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22

1. 연구목적 의미 및 배경 22

1) 목적 22

2) 의미 23

3) 배경 23

2. 연구방법 및 범위 24

1) 연구방법 24

2) 연구범위 24

3. 선행연구 26

Ⅱ. 서양 인체 조각 예술의 도입과 영향 29

1. 서양 인체 조각 예술의 도입 29

1) 프랑스 양식 30

2) 소련 양식 38

3) 서양 현대 양식 42

2. 서양 인체 조각 예술의 영향 46

3. 소결 51

Ⅲ.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발전 52

1.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초창기(1950-1980) 52

2.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발전기(1980-2000) 69

3.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절정기(2000-2020) 80

① 일상생활 82

② 전통문화 86

③ 종합재료 88

④ 크로스오버 90

⑤ 카툰 91

4. 소결 94

Ⅳ.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형식 96

1. 구상화 96

1) 개념 96

2) 특징 97

3) 작가 작품 분석 97

2. 의상화(意象化) 107

1) 개념 107

2) 특징 108

3) 작가 작품 분석 109

3. 추상화 122

1) 개념 122

2) 특징 123

4. 소결 132

Ⅴ.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미학적 분석 134

1. 비율미 134

2. 역동미 138

3. 형체미 140

4. 구조미 144

5. 소결 147

Ⅵ. 결론 148

참고문헌 151

Abstract 155

표목차

표 1. 20세기 초반 파리국립고등미술연구소 조각 전공 유학생 현황표 32

표 2. 파리 국립고등미술연구소 조각전공 유학생 현황 및 대표작 37

표 3. 1950-1966 소련국립고등미술연구소 조각 전공 유학생 현황표 41

표 4. 2000-2020년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주제 및 특징 82

표 5. 1950-2020년 중국 현대 도예의 인체 조형 시대 특징 비교 95

표 6.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구상 의상(意象) 추상 비교 132

표 7. 1950~2020년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비율 미학적 특징 비교 137

표 8. 1950~2020년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역동 미학적 특징 비교 139

표 9. 1950~2020년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형체 미학적 특징 비교 143

표 10. 1950~2020년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구조 미학적 특징 비교 146

표 11.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 미학적 특징 147

그림목차

〈그림 1〉 Myron, 〈Discobolus〉, B.C.450, 152cm×84cm, National Museum of Roman Art 소장 30

〈그림 2〉 Michelangelo, 〈Rebellious Slave〉, 1516, 215cm, Musée du Louvre 소장 30

〈그림 3〉 Auguste Rodin, 〈The Age of Bronze〉, 1877, 174cm×98cm, Musée Rodin 소장 30

〈그림 4〉 Aristide Maillol, 〈Action in Chains〉, 1905, 180cm×60cm, Le Musee d'Orsay 소장 30

〈그림 5〉 Jean Boucher, 〈old lady〉, 1913, 68cm×30cm, 파리 33

〈그림 6〉 Jean Boucher, 〈Memorial to American Volunteers〉, 1921, 파리 33

〈그림 7〉 Jean Boucher, 〈Victor Hugo〉, 1908, 30×64cm, Mairie de Cesson-Sévigné 소장 33

〈그림 8〉 Henri Bouchard, 〈Miner〉, 1906 158cm×87cm×115cm, metmuseum 소장 34

〈그림 9〉 Henri Bouchard, 〈a soldier〉, 23cm×58cm, 34

〈그림 10〉 Henri Bouchard, 〈Reformation Wall〉, 1909, 스위스 34

〈그림 11〉 Paul Landowsky, 〈Les Fantomes〉, 1935, 프랑스 35

〈그림 12〉 Paul Landowsky, 〈Christ the Redeemer〉, 1931, 리오데자네이로 35

〈그림 13〉 장청쨩(張澄江) 왕자윈(王子雲), 〈손중산상〉, 1929, 남경 35

〈그림 14〉 Paul Niclausse, 〈a woman's face〉, 1941, 43×24cm×56 36

〈그림 15〉 Paul Niclausse, 〈human body〉, 1945 36

〈그림 16〉 정만숙(程曼叔), 〈젊은 여인(青年女子)〉, 1942, 63×84cm×55cm, 중국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36

〈그림 17〉 장룬카이(張潤凱),〈벌목공(伐木工)〉, 1957 39

〈그림 18〉 쑤후이(蘇慧), 〈마르크스상(馬克思)〉, 1958,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39

〈그림 19〉 쓰이(時宜), 〈회계(會計)〉, 1958,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39

〈그림 20〉 왕징위안(王景元), 〈팔녀투강(八女投江)〉, 1959,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39

