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머리말 17

1. 연구 목적 17

2. 연구 현황 25

1) 중국 25

2) 일본 31

3) 한국 34

3. 연구 방법과 내용 38

Ⅱ. 분포와 구조 42

1. 분포 42

1) 상경지역 49

2) 동경지역 51

3) 중경지역 53

4) 남경지역 57

5) 서경지역 61

2. 구조 62

1) 기단부 62

2) 탑신부 64

3) 상륜부 70

Ⅲ. 유형과 도상 72

1. 개요 72

1) 목탑 73

2) 전탑 75

3) 석탑 77

2. 유형 79

1) 누각식 80

2) 밀첨식 82

3) 화식 90

4) 혼합식 92

3. 도상 94

1) 불·보살상 96

2) 탑상 102

3) 비상 105

4) 비천상 108

5) 주악상 111

6) 사자상과 코끼리상 118

7) 동경 124

Ⅳ. 사리장엄 126

1. 위치 126

1) 지궁 128

2) 하궁 136

3) 중궁 137

4) 천궁 138

2. 유형 140

1) 사리기 141

2) 공양탑 147

3) 불보살상 153

4) 경탑과 경당, 경판 156

5) 塔記 167

Ⅴ. 특성 192

1. 사찰과의 관계 192

1) 가람배치 192

2) 불탑의 기능 200

2. 양식 및 신앙 202

1) 양식 202

2) 신앙 215

Ⅵ. 발해 및 고려와의 관계 240

1. 발해와의 관계 240

1) 불교문화 240

2) 탑과 석등 243

3) 사리용기의 구성 245

2. 고려와의 관계 247

1) 정치 문화적 교류 247

2) 요탑과 고려의 석조미술 비교 256

3) 고려와 요의 불교문화의 상관성 273

Ⅶ. 맺음말 281

참고문헌 286

부록 302

부록 1. 요 전탑 주요 특징 302

부록 2. 요탑 사진 318

Abstract 329

표목차

〈표 1〉 『요사』에 기록된 불교 관계 기사 20

〈표 2〉 2010년대 중국의 요탑 연구성과 30

〈표 3〉 『요사』에 보이는 요 사찰 및 불교 관계 내용 43

〈표 4〉 기년명 유물에 의한 요의 건탑 활동 45

〈표 5〉 요 上京道 탑 현황 50

〈표 6〉 阜新 지역 멸실 요탑 현황 51

〈표 7〉 요 東京道 탑 현황 52

〈표 8〉 東京道 지역 멸실 요탑 현황 53

〈표 9〉 요 中京道 탑 현황 54

〈표 10〉 北票지역 탑지 조사 현황 56

〈표 11〉 요 南京道 탑 현황 58

〈표 12〉 요 西京道 탑 현황 61

〈표 13〉 기단부 상단 구조에 따른 요탑 현황 63

〈표 14〉 누각식 탑의 탑첨에 따른 분류 67

〈표 15〉 탑첨의 수법에 따른 요탑 69

〈표 16〉 화식 탑의 탑신부 구성요소 69

〈표 17〉 요탑의 유형 분류안 비교 79

〈표 18〉 평면 4각형과 6각형 밀첨식 탑 84

〈표 19〉 평면 8각형 밀첨식 탑 85

〈표 20〉 밀첨식 요탑의 주요 속성과 형식 86

〈표 21〉 밀첨식 탑의 형식에 따른 탑 현황 89

〈표 22〉 조양 북탑 탑신의 도상 요소 95

〈표 23〉 평면 8각 밀첨식 전탑 1층 탑신의 불보살상 배치 형식 99

〈표 24〉 요탑 탑신에 표현된 비천상의 특징 110

〈표 25〉 요탑에 부조된 악기의 종류 115

〈표 26〉 요탑 사리장엄의 위치 127

〈표 27〉 조양 북탑 출토 사리장엄 현황 139

〈표 28〉 신빈 요빈탑 출토 사리장엄 현황 140

〈표 29〉 조양 북탑의 사리용기와 사리 출토 현황 145

〈표 30〉 응현 불궁사 석가탑 발견 『거란장』 경권 현황 160

