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4

1. 연구범위와 연구목적 14

2. 〈시스틴 채플〉 (1993)에 관한 예술학적 연구방법론 18

Ⅱ. 백남준과 미디어 아트 23

1. 현대미술에서의 미디어 아트 23

2. TV에서 미디어 아트로의 전환 28

3. 미디어 아트와 미술전시 37

Ⅲ.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 (1993) 44

1. 〈시스틴 채플〉 (1993)과 예술학적 담론 44

1) 미술사와 〈시스틴 채플〉 44

2) 대중문화와 〈시스틴 채플〉 46

3) 미디어 아트와 〈시스틴 채플〉 51

2. 〈시스틴 채플〉 (1993)과 미술전시 60

1) 《일렉트로닉 슈퍼 하이웨이-베니스에서 울란바토르까지(Electronic Super Highway-from Venice to Ulan Bator)》 (1993,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60

2) 《백남준(NAM JUNE PAIK)》 (2019, 테이트 모던) 75

3) 《백남준(NAM JUNE PAIK》 (2021,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81

3. 백남준의 미디어 아트와 미술전시 87

1) 《21세기 천지창조 시스틴 채플》 (2022, 울산시립미술관) 87

2) 《바로크 백남준》 (2022, 백남준아트센터) 90

3) 《요나스 메카스+백남준: 나의 친애하는 친구들에게》 (2022, 광주시립미술관) 96

Ⅳ. 결론 101

1.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 (1993)과 미술전시 101

2. 미디어 아트 전시의 전망과 전시비평 103

참고문헌 105

Abstract 114

그림목차

[그림 1] 카메라와 레코더 구성의 SONY 포타팩(DV-2400). 24

[그림 2] SONY 포타팩 광고, 1967. 24

[그림 3]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 포스터,1963. 31

[그림 4] 〈텔레비전 방에 있는 토마스 슈미트〉,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 1963, 파르나스 갤러리, 부퍼탈, 사진: 만프레드 몬트베. 31

[그림 5] 〈참여TV〉작동 스틸컷. 33

[그림 6] 백남준, 〈참여TV〉, 1963(1998), 회로 조작 CRT TV수상기 1대, 신호 발생기 1대, 온도 조절기 1대, 앰프 2... 33

[그림 7] 백남준, 〈전자 오페라 1번(Electrinic Opera No.1)〉, '매체는 매체다(Medium is... 36

[그림 8]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 《창조적 매체로서의 TV(TV as a Creative Medium)》 리플렛, 1969. 41

[그림 9] 백남준, 샬롯 무어만, 〈살아있는 조각을 위한 TV브라〉, 《창조적 매체로서의 TV》, 1969, 하워드 와이즈 갤러리, 뉴... 41

[그림 10] 시스틴 채플이 1481년 봉헌될 때의 판화. 45

[그림 11] 시스틴 채플의 내부 전경. 45

[그림 12]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를 패러디 한 장난감 회사 LEGO의 광고. 47

[그림 13] 미켈란젤로, 〈아담의 창조〉 세부, 1508~1512, 프레스코, 280×570cm, 시스틴 채플, 바티칸, 로마. 47

[그림 14] 스티븐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E.T〉 포스터, 1984. 47

[그림 15]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를 패러디 한 질병관리본부의 공익광고. 48

[그림 16] 미켈란젤로, 〈아담의 창조〉, 1508~1512, 프레스코, 280×570cm, 시스틴 채플, 바티칸, 로마. 48

[그림 17] 마우리치오 카텔란,〈무제〉, 2018, 나무에 아크릴릭, 376×333×830cm, 《WE》, 2023, 리움미술관, 서울. 50

[그림 18] 리움미술관의 마우리치오 카텔란《WE》 홍보 영상에서 공개된 〈무제〉 (2018) 설치 전경. 50

[그림 19] 백남준, 〈물고기 하늘을 날다 (Fish Flies on Sky)〉, 비디오 설치, 1975, 뉴욕, 사진: 피터 무어(Peter Moore). 53

[그림 20] 백남준, 〈물고기 하늘을 날다(Fish Flies on Sky)〉의 1982년 휘트니 미술관 《백남준(Nam June Paik)》 전시 전경. 53

[그림 21] 백남준, 〈필름을 위한 선(Zen for Film)〉, 1965, 《뉴 시네마 페스티벌ⅠNew Cinema Festival I》, 필름메이커스 시네마테크, 뉴욕, 사... 54

[그림 22] 백남준, 〈상상해보라 하늘에는 지구상의 중국인들보다 더 많은 별들이 있다〉, 1981, 8~9대의 컬러텔레비전, 8~9대의 프로젝션 케이스, 《대부분... 54

[그림 23] 백남준, 〈보이스 프로젝션(BeuysProjection)〉, 1990, 싱글채널비디오, 빔... 55

[그림 24] 백남준, 〈쾰른 대성당 비디오조각〉, 1985. 56

[그림 25] 백남준, 〈나의파우스트-예술(My Faust-Art)〉, 1989~1991, 혼합매체, 모니터 25개, LDP3대,... 56

[그림 26] 백남준, 〈시스틴 채플〉, 1993, 4채널 비디오,빔 프로젝터 42대, 컬러, 사운드, 가변크기, 제45회 베니... 58

[그림 27]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도면, 1993 64

[그림 28] 한스 하케, 〈게르마니아〉 전시 전경, 1993, 사진: 이용우. 65

[그림 29]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입구, 1993. 65

[그림 30] '정보 고속도로(The Info Highway)', 『TIME』, 1993.04.12. 66

[그림 31] 백남준, 〈빌 클린턴이 내 아이디어를 훔쳤다(Bill Clinton stole my Idea)〉. 66

[그림 32] 백남준, 〈일렉트로닉 슈퍼하이웨이(Electronic Superhighway)〉, 1993. 67

[그림 33] 백남준, 〈일렉트로닉 슈퍼 하이웨이: 미국대륙, 알래스카, 하와이(Electronic Superhighway: Continental U.S., Alaska, Hawaii)〉, 1995, 51채널 비디오 설... 67