〈그림 21〉 쑤후이(蘇慧), 〈바느질(縫)〉, 1959 39

〈그림 22〉 아니쿠신 〈Pushkin Monument〉 1976 42

〈그림 23〉 아니쿠신 〈Victory Monument〉 1978 42

〈그림 24〉 아니쿠신 〈Monument to the defenders of the heroes〉 1978 42

〈그림 25〉 Constantin Brâncuși, 〈Mademoiselle Pogany〉, 1933, Philadelphia Museum of Art 소장 43

〈그림 26〉 Henry Spencer Moore, 〈Family Group〉, 1950, 영국 43

〈그림 27〉 Alberto Giacomett, 〈Walking Man〉, 1960, 180.5cm×27×97cm, Kunstmuseum 소장 43

〈그림 28〉 왕극평(王克平), 〈침묵(沉默)〉, 1978 44

〈그림 29〉 왕극평(王克平), 〈만만세(萬萬歲)〉, 1978 44

〈그림 30〉 왕극평(王克平), 〈우상(偶像)〉, 1979 44

〈그림 31〉 주성 (朱成), 〈천균일발(千鈞一發)〉, 97cm 1985, 중국미술관 소장 45

〈그림 32〉 장크어돤 (張克端), 〈동계초원(冬季草原)〉, 95×72×37cm, 1985 45

〈그림 33〉 톈스신(田世信), 〈사냥꾼〉, 46×32cm, 1983 45

〈그림 34〉 가오젠신(高建新), 〈청춘〉, 1956, 63×74cm, 덕화 백자 박물관 소장 47

〈그림 35〉 스서우링(施壽玲), 〈호이안 여인(惠安女人)〉, 1953, 68×34cm, 경덕진 도자기 박물관 소장 47

〈그림 36〉 쑤커밍(蘇克明), 〈평화만세〉, 1961, 56×27cm, 덕화 백자 박물관 소장 47

〈그림 37〉 허녠치(何念祺),〈강누이(江姐)〉 1954 48

〈그림 38〉 정위허(郑于鹤), 〈광부〉 1956 48

〈그림 39〉 양수칭(杨淑卿),〈농민〉, 1953 48

〈그림 40〉 인이펑(尹一鹏),〈웨이후산(威虎山)〉, 1953 48

〈그림 41〉 장징쿠(張景枯) 〈웨이후산(威虎山)〉 1952 48

〈그림 42〉 류쭈란(刘祖燃) 〈찬가〉 1956 48

〈그림 43〉 장세춘(张世椿) 〈어린 양(小羊)〉 1953 48

〈그림 44〉 쭈원쉬안(祖文轩) 〈마다이어족(傣族)〉 1957 48

〈그림 45〉 야오용캉(姚永康), 〈세기와(世紀娃)〉, 1984, 47cm×46cm, 개인 소장 49

〈그림 46〉 뤄샤오핑(羅小平), 〈추(秋)〉, 2014, 30×84cm, 개인 소장 49

〈그림 47〉 주러겅(朱樂耕), 〈송(頌)〉, 2008, 120cm×54cm, 중국 극극장 소장 49

〈그림 48〉 달마상(达摩像), 1884-1889, 44×26.3cm, 석만 박물관 소장 53

〈그림 49〉 관음상(观音像), 1271—1368, 53×25.3cm, 징더진 도자박물관 소장 53

〈그림 50〉 석만(石湾) 도자기 인체(石湾陶艺人物), 1816 —1887, 43×18.5cm, 포산 도자기박물관 소장 53

〈그림 51〉 불상(佛像), 1567-1619 73×23.5cm, 덕화 도자기박물관 소장 53

〈그림 52〉 저우궈정(周國楨), 〈공사아이(公社阿姨)〉, 1958, 64×20.8cm, 개인 소장 54

〈그림 53〉 저우궈정(周國楨), 〈영춘(迎春)〉, 1956, 73×20.5cm, 개인 소장 54

〈그림 54〉 저우궈정(周國楨), 〈독립(獨立)〉, 1960, 78×20.8cm, 개인 소장 55

〈그림 55〉 저우궈정(周國楨), 〈스페인 무녀(西班牙舞女)〉, 1962, 68×33cm, 개인 소장 55

〈그림 56〉 저우궈정(周國楨), 〈영웅(英雄)〉, 1964, 73×26cm, 개인 소장 57

〈그림 57〉 저우궈정(周國楨), 〈상야교(上夜校)〉, 1966, 74×28.8cm, 개인 소장 57

〈그림 58〉 저우궈정(周國楨), 〈황하(黃河)〉, 1978, 44×73cm, 개인 소장 57

〈그림 59〉 저우궈정(周國楨), 〈전통(傳統)〉, 1970, 78×42cm, 개인 소장 59

〈그림 60〉 저우궈정(周國楨), 〈신희(晨曦)〉, 1970, 77×32cm, 개인 소장 59

〈그림 61〉 류쓰밍(劉士銘), 〈개산벽지(開山劈地)〉, 1957, 82×41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0