〈표 31〉 응현 불궁사 석가탑 출토 경전의 제작연대와 제작소 161

〈표 32〉 흥성 백탑욕탑 지궁 출토 각경문 164

〈표 33〉 요탑 과거 7불명 165

〈표 34〉 요탑 건립기록 168

〈표 35〉 요대 천인읍의 사례 172

〈표 36〉 북경 만불당화탑 묵서와 각자 191

〈표 37〉 요탑의 가람배치 형식 194

〈표 38〉 오대 탑 현황 206

〈표 39〉 누각식 탑의 편년안 209

〈표 40〉 밀첨식 탑의 분포와 건립 시기 211

〈표 41〉 평면 8각형 밀첨식(I식) 탑의 편년안 212

〈표 42〉 평면 8각형 밀첨식(II식) 탑의 편년안 212

〈표 43〉 평면 4각형 밀첨식 탑의 편년안 213

〈표 44〉 평면 6각형 밀첨식 탑의 편년안 214

〈표 45〉 화식 탑의 편년안 215

〈표 46〉 경전에 표현된 8대 佛名과 소관처 218

〈표 47〉 부신 탑영자탑·심양 무구정광사리탑·개원 숭수사탑에 새겨진 불명 219

〈표 48〉 영성 중경대탑 8대보살명 220

〈표 49〉 《팔대보살만다라경》의 8대보살 222

〈표 50〉 흥성 백탑욕탑과 영성 중경대탑의 8대탑 명호와 배치 225

〈표 51〉 흥성 백탑욕탑 지궁 천정 8대탑 각명 227

〈표 52〉 《금강정경》에 따른 금강계 5방불 모습과 범자 230

〈표 53〉 요 석경당 현황 232

〈표 54〉 고려시대 요 연호 차용사례 251

〈표 55〉 10~12세기 기년명 고려 석탑 259

〈표 56〉 고려 수직문 천개유막장식 유물 262

〈표 57〉 인도 승려에 의한 당대 밀교 경전과 전법관계 277

삽도목차

〈삽도 1〉 遼의 疆域과 遼河(12세기, wikipedia 편집) 18

〈삽도 2〉 한국미술의 계보와 중국과의 관계(關野貞, 1944) 32

〈삽도 3〉 요탑의 분포 48

〈삽도 4〉 요탑의 구조 62

〈삽도 5〉 영구 각산사탑 기단(王春波, 1996.2) 64

〈삽도 6〉 요탑 기단부 구조 64

〈삽도 7〉 요탑 탑신의 내부 구조(楊瑞, 2007) 64

〈삽도 8〉 각산사탑 塔心室 벽화 (孔有生, 文博圈, 2018) 65

〈삽도 9〉 요대 고분 벽화의 여인상(中國社會科學罔) 66

〈삽도 10〉 요탑 탑실 천정 67

〈삽도 11〉 풍윤 천궁사탑의 단면(陳國瑩, 1989) 67

〈삽도 12〉 요 누각식 탑 주요 탑첨 68

〈삽도 13〉 요 밀첨식 탑 주요 탑첨 68

〈삽도 14〉 요 화식 탑 탑첨 70

〈삽도 15〉 요탑 상륜도 (東洋學會, 1909) 70

〈삽도 16〉 경주 백탑 상륜 구조 70

〈삽도 17〉 응현 불궁사 석가탑 74

〈삽도 18〉 등봉 숭악사 탑 76

〈삽도 19〉 무안주백탑 탑실과 계단 76

〈삽도 20〉 만부화엄경탑 출입문 76

〈삽도 21〉 曹天度 9層石塔(臺灣國立 歷史博物館) 78

〈삽도 22〉 북경 운거사 석탑(당, 727) 78

〈삽도 23〉 酒泉 肅州 누각식 曹天護석탑(北魏 太和23, 499,... 80

〈삽도 24〉 요 밀첨식 탑의 발생(楊昆, 2017) 82

〈삽도 25〉 불광사 조사탑 91

〈삽도 26〉 영천사 보방법사탑 91

〈삽도 27〉 신통사 사문탑 91

〈삽도 28〉 돈황 성성만화탑 (五代~宋初, 甘肅省文物局, 2014) 91

〈삽도 29〉 금주 의현 팔탑자탑 91

〈삽도 30〉 운강석굴(14굴) 부조 정각식탑 91

〈삽도 31〉 운거사 나한탑 93

〈삽도 32〉 계주 백탑 93

〈삽도 33〉 조양 북탑 1층 탑신의 도상 95

〈삽도 34〉 호화호특 만부화엄경탑 탑신 96

〈삽도 35〉 경주 백탑 탑신 96

〈삽도 36〉 평면 8각 밀첨식 전탑 1층 A형식 탑신 97

