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Ⅰ. 서론 14

1. 연구자의 내러티브: 삶의 과정에서 만나게 된 외상 14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3

3. 연구 문제 36

Ⅱ. 이론적 배경 37

1. 북한이탈주민 37

2. 외상 37

3. 외상 후 성장 38

4. 북한이탈여성과 외상 39

가. 북한이탈여성의 입국 현황 39

나.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하는 외상 사건 40

5. 외상 후 성장과 미술치료 42

6. 내러티브탐구의 개념과 정의 44

Ⅲ. 연구 방법 46

1.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필요성 46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47

가. 현장에 들어가기 :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 47

나. 현장에서 현장텍스트로: 이야기 장소에서 존재하기 50

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연구텍스트로 55

3. 연구의 엄격성 55

4. 연구 참가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56

Ⅳ. 미술치료를 통한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이야기 57

1. 〈북한에서의 삶〉의 이야기 60

2. 〈중국에서의 삶〉의 이야기 75

3. 〈남한에서의 삶〉의 이야기 94

Ⅴ.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추후 에피소드 143

Ⅵ. 연구결과 150

Ⅶ. 결론 및 제언 168

1. 요약 168

2. 제언 174

Ⅷ. 내러티브 탐구를 마치며 176

참고문헌 177

Abstract 181

부록 184

표목차

〈표 1〉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40

〈표 2〉 연구참가자 정보 48

〈표 3〉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52

그림목차

연구자 꿈 그림 1. 쓰나미 꿈 시리즈- 두 아이의 손을 잡고 2018 18

연구자 꿈 그림 2. 쓰나미 꿈 시리즈- 황금 잠수함 2018 18

연구자 꿈 그림 3. 쓰나미 꿈 시리즈- 요새 2018 19

연구자 꿈 그림 4. 쓰나미 꿈 시리즈- 좌초된 아빠를 가는 다리로 2018 19

연구자 그림 1. 양수 속에서 미끄러짐- 독일 미술치료 연수 작품 2019 20

연구자 그림 2. 엄마의 자궁에서 다시 평안을 찾는 연구자- 독일 미술치료 연수 작품 2019 20

연구자 사진 1. 연구자가 두 달 전 학생들에게 지도했던 지오데식 돔 2019 21

연구자 사진 2. 선생님의 작업실에서 통일전망대에 오를 조형물 설치를 돕던 연구자 2019 22

연구자 꿈 그림 5. 땅 위의 얼음이 녹고 어미새와 아기새가 땅 밖으로 나오다 2019 23

연구자 꿈 그림 6. 천 신발과 에나멜 운동화 2021 26

연구자 그림 3. 내 배에 실은 타인이 준 상처 2021 27

연구자 그림 4. 썩은 쌀가마니(감정 쓰레기) 2021 28

연구자 그림 5. 나의 빛나는 존재가치의 마음을 썩게 만드는 남이 준 상처 바다에 방출하기 2021 28

연구자 그림 6. 주 양육자 입장으로 뿌리가 연결되어있는 자녀 나무 바라보기 2021 30

연구자 그림 7. 나의 삶의 의미 2021 31

연구자 그림 8. 새로움이 시작되는 길 I 2021 32

공기 그림 1. 애칭-공기 60

소망 그림 1. 애칭-소망 60

주말 그림 1. 애칭-주말 60

공기 그림 2. 나 혼자 개울가에서 63

공기 그림 2-1. 별과 엄마 63

소망 그림 2. 당당한 나의 쌍둥이 오빠 63

주말 그림 2. 엄마의 빈자리 63

공기 그림 3. 거북이 식당 주방장의 기술 67

주말 그림 3. 중학교 운동장에서 공개처형 67

소망 그림 3. 교탁, 선생님의 도시락 위치 67

소망 그림 3-1. 돌멩이로 채워버린 도시락 67

공기 그림 4. 값없이 죽는 슬픔 72

소망 그림 4. 하늘이 무너지는 막힘 72

주말 그림 4. 사랑하는 할머니의 죽음 72

공기 그림 5. 내 마음도! 여기도! 온천지가 까맣구나! 78

공기 그림 6. 중국의 삶 중 대표적 감정 3가지 가면으로 표현하기 78

소망 그림 5. 엄마는 너가 태어남으로 살아갈 희망이 생겼어! 80

소망 그림 6. 중국의 삶 중 대표적 감정 3가지 가면으로 표현하기 81

주말 그림 5. 세상은 정상으로 돌아가는데 나에겐 막혀있구나! 83

주말 그림 6. 중국의 삶 중 대표적 감정 3가지 가면으로 표현하기 83

공기 그림 7.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지마 87

소망 그림 7. 어디가 나무 정상일까?, 애벌레 87

주말 그림 7. 이리 차이고 저리 차이던 공 87

공기 그림 8.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았다 91

공기 그림 9. 엄마는 괜찮아~너희들만 다치지 않는다면 96

소망 그림 8. 남한에서 인정되지 않는 북한의 자격증 98

주말 그림 8. 나의 수용 그릇에 맞게 101

공기 그림 10. 밥상에서 술, 싫다! 하나님! 제 기도를 들어주세요! 103

소망 그림 9. 아들과 다시 회복하고 싶다! 105

주말 그림 9. 엄마가 만든 가족 울타리 107

주말 그림 9-1. 엄마가 만든 가족 울타리 밖에 서 보다 108

공기 그림 11. 나의 강점과 자원 찾기 113

소망 그림 10. 나의 강점과 자원 찾기 113

주말 그림 10. 나의 강점과 자원 찾기 113

공기 그림 12. 나를 보호해 주는 건 가족인데... 117

소망 그림 11. 자연의 생명력으로 117

주말 그림 11. 교회와 가정 117

공기 그림 13. 타인이 준 썩은 쌀가마니 (감정 쓰레기) 바다 위에 흘려보내기 120

공기 그림 14. 이제 나의 빛나는 쌀가마니만 배에 싣고 인생을 항해하자! 120

소망 그림 12. 타인이 준 썩은 쌀가마니 바다 위에 흘려보내기 122

소망 그림 13. 이제 나의 빛나는 쌀가마니만 배에 싣고 인생을 항해하자! 122