〈그림 62〉 류쓰밍(劉士銘), 〈장량토지(丈量土地)〉, 1958, 67×72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0

〈그림 63〉 류쓰밍(劉士銘), 〈뱃사공〉, 1960, 30×84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2

〈그림 64〉 류쓰밍(劉士銘), 〈농민〉, 1960, 54×31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2

〈그림 65〉 류쓰밍(劉士銘), 〈농민〉, 1960, 74×50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2

〈그림 66〉 류쓰밍(劉士銘), 〈희곡인체(戲曲人物)〉, 1962, 67×48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3

〈그림 67〉 류쓰밍(劉士銘), 〈무제(無題)〉, 1963, 56×63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3

〈그림 68〉 류쓰밍(劉士銘), 〈부두〉, 1963, 30×82cm, 중앙미술대학교 박물관 소장 63

〈그림 69〉 류환장(劉煥章), 〈유유(幼乳)〉, 1963, 77×43cm, 개인 소장 65

〈그림 70〉 류환장(劉煥章), 〈굴노두(倔老頭)〉, 1964, 69×45cm 개인 소장 65

〈그림 71〉 류환장(劉煥章), 〈성성지아심(星星知我心)〉, 1973, 75×41cm, 개인 소장 66

〈그림 72〉 류환장(劉煥章), 〈이역인상(異域印象)〉, 1974, 86×33cm, 개인 소장 66

〈그림 73〉 류환장(劉煥章), 〈게(憩)〉, 1973, 75×46cm, 개인 소장 68

〈그림 74〉 류환장(劉煥章), 〈서 있는 남자(站立的男子)〉, 1973, 88×37cm, 개인 소장 68

〈그림 75〉 마오신건(毛新建), 〈옛날〉, 29×28×30cm, 1992, 개인 소장 70

〈그림 76〉 리옌용(李燕蓉), 〈미인(美人)〉, 1996, 57×49cm, 개인 소장 70

〈그림 77〉 리옌용(李燕蓉), 〈놀(朝霞)〉, 1997, 68×32cm, 개인 소장 70

〈그림 78〉 뤼핀창(呂品昌), 〈아복(阿福)〉, 1996, 57×42×40cm, 경덕진 도자대학 박물관 소장 71

〈그림 79〉 뤼핀창(呂品昌), 〈아복(阿福)〉, 1996, 29×34×73cm, 개인 소장 71

〈그림 80〉 뤼핀창(呂品昌), 〈아복(阿福)〉, 1993, 40×50×72cm, 경덕진 도자대학 박물관 소장 71

〈그림 81〉 뤼핀창(呂品昌), 〈중국 사의(中國寫意)〉, 57×42 cm, 2000 73

〈그림 82〉 뤼핀창(呂品昌), 〈중국 사의(中國寫意)〉, 55×38 cm, 2000 73

〈그림 83〉 뤼핀창(呂品昌), 〈중국 사의(中國寫意)〉, 57×39cm, 2000 73

〈그림 84〉 뤄샤오핑(羅小平), 〈미광·만상(微光·萬象)〉, 47×38cm,1999 74

〈그림 85〉 뤄샤오핑(羅小平), 〈미광·만상(微光·萬象)〉, 43×36 cm,1999 74

〈그림 86〉 뤄샤오핑(羅小平), 〈미광·만상(微光·萬象)〉, 49×41cm,1999 74

〈그림 87〉 뤄샤오핑(羅小平), 〈미광·만상(微光·萬象)〉, 52×40cm,1999 74

〈그림 88〉 뤄샤오핑(羅小平), 〈미광·만상(微光·萬象)〉, 50×39cm,1999 74

〈그림 89〉 뤄샤오핑(羅小平), 〈애연(愛蓮)〉, 63×37cm, 1998 75

〈그림 90〉 뤄샤오핑(羅小平), 〈부생(浮生)〉, 71×31cm, 1998 75

〈그림 91〉 뤄샤오핑(羅小平), 〈추풍장지(秋風將至)〉, 47×65cm, 1998 75

〈그림 92〉 야오용캉(姚永康), 〈세기와(世紀娃)〉, 53×37cm, 1998, 경덕진도자기대학교 박물관 소장 76