〈삽도 37〉 평면 8각 밀첨식 전탑 1층 B형식 탑신 98

〈삽도 38〉 평면 8각 밀첨식 전탑 1층 C형식 탑신 98

〈삽도 39〉 평면 8각 밀첨식 전탑 1층 D형식 탑신 100

〈삽도 40〉 요탑 탑신의 천개 101

〈삽도 41〉 지광국사현묘탑 사리봉송도 101

〈삽도 42〉 전탑형 八大靈塔(밀첨식, 4각) 102

〈삽도 43〉 탑신 모서리에 배치되는 석탑형 八大靈塔(밀첨식, 8각) 103

〈삽도 44〉 탑신에 배치되는 석탑형 八大靈塔 104

〈삽도 45〉 경주 백탑과 표면 장엄 탑상 104

〈삽도 46〉 경당형 八大靈塔(8각) 105

〈삽도 47〉 요탑 탑신 碑像 106

〈삽도 48〉 계주 백탑 비상(方趺圓首形) 107

〈삽도 49〉 부신 탑산탑 비상(臺座荷葉形) 107

〈삽도 50〉 요탑 탑신 位牌形 비상 108

〈삽도 51〉 요탑의 비천상 109

〈삽도 52〉 조양 팔릉관탑 기단 주악상과 가릉빈가 111

〈삽도 53〉 조양 괴수동 석탑 기악상 112

〈삽도 54〉 요 유물에 표현된 기악상 113

〈삽도 55〉 북경 운거사 석경탑 기단 중대석 주악상 114

〈삽도 56〉 요탑의 기악상 배치 114

〈삽도 57〉 요대 악기문 동경 115

〈삽도 58〉 당~오대의 악기(李星明, 2004) 116

〈삽도 59〉 내몽고 오한기 羊山 1號 遼墓 벽화 (赤峰敖漢旗博物館) 116

〈삽도 60〉 요탑에 새겨진 가릉빈가 117

〈삽도 61〉 응현 불궁사 석가탑 내부 불보살상과 대좌 119

〈삽도 62〉 요탑 문수·보현보살상과 胡人騎獅子座 120

〈삽도 63〉 북경 방산 만불당화탑의 동물상 120

〈삽도 64〉 경주 백탑 1층 탑신 부조 121

〈삽도 65〉 조양 봉황산 대보탑 1층 탑신 생령좌 부조 121

〈삽도 66〉 상경 남탑 불공성취불 금시조좌(遼上京博物館) 122

〈삽도 67〉 조양 북탑 천궁 출토 사리탑 생령좌 122

〈삽도 68〉 경주 백탑 출토 사리함 사자상 (九州國博物館, 2011) 122

〈삽도 69〉 석가모니 出城(부분, 2~3세기, 카라치박물관, 樋口隆康, 1984) 122

〈삽도 70〉 불좌상(8세기, 카라치박물관, 樋口隆康, 1984) 122

〈삽도 71〉 요탑 기단에 표현된 사자상 123

〈삽도 72〉 요탑 탑신에 부착된 동경 124

〈삽도 73〉 경주 백탑 탑신 장엄용 동경 (清格勒, 1998.9) 125

〈삽도 74〉 요탑 탑궁의 종류와 위치 127

〈삽도 75〉 요탑 지궁의 例 129

〈삽도 76〉 부풍 법문사 탑 지궁도 (法門寺博物館, 1994) 129

〈삽도 77〉 심양 무구정광사리탑 지궁 사천왕벽화(도면:王菊耳, 1988, 모사도:記兵외, 2005) 130

〈삽도 78〉 조양 오십가자탑 탑실과 내부 지궁 (趙兵兵 외, 2011.4) 131

〈삽도 79〉 철령 개원 탑동촌탑지 및 지궁 출토 유물(李龍彬 외, 2013.2) 132

〈삽도 80〉 영성 반절탑 지궁 도면(馬風磊 외, 2010) 133

〈삽도 81〉 순의 무구정광사리탑 지궁 평면과 출토유물(蘇天鈞, 1964.8) 134

〈삽도 82〉 요탑의 법사리탑 문양전 134

〈삽도 83〉 북경 천개탑 출토 탑형 사리석함과 사리출토 모습 135

〈삽도 84〉 북경 대흥탑림 요탑 지궁(北京首都博物館) 136

〈삽도 85〉 신민 요빈탑 사리장엄 공간 실측도(李曉鐘, 2006.4) 137

〈삽도 86〉 부풍 법문사 지궁 출토 사리함(梁子 외, 2006) 140

〈삽도 87〉 북정탑 지궁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齊心 외, 1980) 141