주말 그림 12. 타인이 준 썩은 쌀가마니 (감정 쓰레기) 바다 위에 흘려보내기 124

주말 그림 13. 이제 나의 빛나는 쌀가마니만 배에 싣고 인생을 항해하자! 124

공기 그림 15. 되고 싶은 나의 모습- 우리 가족과 나 126

공기 그림 16. 나의 나무 가꾸기 126

공기 사진 1. 3개월 후 작품 다시 바라보기 128

소망 사진 1. 3개월 후 작품 다시 바라보기 128

주말 사진 1. 3개월 후 작품 다시 바라보기 128

소망 그림 14. 되고 싶은 나의 모습과 나의 나무 가꾸기 130

주말 그림 14. 되고 싶은 나의 모습과 나의 나무 가꾸기 133

공기 그림 17. 어둠을 이길 나의 등 밝히기 -빛은 어둠을 내몬다. 135

소망 그림 15. 어둠을 이길 나의 등 밝히기 -빛은 어둠을 내몬다. 137

소망 그림 16. 쌍둥이 오빠 139

주말 그림 15. 어둠을 이길 나의 등 밝히기 -빛은 어둠을 내몬다. 141

주말 사진 2. 카톡 프로필 148

연구자 그림 9. 나의 길 II 2022 176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은 외상 후 성장을 통해 어떤 삶의 의미를 발견하였으며 미술치료는 그녀들의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도움을 주었는지를 살펴 남한에서의 삶을 북한이탈여성들이 안정적으로 영위하며 살아가도록 함에 있어 치료적 영향과 외상 이후의 삶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들이 북한을 이탈하면서 경험된 외상 경험에 주목하면서 개인에 대한 이해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가족적, 언어적, 제도적 탐구도 가능하게 하는 삶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하여 북한이탈여성들에 대한 이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추후 미술치료를 통한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의 임상적 의의를 찾는데 주력하였다.

연구참가자 선정은 연구자가 미술치료 상담을 의뢰받았던 내담 아동들의 어머니 중 연구자와 신뢰가 쌓이고 꾸준한 만남을 유지하고 있는 분들로 선정하여 북한이탈여성 3명을 최종 연구참가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차로 미술치료가 진행된 2022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 동안이었으며, 2차 자료수집 기간은 미술치료를 마치고 나서 3개월 뒤 2022년 9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15회기의 외상 후 성장 관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개인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이 과정을 모두 녹취한 전사본, 미술작품, 글쓰기, 관찰일지, 사진, 질문지, 인터뷰 등의 자료수집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미술치료를 통해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북한에서의 삶에서는 [그대와 나와], [어미새가 품지 않은 알], [윗동네 새둥지 문화에서 자란 알], [충격과 진동으로 금이 간 알] 중국에서의 삶에서는 [존재감이 상실된 알], [존재감을 찾고 싶은 알], 마지막으로 남한에서의 삶에서는 [몸에 맞지 않는 아랫동네 새둥지], [아랫동네 새둥지에서의 고통], [이제는 나의 둥지], [자신을 사랑하는 알], [알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알의 부화를 맞이하는 노래], [알에서 깨어나기]다.

미술치료가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여성들은 북한을 이탈하는 과정에서 신변에 대한 위협으로 자기 노출은 어려운 부분이었으나 미술치료는 언어의 형태가 아닌 이미지의 표현인 감각적 접근으로 외상의 이미지가 저장되는 변연계를 재정리 시킬 수 있는 그들의 감정선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하여 거부감 없이 안정적으로 부정적인 감정과 문제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북한에서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매체들로 작품을 표현하여 고통을 완화 시키는 동시에 심리적 안정성을 갖고 외상에 대한 원인과 의미, 자신의 삶에 미친 영향 등으로 사건의 맥락을 되짚어보려는 고차적인 반추 과정으로 나아갈 수 있게 도움을 주며 자아 성장을 촉진 시켰다.

셋째, 북한이탈여성들이 표현하기 어려운 외상과 그에 대한 감정을 이미지를 통해 통찰을 얻을 수 있었으며, 내면의 존재를 확인한 후 그것을 들여다보는 것과 두려움을 주었던 충동이나 생각 및 회상을 과거의 작품과 그 과정을 멀리서 반영해보고 살펴봄으로써 자아의 힘이 강해지고 내면을 돌아볼 수 있게 되었다.

넷째, 미술치료사를 통해 받는 심리적 지지 환경에 차분히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작품 표출을 더 과감히 드러내고 그로 인한 생산적인 반추를 통해 충동이나 생각 및 회상을 통찰하며 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미술치료 중기, 후기로 가면서 자신의 변화된 모습을 작품을 통하여 눈으로 확인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변화되고 성장 한 모습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미술작품을 통하여 통찰하는 힘이 강화되어 과거, 현재, 미래를 재구성, 재통합하여 외상에 대한 의미를 전환하는 관점은 성숙하고 지혜로운 삶과 안정된 삶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모습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