〈그림 93〉 야오용캉(姚永康), 〈세기와(世紀娃)〉, 63×36 cm, 1998, 경덕진도자기대학교 박물관 소장 76

〈그림 94〉 야오용캉(姚永康), 〈세기와(世紀娃)〉, 67×38 cm, 1998, 경덕진도자기대학교 박물관 소장 76

〈그림 95〉 웨이화(魏華), 〈공자(公仔)〉, 90×60×110cm 2000 77

〈그림 96〉 웨이화(魏華), 〈공자(公仔)〉, 99×91×58 cm 2000 77

〈그림 97〉 웨이화(魏華), 〈공자(公仔)〉, 45×45×123cm 2000 77

〈그림 98〉 웨이화(魏華), 〈공자(公仔)〉, 86×46×110cm 2000 77

〈그림 99〉 웨이화(魏華) 〈공자전(公仔磚〉, 300×70×20cm 2006 광둥성 박물관 소장 79

〈그림 100〉 웨이화(魏華) 〈공자전(公仔磚〉, 78×50cm, 2006 79

〈그림 101〉 웨이화(魏華) 〈공자전(公仔磚〉, 80×33cm, 2006 79

〈그림 102〉 주러겅(朱樂耕) 〈선(禪)〉 66× 130 cm,1997, 중국 도자기 박물관 소장 79

〈그림 103〉 주러겅(朱樂耕), 〈송(頌)〉, 71× 146 cm,1999, 중국 도자기 박물관 소장 79

〈그림 104〉 멍푸웨이(孟福偉) 〈생사시속(生死時速)1〉(일부) 2008 중국미술관 소장 82

〈그림 105〉 멍푸웨이(孟福偉) 〈생사시속(生死時速)2〉(일부) 2008 82

〈그림 106〉 멍푸웨이(孟福偉) 〈생사시속(生死時速)3〉(일부) 2008 82

〈그림 107〉 멍푸웨이(孟福偉) 〈생사시속(生死時速)4〉(일부) 2008 82

〈그림 108〉 장시페이(張時飛) 〈사진첩(相簿)〉 65cm× 94 cm 2020 83

〈그림 109〉 장시페이(張時飛) 〈사진첩(相簿)〉 73cm× 94 cm 2020 83

〈그림 110〉 장시페이(張時飛) 〈사진첩(相簿)〉(일부) 2020 83

〈그림 111〉 장시페이(張時飛) 〈사진첩(相簿)〉(일부) 2020 83

〈그림 112〉 우샤오옌(吳小燕) 〈심하(心河)〉 140cm× 69 cm 2020 개인 소장 84

〈그림 113〉 우샤오옌(吳小燕) 〈심하(心河)〉 52cm× 74 cm 2020 개인 소장 84

〈그림 114〉 우샤오옌(吳小燕) 〈심하(心河)〉 47cm× 71 cm 2020 개인 소장 84

〈그림 115〉 우샤오옌(吳小燕) 〈심하(心河)〉 41cm× 65 cm 2020 개인 소장 84

〈그림 116〉 조쯔웨이(鈔子伟) 〈청춘기억(青春記憶)〉 55cm×60cm×25cm 2014 85

〈그림 117〉 조쯔웨이(鈔子伟) 〈나의 할아버지 대와 아버지 대(我的祖輩父輩)〉 101cm×60cm×74cm 2013 85

〈그림 118〉 조쯔웨이(鈔子伟) 〈십년(十年)〉 125cm×105cm×58cm 2008 85

〈그림 119〉 추메이궤(邱玫瑰), 〈꿈〉, 35×54cm, 2017 86

〈그림 120〉 추메이궤(邱玫瑰), 〈관(冠)〉, 24×72cm, 2013 덕화백자박물관 소장 86

〈그림 121〉 추메이궤(邱玫瑰), 〈성(胜)〉, 23×61cm, 2009 86

〈그림 122〉 문나(文娜), 〈신선〉 45×74cm 2011 87

〈그림 123〉 문나(文娜), 〈신선〉 23×68cm 2013 87

〈그림 124〉 문나(文娜), 〈신선〉 55×71cm 2012 87

〈그림 125〉 문나(文娜), 〈신선〉 23×62cm 2016 87

〈그림 126〉 천숴(陳碩), 〈갑각(甲殼)〉 54×43×143cm 2013 88

〈그림 127〉 천숴(陳碩) 〈갑각(甲殼)〉 40×49×175cm 2017 88

〈그림 128〉 천숴(陳碩) 〈불(佛)〉 48×45×150cm 2018 88

〈그림 129〉 천숴(陳碩) 〈마르세유(马赛)〉 48×45×72cm 2018 88

〈그림 130〉 오용핑(吳永平), 〈요주 역사(澆鑄歷史)〉 66×37×30cm 2018 89

〈그림 131〉 오용핑(吳永平), 〈요주 역사(澆鑄歷史)〉 66×37×30cm 2018 89

〈그림 132〉 장샤오지(張小池) 〈화상(化象)〉(일부), 2020 개인 소장 90