〈삽도 88〉 심양 탁망산탑 사리석함(遼寧省博物館) 142

〈삽도 89〉 조양 남탑 부근 출토 사리석함(遼寧省博物館) 142

〈삽도 90〉 조양 북탑 사리석함 143

〈삽도 91〉 당의 관형 사리기 144

〈삽도 92〉 요대 관형 사리기와 석관 144

〈삽도 93〉 도제 사리탑(大同博物館) 144

〈삽도 94〉 조양 북탑 출토 금제 사리탑과 경탑(遼寧省博物館) 144

〈삽도 95〉 영성 무관영자 탑기 출토 석제 사리용기 및 석조 공양상(鄭紹宗, 1964.11) 146

〈삽도 96〉 농안 요탑 천궁 출토 사리용기(王可航, 2019.7) 147

〈삽도 97〉 신빈 요빈탑 하궁 출토 은제 탑형 사리용기(李曉鐘, 2006.6) 147

〈삽도 98〉 농안 만금탑 지궁 출토 철제 누각형 사리용기(劉振華, 1973) 147

〈삽도 99〉 농안 만금탑 지궁 출토 석탑(劉振華, 1973.8) 148

〈삽도 100〉 조양 북탑 출토 도금 은탑 (紀兵·王晶辰, 2005) 149

〈삽도 101〉 경주 백탑 출토 은도금 법사리탑(曉田, 1997.4) 149

〈삽도 102〉 경주 백탑 천궁 출토 법사리탑(曉田, 1997.4) 149

〈삽도 103〉 부신 홍모자탑 지궁 출토 사리기(遼寧省博物館, 2010) 149

〈삽도 104〉 경주 백탑 천궁 출토 목제 법사리탑(曉田, 1997.4) 150

〈삽도 105〉 신민 요빈탑 출토 목제 소탑 (李曉鐘, 2006.4) 150

〈삽도 106〉 북정탑 탑신부 출토 도탑(齊心 외, 1980) 152

〈삽도 107〉 하북 울현출토 요 녹유도탑 (楊海勇 외, 2023.1) 152

〈삽도 108〉 순의 무구정광사리탑 지궁 출토 은좌수정불탑 153

〈삽도 109〉 요대 석가모니 열반상 154

〈삽도 110〉 요탑에 봉안된 불상 155

〈삽도 111〉 요탑에 봉안된 보살상 156

〈삽도 112〉 조양 남탑 출토 석조 나한상 (遼寧省 博物館) 156

〈삽도 113〉 대동 東風里 요묘 출토 채회석조 신사좌상 (大同博物館) 156

〈삽도 114〉 대동 新添堡村 요묘 벽화 문인상 (大同博物館) 156

〈삽도 115〉 북정탑 출토 석경당과 도제 당 157

〈삽도 116〉 순의 무구정광사리탑 지궁 출토 석경당 (蘇天鈞, 1964.8) 158

〈삽도 117〉 응현 불궁사 석가탑 출토 요대 경전(閻文儒 외, 1982.6) 159

〈삽도 118〉 근본다라니주와 대승장엄보왕경육자대명다라니 163

〈삽도 119〉 공의 석굴사 제1굴 과거7불 도상 165

〈삽도 120〉 백탑욕탑 지궁내 각명(陳術石·佟強, 2013) 167

〈삽도 121〉 순의 무구정광사리탑 지궁 출토 건탑조연공덕비 탁본 (蘇天鈞, 1964.8) 169

〈삽도 122〉 심양 무구정광사리탑 사리석함 명문 탁본(侯妍文, 2016.9) 171

〈삽도 123〉 심양 무구정광사리탑 청 숭덕 중수비 171

〈삽도 124〉 경주 백탑 조상건탑비 174

〈삽도 125〉 경주 백탑 조성 조직표 (張漢君·張曉東, 2002.2) 176

〈삽도 126〉 경주 백탑의 사리 장엄 및 불교의례 모식도(張漢君·張曉東, 2002.2) 176

〈삽도 127〉 조양 남탑 출토 불사리명기 탁본 177

〈삽도 128〉 객좌 대성자탑 묵서 (侯申光외, 2013) 179

〈삽도 129〉 북경 영광사 초선탑 출토 유물 (李若水, 2015) 181

