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15
2. 연구의 목적 19
3. 연구의 문제 19
4. 연구의 내용 19
Ⅱ. 이론적 배경 21
1. 중국 대학 체육교육 현황 21
2. 중국 후난성 H대학교 체육교육 현황 28
3.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33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33
2) 사회적 지지의 구성 요인 36
3) 사회적 지지에 관한 선행연구 38
4) 사회적 지지 이론 42
4. 체육 가치관(sports values) 44
1) 체육 가치관의 개념 45
2) 체육 가치관의 구성 요인 48
3) 체육 가치관에 관한 선행연구 52
4) 지식·태도·실천(Knowledge-Attitude-Practice, KAP) 이론 60
5. 체육 단련 행위 (an act of physical training) 63
1) 체육 단련 행위 개념 64
2) 체육 단련 행위의 구성 요인 66
3) 체육 단련 행위에 관한 선행연구 69
4) 계획적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74
6. 각 변수 간의 관계 76
1) 사회적 지지와 체육 가치관 간의 관계 76
2) 체육 가치관과 체육 단련 행위 간의 관계 78
3)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 간의 관계 81
7. 체육 가치관의 매개효과 82
Ⅲ. 연구 방법 84
1. 연구모형과 연구 가설 84
1) 연구모형 구축 84
2) 연구 가설 84
2. 조사 대상과 범위 85
3. 연구 도구 86
1) 예비 조사 86
2) 본 조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87
3) 통계 도구 98
4. 자료 분석 방법 98
1) 문헌 연구법 98
2) 조사 연구법 99
3) 통계 분석법 99
5. 연구 절차 100
Ⅳ. 연구 결과 102
1. 기술통계 분석 102
2. 연구 변인들의 현황 분석 103
1) 사회적 지지 현황 분석 103
2) 체육 가치관 현황 분석 104
3) 체육 단련 행위 현황 분석 105
3. 연구 변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분석 109
1) 사회적 지지 109
2) 체육 가치관 112
3) 체육 단련 행위 116
4. 연구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120
1) 사회적 지지와 체육 가치관 상관분석 120
2)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 상관분석 122
3) 체육 가치관과 체육 단련 행위 간의 상관분석 124
5. 경로분석 126
1) 사회적 지지와 체육 가치관 사이의 경로분석 126
2)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의 경로분석 128
3) 체육 가치관과 체육 단련 행위의 경로분석 130
4) 체육 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 132
5) 연구 가설의 채택 여부 136
Ⅴ. 논의와 결론 137
1. 연구의 요약 137
2. 논의 138
3. 결론 143
4. 연구의 한계점 147
참고문헌 149
부록 171
Abstract 175
[그림 1] 계획적 행동 이론 모형 75
[그림 2] 연구모형도 84
[그림 3] 사회적 지지 설문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1
[그림 4] 체육 가치관 설문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5
[그림 5] 사회적 지지와 체육 가치관 재귀 모형 경로도 127
[그림 6]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 재귀 모형 경로도 129
[그림 7] 체육 가치관과 체육 단련 행위 재귀 모형 경로도 131
[그림 8] 매개변수 설명도 133
[그림 9] 매개효과 구조모형도 13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H대학교에서 교양 체육 수업받는 대학생들의 체육 단련 행위를 다루는 연구로써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체육 가치관, 체육단련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3가지 변수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과 사회적 지지 이론, 계획적 행동 이론, 지식-태도-실천 등 모형이론에 의해 상호 관계를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구성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H대학교 교양체육 수업받는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연구대상자로 하였고, 2023년 3월 6일부터 13일 사이에 체육수업이 있는 1, 2학년 조사 대상자들을 단순 무작위로, 3학년은 연구자가 이전에 가르쳤던 학생들에게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인 문권성(問卷星)을 통해 유효한 설문지 554부를 회수하여 설문지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추정방법으로 크론바흐 알파 통계량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연구모형의 직접 효과 및 매개 효과분석을 하였다. 중국 H대학교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체육 가치관, 체육단련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및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체육 가치관, 체육단련행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대학생들의 체육 가치관과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예측 작용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는 긍정적인 예측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체육 가치관과 체육 단련 행위 및 하위요인의 분석 결과를 통해 체육 가치관이 높을수록 체육 단련 행위가 높고 반대로 체육 가치관이 낮을수록 체육 단련 행위가 낮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먼저,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는 체육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 가치관은 체육 단련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체육 단련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체육 가치관은 매개로 사회적 지지와 체육 단련 행위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먼저,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하위요인이 체육 가치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체육 단련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체육 가치관이 체육 단련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는 체육 가치관을 매개로 체육 단련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의 발전에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공헌 하려면 반드시 건강한 신체, 체력과 기백을 갖추게 하여야 하며 그들의 신체 자질을 향상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공동으로 관심하여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현재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교육 분야에 관한 연구를 하지만 효과가 빠르지 못하며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 매우 미흡한 편이다. 특히 다양한 요인에 의해 대학생들의 체육 단련 행위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밝힌 영향 요인들은 향후 체육교육 학문영역은 물론 실천 영역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