〈그림 133〉 장샤오지(張小池) 〈화상(化象)〉, 28×39×94 cm 2020 개인 소장 90

〈그림 134〉 장샤오지(張小池) 〈화상(化象)〉(일부), 2020 개인 소장 90

〈그림 135〉 껑쉬에(耿雪) 〈해공자(海公子)〉(일부) 2013 91

〈그림 136〉 껑쉬에(耿雪) 〈해공자(海公子)〉(일부) 2013 91

〈그림 137〉 껑쉬에(耿雪) 〈해공자(海公子)〉(일부) 2013 91

〈그림 138〉 아닝(阿寧), 〈자유지(自留地)〉 21×30 cm 2019 92

〈그림 139〉 아닝(阿寧), 〈결반서행(結伴徐行)〉 28×33cm 2019 92

〈그림 140〉 아닝(阿寧), 〈착문(窄門)〉 18×37cm 2020 92

〈그림 141〉 아닝(阿寧), 〈삼보(三寶)〉 17×26cm 2020 92

〈그림 142〉 위안러휘(袁樂輝), 〈초봄(初春)〉 59×26×62cm 2018 개인 소장 93

〈그림 143〉 위안러휘(袁樂輝), 〈조(潮)〉 45×55cm 2019 개인 소장 93

〈그림 144〉 위안러휘(袁樂輝), 〈경서(經書)〉 49cm× 38cm 2019 개인 소장 93

〈그림 145〉 위안러휘(袁樂輝), 조용한 〈수풀(安靜的叢林)〉 48cm×76cm 2020 개인 소장 93

〈그림 146〉 우용핑(吳永平), 〈복원(復原)〉, 2013, 69×27cm, 개인 소장 98

〈그림 147〉 우용핑(吳永平), 〈복원(復原)〉, 2013, 71×29cm, 개인 소장 98

〈그림 148〉 우용핑(吳永平), 〈복원(復原)〉, 2013, 73×28cm, 개인 소장 98

〈그림 149〉 펑두통(馮都通), 〈도시 미인(都市美人〉, 2014, 47×34cm, 개인 소장 99

〈그림 150〉 펑두통(馮都通), 〈도시 미인(都市美人)〉 2014,,491×39cm, 개인 소장 99

〈그림 151〉 펑두통(馮都通),〈도시 미인(都市美人)〉, 2014, 45×38cm, 개인 소장 100

〈그림 152〉 펑두통(馮都通), 〈전원 목가(田园牧歌)〉, 2016, 50×36cm, 개인 소장 100

〈그림 153〉 펑두통(馮都通), 〈전원 목가(田园牧歌)〉, 2016, 53×43cm, 개인 소장 101

〈그림 154〉 펑두통(馮都通), 〈전원 목가(田园牧歌)〉, 2016, 51×42cm, 개인 소장 101

〈그림 155〉 안지쿤(安之堃), 〈판양(潘阳)〉,2018, 61×30cm, 개인 소장 103

〈그림 156〉 안지쿤(安之堃), 〈샤오화(小华)〉,2018, 58×34cm, 개인 소장 103

〈그림 157〉 안지쿤(安之堃), 〈샤오궈(小郭)〉,2018, 67×32cm, 개인 소장 103

〈그림 158〉 안지쿤(安之堃), 〈학토(河图)〉,2018, 58×34cm, 개인 소장 103

〈그림 159〉 안지쿤(安之堃), 〈커자(郭子)〉,2018, 64×32cm, 개인 소장 103

〈그림 160〉 안지쿤(安之堃), 〈자오타오 (赵涛)〉,2018, 57×30cm, 개인 소장 103

〈그림 161〉 류다지(劉大志), 〈난(暖)〉,78×34cm, 개인 소장 104

〈그림 162〉 류다지(劉大志), 〈공(空)〉,32×53cm, 개인 소장 104

〈그림 163〉 류다지(劉大志), 〈공(空)〉,59×33cm, 개인 소장 104

〈그림 164〉 쩡장청(曾章成), 〈Word in progress〉 2018, 51×34cm 105

〈그림 165〉 쩡장청(曾章成), 〈under the skin〉,2018, 49×38cm 105

〈그림 166〉 쩡장청(曾章成), 〈e×trication〉,2018, 48×36cm 105

〈그림 167〉 쯩청강(曾成剛), 〈무송〉(武松) 2014, 98×76cm, 개인 소장 108

〈그림 168〉 쯩청강(曾成剛), 〈감호삼걸(江湖三杰)〉 2013, 135×46cm, 개인 소장 108

〈그림 169〉 오웨이산((吳爲山), 〈노신상(鲁迅像)〉, 2001 128×56cm, 개인 소장 108