〈삽도 130〉 파림좌기 대신장촌 총탑기 (金永田, 2010.2) 183

〈삽도 131〉 북경 천개탑 지궁 사리탑 석함 탁본 187

〈삽도 132〉 신민 요빈탑 천궁 출토 석함 명문(李曉鐘, 2006) 188

〈삽도 133〉 요 상경성의 탑 배치(李若水, 2015) 193

〈삽도 134〉 요 중경성의 탑 배치 (吉平, 2010) 193

〈삽도 135〉 요 상경 서산파 1~3호 탑지(張小楊, 2019) 197

〈삽도 136〉 연운16주(井上順惠, 1981.10) 199

〈삽도 137〉 섬서 건현 의덕태자묘 묘도 동벽 벽화(부분, 706, 李星明, 2004) 203

〈삽도 138〉 북위, 수, 당의 탑 204

〈삽도 139〉 五代 탑 208

〈삽도 140〉 宋代 탑 208

〈삽도 141〉 개원 숭수사탑 불상 (東洋學會, 1909) 218

〈삽도 142〉 영성 중경대탑 탑신 220

〈삽도 143〉 조양 북탑 출토 금은경탑과 석경당 8대영탑도(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2007) 226

〈삽도 144〉 흥성 백탑욕탑 오방불과 벽비 228

〈삽도 145〉 금강계만다라의 성신회도(染川英輔, 1993) 229

〈삽도 146〉 발해의 불보살상 241

〈삽도 147〉 요의 불보살상 242

〈삽도 148〉 발해 영광탑 (도면: 國家文物局, 1993) 243

〈삽도 149〉 발해 마적달촌 탑과 정효공주 묘탑 (方學鳳, 1998) 243

〈삽도 150〉 발해 흥륭사 석등 244

〈삽도 151〉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상대석 245

〈삽도 152〉 11세기 고려 연화문 245

〈삽도 153〉 발해 상경용천부 백묘자촌 출토 녹정형 사리함(黑龍江省博物館) 245

〈삽도 154〉 발해의 사리석함 (渤海上京文物展示館) 245

〈삽도 155〉 고려본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 (부분, 統和25년, 1007) 250

〈삽도 156〉 현화사 7층석탑과 지광국사현묘탑의 불좌상 261

〈삽도 157〉 고려 수직문 천개장식 262

〈삽도 158〉 선봉사 대각국사비의 비교(국립중앙박물관 이뮤지엄) 264

〈삽도 159〉 성동다라니석당 출토 청동당(11세기,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92) 267

〈삽도 160〉 요탑의 수직문 천개유막 장식 267

〈삽도 161〉 요대 석탑 268

〈삽도 162〉 당, 요의 석경당 270

〈삽도 163〉 宋 금은사리탑(陝西文物局, 2009) 270

〈삽도 164〉 고려시대 다라니석당(국립문화재연구소, 1992) 271

〈삽도 165〉 고려시대 석당 관련 유물(국립중앙박물관 이뮤지엄) 273

〈삽도 166〉 함양 승안사지 3층석탑 274

〈삽도 167〉 예천 개심사지 5층석탑 275

〈삽도 168〉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275

〈삽도 169〉 고려 보살좌상 276

〈삽도 170〉 경주 백탑 탑신 장엄용 동경 (清格勒, 1998.9) 279

〈삽도 171〉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고려 선각여래동경 (大和文華館, 2018) 279

