈표 12〉 몽골의 평화유지 훈련 58

〈표 13〉 독립형 중재자의 이상적 모델 62

〈표 14〉 외교적 중재지의 이상적 모델 63

〈표 15〉 비핵지대 조약 66

〈표 16〉 울란바토르 프로세스와 대화의 역할 분석 67

〈표 17〉 몽골의 평화 유지작전에서의 역할 68

〈표 18〉 몽골의 평화유지군 파견의 역할 분석 70

〈표 19〉 북일 회담에서의 몽골의 역할 74

〈표 20〉 북일 회담에서 중재지로서 몽골의 역할 분석 75

〈표 21〉 군사 연합 훈련에서 중재지로서 몽골의 역할 분석 77

〈표 22〉 6자회담에서 중재지로서 몽골의 역할 분석 77

〈표 23〉 사례별 역할 검토 81

그림목차

〈그림 1〉 2014년 동북아 정세 38

〈그림 2〉 울란바토르 대화 로고 41

사진목차

〈사진 1〉 2023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36

〈사진 2〉 2023 울란바토르 대화 42

〈사진 3〉 몽골 평화유지군 46

〈사진 4〉 칸 퀘스트 학교 설립 60

〈사진 5〉 UN, 몽골 '비핵지대 선언' 재확인 65

〈사진 6〉 칸퀘스트 연합 훈련 76

〈사진 7〉 몽골의 교황 방문 79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국제사회에서의 몽골의 외교적 중재 역할을 사례를 통해 분석했다. 몽골은 인구, 군사력, 경제력, 국제정치에서의 영향력이 낮은 약소국에 해당되는 국가이다. 그러나 몽골은 자신의 위치와 약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흥미로운 사례들을 제시한다.

몽골이 독립하는 과정에서 소련의 위성국가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두 강대국과의 세력균형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질문은 지정학적으로 강대국 사이에 위치한 몽골에 있어 국가 통합과 안보에 직결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몽골은 1990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되며 중립이라는 외교 전략을 채택했고, 국제무대에서 중재 역할을 수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몽골의 주요 정책, 외교 문건과 법률 자료를 통해 몽골이 중립을 표방하며 중재역할을 수행하고 다주정책을 추구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몽골의 외교 활동 사례를 살펴보며 몽골이 어떤 중재 활동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사례로는 울란바토르 프로세스와 대화, 몽골의 평화유지군 파견, 북일회담에서의 중재, 군사연합 훈련, 6자회담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몽골이 수행하는 중재자로서의 역할과 외교적 중재지로서의 역할을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사례 분석 결과 몽골은 중재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중재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몽골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국가에 의존하는 것을 지양하고 중립을 추구하며 양 국가의 압력에서 벗어나고자 제3 이웃을 몽골로 끌어들여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이유 중 하나로 자국의 안보와 생존을 위함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몽골의 활동은 중립을 유지하고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국제사회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몽골은 중재 역할을 강화함으로서 국제적인 신뢰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자국의 안보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재지 및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몽골의 국제적 위상과 더불어 자국의 안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몽골이 중재자로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중재 프레임워크를 갖춘다면 이를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입지를 견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몽골은 중재지, 중재, 중립이라는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중재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제 중재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전문가들을 양성한다면 몽골의 국제적 위상과 더불어 자국의 안보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