〈그림 170〉 오웨이산((吳爲山), 〈노인상(老人像)〉 2002, 98×45cm, 개인 소장 108

〈그림 171〉 황성(黃勝), 〈무금(抚琴)〉 2007, 38×44cm, 개인 소장 109

〈그림 172〉 황성(黃勝), 〈관(觀)〉 2008, 36×25cm, 개인 소장 109

〈그림 173〉 황성(黃勝), 〈서강월(西江月)〉 2010, 30×56cm, 개인 소장 109

〈그림 174〉 황성(黃勝), 〈원사가(元四家)〉 2017, 46×66cm, 개인 소장 110

〈그림 175〉 황성(黃勝), 〈대강동거(大江东去)〉, 2017, 황성(黃勝) 40×48cm, 개인 소장 110

〈그림 176〉 황성(黃勝), 〈관어(观鱼)〉, 2017, 34×46cm, 개인 소장 110

〈그림 177〉 류정(劉正), 〈경칩(惊蛰)〉,1997, 55×100cm, 개인 소장 112

〈그림 178〉 류정(劉正), 〈경칩(惊蛰)〉, 1998, 100×56cm, 개인 소장 112

〈그림 179〉 류정(劉正), 〈경칩(惊蛰)〉, 1998, 108×55cm, 개인 소장 112

〈그림 180〉 류잉루이(劉穎睿), 〈여인체(女人体)〉, 2010, 40×86cm, 개인 소장 113

〈그림 181〉 류잉루이(劉穎睿), 〈여인체(女人体)〉, 2011, 70×32cm, 개인 소장 113

〈그림 182〉 류잉루이(劉穎睿), 〈가시 있는 여성(带刺的女人)〉, 2013, 79×53cm, 개인 소장 113

〈그림 183〉 류잉루이(劉穎睿), 〈여인체(女人体)〉, 2014, 77×43cm 114

〈그림 184〉 류잉루이(劉穎睿), 〈여인체(女人体)〉, 2015, 73×36cm 114

〈그림 185〉 류잉루이(劉穎睿), 〈여인체(女人体)〉, 2015, 78×35cm 114

〈그림 186〉 조란타오(趙蘭濤), 〈명경대(明镜台)〉, 84×38cm, 개인 소장 115

〈그림 187〉 조란타오(趙蘭濤), 〈명경대(明镜台)〉, 개인 소장 115

〈그림 188〉 조란타오(趙蘭濤), 〈명경대(明镜台)〉, 개인 소장 115

〈그림 189〉 조란타오(趙蘭濤), 〈심정(心经)〉 68×45cm, 개인 소장 115

〈그림 190〉 조란타오(趙蘭濤), 〈운단(云端)〉1, 75×32cm, 개인 소장 117

〈그림 191〉 조란타오(趙蘭濤), 〈운단(云端)〉2, 78×30cm, 개인 소장 117

〈그림 192〉 조란타오(趙蘭濤), 〈운단(云端)〉3, 71×33cm, 개인 소장 117

〈그림 193〉 조란타오(趙蘭濤), 〈운단(云端)〉4, 70×35cm, 개인 소장 117

〈그림 194〉 짜오린(趙淋), 〈만물동원(万物同源)〉, 47×26cm, 개인 소장 118

〈그림 195〉 짜오린(趙淋), 〈이몽위마(以梦为马)〉, 52×34cm, 개인 소장 118

〈그림 196〉 짜오린(趙淋), 〈군자표변(君子豹变)〉, 49×22cm, 개인 소장 118

〈그림 197〉 황산(黃山), 〈한풍·열전(漢風·列傳)〉 96×74cm, 개인 소장 121

〈그림 198〉 황산(黃山), 〈한풍·열전(漢風·列傳)〉 120×110cm, 개인 소장 121

〈그림 199〉 황산(黃山), 〈한풍·열전(漢風·列傳)〉 76×90cm, 개인 소장 121

〈그림 200〉 황산(黃山), 〈한풍·열전(漢風·列傳)〉, 80×64cm, 개인 소장 121

〈그림 201〉 황산(黃山), 〈한풍·열전(漢風·列傳)〉, 80×60cm, 개인 소장 121

〈그림 202〉 황산(黃山), 〈한풍·열전(漢風·列傳)〉, 67×36cm, 개인 소장 121

〈그림 203〉 jean hans arp, 〈응고된 인체(凝固的人體)〉, 1941 Tate Liverpool 소장 124

〈그림 204〉 Umberto Boccioni,, 〈Unique Forms of Continuity in Space〉, 111cm×88cm×40cm, 1913,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124