〈삽도 172〉 조양 전창호촌 요묘 출토 동경 (靳楓貌, 1980) 279

〈삽도 173〉 경주 안압지 출토 동경 (이뮤지엄) 279

초록보기

 遼(916~1125)는 거란족에 의해 세워진 중국 최초의 정복국가로서 동아시아의 북방을 지배하였다. 요는 華夷觀을 극복하고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당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유목민 특유의 개방성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다. 당, 오대, 송 등의 중국 문화, 그리고 실크로드를 통한 서역의 문화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중국 동북에서 성장 발전하였던 발해의 문화를 흡수하였고, 고려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요는 한족, 여진족, 발해인 등 다민족을 통치하기 위해 건국 초기부터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그 결과 황제로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불교를 받아들이고 숭상하였다. 이에 따라 요 불교는 화엄학이나 밀교학 분야에서 뛰어난 발전을 이루었으며, 전국적인 佛事를 통해 다수의 塔이 건립되었다. 특히 遼塔은 요의 불교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문화 요소로서 구조와 장엄 도상, 사리장엄 등에서 매우 다양하면서도 독창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0세기부터 12세기 초까지 건립된 145기의 탑과 塔址를 대상으로 전개 양상과 특징을 규명하고, 그 기원과 교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요탑은 기단부에 있어서는 높게 마련된 須彌座의 기단과 목조건물의 栱包를 갖춘 난간대, 그리고 仰蓮形의 중첩 연화문 받침단 등이 특징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며, 탑신부에 있어서는 樓閣式과 密檐式, 花式, 混合式 등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같은 각 구성요소를 통해 요탑의 성격과 불교 신앙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 기단과 1층 탑신을 장엄하는 각종 도상을 분석하여 요탑의 장식성에서 드러나는 요 불교미술의 특징과 탑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도상적 특징은 五方佛, 8佛, 8大菩薩, 生靈座로 표현된 金剛界 曼陀羅의 시각화로 압축된다. 그리고 중국의 탑 사리장엄 전통과 요의 墓制가 결합된 결과인 다양한 사리장엄구를 통해 요의 찬란한 불교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탑에서 출토된 각종 기록을 분석하여 건립과정과 건립을 주도한 '千人邑' 의 성격도 확인하였다.

요탑은 매우 독특하고 차별화되는 고유한 양식적 특징이 확인된다. 唐, 五代, 宋의 탑과 비교하면, 평면 8각형으로의 변화, 높고 화려한 수미좌와 연화문 탑신 받침 등의 구조적 차이점과 밀교 신앙적 장엄 도상 등을 통해 신앙적 차이점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시기에는 특히 《불정존승다라니경》이 가장 널리 유행하였으며, 요대 탑파의 주요한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불정존승다라니」 신앙은 오대산의 불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9세기 이후 발해에서 유행하였고, 고려시대 건립된 석당에도 주로 사용되어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있어서 주목된다.

요 불교문화의 기원으로는 두 가지 관점이 있었다고 보인다. 하나는 당-오대로 이어지는 중국 중원의 불교문화이고, 다른 하나는 동쪽으로부터 확산한 발해의 불교문화이다. 특히 발해는 당과 신라의 영향을 받았고 요에 흡수되면서 자연스럽게 요 불교문화의 한 뿌리가 되었다. 요와 고려의 관계는 군사적 굴복이라는 강압으로 시작되었지만, 이후 활발한 문화교류를 통해 고려 석탑의 신양식 등장, 고려의 垂直文 天蓋帷幕 장식의 유행, 고려 다라니 석당의 출현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요와 고려는 오랜 역사 속에서 기원과 전통을 달리하였으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문화를 공유하게 되었고 복잡한 혼용의 과정을 통해 다양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 냈음을 탑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