〈그림 205〉 Constantin Brâncuși, 〈키스(吻)〉, 1908 124

〈그림 206〉 오용핑(吳永平), 〈아름다운 꽃〉, 70×39×26cm 2009 124

〈그림 207〉 오용핑(吳永平), 〈아름다운 꽃〉, 66×48cm, 2009 124

〈그림 208〉 오용핑(吳永平), 〈일종의 상태(一種狀態)〉, 43×27×18cm, 2003 124

〈그림 209〉 오용핑(吳永平), 《〈고도-그리움(故都 - 懷念), 65×31×27cm, 2003 124

〈그림 210〉 류정(劉正), 〈고독자(孤獨者)〉, 26×58cm, 2006 126

〈그림 211〉 류정(劉正), 〈자유〉, 34×63cm, 2008 126

〈그림 212〉 류정(劉正), 〈자유〉2, 39×52cm, 2008 126

〈그림 213〉 쭈레이(周雷), 〈좌회불란(坐懷不亂)〉,476×69cm, 2018 개인 소장 127

〈그림 214〉 쭈레이(周雷), 〈출애급(出埃及)〉, 33×30×50cm, 2018 개인 소장 127

〈그림 215〉 쭈밍(朱铭), 〈태극〉, 26×48cm, 2008 128

〈그림 216〉 쭈밍(朱铭), 〈태극〉, 21×49cm, 2008 128

〈그림 217〉 쭈밍(朱铭), 〈태극〉, 16×46cm, 2008 128

〈그림 218〉 쭈밍(朱铭), 〈태극〉, 27×43cm, 2008 128

〈그림 219〉 량완잉(樑婉瑩), 〈이식(移植)〉1, 30×30×40cm, 2020 개인 소장 129

〈그림 220〉 량완잉(樑婉瑩), 〈이식(移植)〉1, 30×30×40cm, 2020 개인 소장 129

〈그림 221〉 샤더우(夏德武), 〈인형 시리즈〉, 36×48cm, 1995 개인 소장 130

〈그림 222〉 샤더우(夏德武), 〈인형 시리즈〉, 26×47cm, 1995 130

〈그림 223〉 샤더우(夏德武), 〈인형 시리즈〉, 31×52cm, 1995 130

〈그림 224〉 〈멜로스의 아프로디테〉 Musée du Louvre 소장 135

〈그림 225〉 다빈치(Leonardo da Vinci)스케치 Musée du Louvre 소장 135

〈그림 226〉 Venus of Willendorf Naturhistorisches Museum 소장 135

〈그림 227〉 아프리카 이페(Ilé-Ifẹ̀)의 인체 도기도 15.2×8.3×9.5cm Brooklyn Museum 소장 135

〈그림 228〉 중국 홍산 문화 인체 도기도 랴오닝 박물관 소장 135

〈그림 229〉 안지쿤(安志堃), 〈리 (李)〉, 36×58cm, 2017 136

〈그림 230〉 황산(黃山), 〈선비(士)〉, 27×52cm, 2018 136

〈그림 231〉 채쯔송(蔡志鬆), 〈회고(懷古)〉, 31×47cm, 2016 136

〈그림 232〉 광려강(光麗強), 〈소파 위의 청춘 시리즈(沙发上的青春)〉, 23×38cm, 2019 개인 소장 138

〈그림 233〉 광려강(光麗強), 〈소파 위의 청춘 시리즈(沙发上的青春)〉2, 39×21cm, 2019 개인 소장 138

〈그림 234〉 셰창민(謝長敏), 〈유몽(幽夢)〉, 25×58cm, 2015 138

〈그림 235〉 셰창민(謝長敏), 〈청은(青隱)〉, 16×52cm, 2017 138

〈그림 236〉 Michelangelo body sketch Musée du Louvre 소장 140

〈그림 237〉 Leonardo da Vinci body sketch Musée du Louvre 소장 140

〈그림 238〉 Leonardo da Vinci body sketch Musée du Louvre 소장 140

〈그림 239〉 body sketch1 141

〈그림 240〉 body sketch2 141

〈그림 241〉 body sketch3 141

〈그림 242〉 뤼핀창(呂品昌), 《아포(阿福)》, 76×58cm, 2013 142

〈그림 243〉 뤼핀창(呂品昌), 《여체》, 46×83cm, 2015 142

〈그림 244〉 판쥔(潘軍), 《각(殼)》, 66×48cm, 2017 145

〈그림 245〉 양잔(楊湛), 〈남자체(男人体)〉 66×48cm, 2020 145

초록보기

 중국 도예의 인체 조형은 중국의 현대 조각과 도자 공예가 결합한 결과물이다. 인체의 조형미를 드러내는 동시에 도예의 공예적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다. 인체 조각 소재는 예술가의 개인적인 사상을 직접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발전과정을 반영하기에 중국에서 특별한 지위를 점하고 있다. 중국은 20세기 초와 중반에 각각 프랑스와 소련에서 서양 조각 예술을 도입한 후, 인체 조각은 중국의 현대 조각을 대표하는 요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970년대 말까지 이어졌고, 현대 인체 조각은 홍보, 기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부터 인체 조각은 현대 예술의 특징을 통합하면서 중국 예술가들이 자신의 관념을 표현하기 위해 인체 주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인체 도예는 조각의 중요한 한 분야로 다른 조각 분야와 구별되는 인체 조형의 다양성, 재료의 아름다움, 공예의 미적표현을 결합한 특징을 지녔다. 중국의 현대도예 인체 조형은 서양 인체 조각 예술, 중국의 소재 및 도자 공예가 조화를 이루어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와 예술 공예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인체 도예는 계속해서 발전하며, 시대의 미학적 특징을 부각시켜왔다. 중국 현대 인체 조형의 발전 조건, 과정, 예술 양식 및 예술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현대 인체 도예에 대해 보다 전반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와 인식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중국 현대 인체 조형 도예가 거의 70년 동안 발전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연구이다. 현대 인체 조형 도예에 대한 연구가 실제 창작에 더 치우친 경향이 있어 이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기에, 이론 연구를 보완하는 데 있어 상당한 연구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2장에서는 인체 조형의 발전 조건과 영향을 분석한다. 20세기 초, 중국에서 프랑스로 유학한 1세대 조각가들이 중국으로 돌아와서 해부학을 중심으로 한 구상 인체 조각을 통해 중국 현대 조각의 기초를 마련했다. 1950년대 초, 국제 정치 관계로 인해 중국 조각 예술은 소련의 현실주의 인체 조각 창작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였고, 구상 인체 조각이 중국 조각 교육의 핵심이 되었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중국 인체도예의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많은 조각가들이 도자 재료를 사용하여 인체 조형을 창작하기 시작했으며, 인체 조형 도예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 시기의 중국 현대 인체 조형의 주제와 표현 형식은 시대와 예술 형식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에 이르러 중국이 대외개방 정책을 전면적으로 시행하면서 유럽, 미국 등의 현대 예술이 중국 현대 예술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를 시작으로 인체 조형 도예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제3장에서는 인체도예의 발전을 세 단계로 분류한다. 첫 번째 단계는 1950~1980년이다. 초기 발전 단계로, 정치 지도자, 영웅, 노동자, 소수 민족 등과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표현했다. 또한, 이 시기의 도예가들은 중국 현대 도예의 선구자로 여겨졌다. 두 번째 단계는 1980~2000년이다. 인체 조형 도예의 전성기이며, 예술가들은 더 이상 고정된 정치 주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인체도예 작품에 관념성과 개성적인 특징을 부여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세 번째 단계는 2000~2020년이다. 인체 도예는 계속해서 다양하게 변화하는 추세를 보였고, 특히 인체도예 조형은 종합 재료 사용, 영상 결합 및 카툰 양식 등으로 제작되었다.

제4장에서는 조형을 구상화, 의상화, 추상화 등 세 가지 예술 양식으로 분류하였다. 구상화는 해부학을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인 객체를 사실적으로 반영하는 예술 양식이다. 의상화는 해부학과 중국 전통 의상 미학 이념이 결합된 예술 양식이다. 추상화는 해부학의 미적 기준을 벗어나며, 그 방향은 더 이상 객체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표현을 기반으로 창작자의 감정을 작품에 부여하는 것이다.

제5장에서는 중국 미학 특징이 인체 조형 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설명하며, 이를 비율, 역동, 형체 및 구조로 분류한다. 비율은 인체도예에서 일반적으로 조형 각 부분의 크기, 길이, 너비, 높이 등의 비례를 의미한다. 인체도예 조형은 입체적인 3차원 예술이므로, 그 개념은 부피와 공간의 크기 관계를 포함한다. 인체 예술 조형에서 비율은 자유로우며, 창작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과장할 수 있다. 역동은 인체도예 조형에서 일반적으로 몸통과 사지의 움직임으로 표현되며, 인체의 역동은 작품의 감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면서 균형과 중심의 안정성을 보장해야 한다. 형체는 인체의 복잡한 근육과 뼈를 직사각형, 구체 및 불규칙한 입체 조형 등과 같은 구체적인 블록 형체의 조형으로 요약하는 것이다. 구조는 기본적인 인체 조형에 따라 각 형체 간의 역학 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분산된 조형을 합리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절에서는 1950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현대 도예 인체 조형의 미학적 특징에 나타난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해당 기간에는 인체 조형의 비율, 역동, 형체, 구조가 단조로움에서 다양함으로 변화했음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