[그림 34] 백남준, 〈마르코폴로(Marco Polo)〉 설치 전경, 1993. 68

[그림 35] 백남준, 〈단군, 스키타이의 왕(Thangun as a Scythian King)〉, 1993. 68

[그림 36] 백남준, 〈시스틴 채플〉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설치 전경, 1993. 70

[그림 37] 백남준, 〈시스틴 채플〉 설치 리허설 전경, 1993, 홀리 솔로몬 갤러리(Holly Solomon Gallery), 뉴욕. 70

[그림 38] 백남준, 〈시스틴 채플〉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설치 전경, 1993, 사진: 이정성. 71

[그림 39] 백남준, 〈하이테크 곤돌라〉, 1993, U-Matic, 컬러, 스테레오, 11분 19초. 72

[그림 40] 샬롯 무어만과 백남준, 〈곤돌라 해프닝〉,1966. 72

[그림 41] 《백남준(NAM JUNE PAIK)》 테이트 모던 전시 입구 전경, 2019. 76

[그림 42] 백남준, 〈TV정원〉, 1974~1977(2002), 식물, CRT TV수상기, 비디오, 컬러, 사운드, 가변크기,... 78

[그림 43] 백남준, 〈시스틴 채플〉, 1993, 비디오 프로젝터, 금속, 목재, 맞춤형 비디오 스위처 및 4채널 비디오, 컬러, 사... 79

[그림 44] 《백남준(NAM JUNE PAIK)》 테이트 모던 전시 중 〈시스틴 채플〉 설치 전경, 2019. 80

[그림 45] 《백남준(NAM JUNE PAIK)》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섹션 구성, 리플렛, 2021. 82

[그림 46] 프리드리히 로젠슈티엘(Friedrich Rosenstiel), 〈TV의자에 앉아 있는 백남준〉, 1976. 83

[그림 47] 백남준, 〈시스틴 채플〉, 1993(2019), 비디오 프로젝터, 금속, 목재, 맞춤형 비디오 스위처 및 4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 84

[그림 48] 백남준, 〈촛불 하나(촛불 프로젝션)〉, 1989, 폐쇄회로 카메라, 삼각대, 맞춤형 스탠드와 초, 개조된 CRT... 86

[그림 49] 백남준, 〈시스틴 채플〉, 1993, 비디오 설치, 4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가변크기, 《21세기 천지창조 시스틴... 88

[그림 50] 독일 뮌스터 딕부르크 교회(Dyckburg-Kirche). 92

[그림 51] 《바로크 레이저》 전시 전경, 1995. 93

[그림 52] 《바로크 레이저》 에서 담배를이용한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백남준, 1995. 93

[그림 53] 이정성, 최장원, 홍민기, 강신대, 윤제호, 〈《바로크 레이저》에 대한 경의〉, 2022, 초 1개, 카메라 1대,... 94

[그림 54] 〈시스틴 채플〉 설치 전경, 《바로크 백남준》, 2022,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95

[그림 55] 〈요나스 메카스 + 백남준〉, 《요나스 메카스+백남준: 나의 친애하는 친구들에게》, 2022,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98

[그림 56] 백남준, 〈시스틴 채플〉, 1993, 비디오 설치, 4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가변크기, 울산시립미술관 소장, 《요나... 99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백남준(1932~2006)의 미디어 아트에서 〈시스틴 채플〉(1993)을 예술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시스틴 채플〉은 백남준이 1993년 진행된《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예술의 방위(La Biennale di Venezia XLV Esposizione Internazionale d'Arte: Punti cardinali dell'arte)》의 독일관 대표 작가로 참여하여 선보인 작품이자, 국가관 황금사자상 수상의 주역이 된 장소 특정적 비디오 프로젝션 설치 작품이다. 백남준은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커미셔너이자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클라우스 부스만(Klaus Bußmann, 1941~2019)에 의해 한스 하케(Hans Haacke, 1936~)와 함께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대표 작가로 초청된다. 그리고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주제로 제시된 '문화적 유목주의(Cultural Nomadism)', '다문화주의' 그리고 '초국가주의(Transnationalism)'에 맞추어《일렉트로닉 슈퍼 하이웨이-베니스에서 울란바토르까지(Electronic Superhighway-from Venice to Ulan Bator)》를 기획한다. 전시의 중심 모티브는 탐험가 마르코 폴로의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몽골 울란바토르까지의 여행으로 이는 유럽과 아시아, 동서의 연결을 뜻한다. 즉, 지금으로부터 약 30년 전 백남준은 글로벌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변형을 그렸다.

이에 연구의 본문에서는 현대 초연결시대의 확장현실(Metaverse)과 디지털 몰입을 선도적으로 예견한 백남준의 예술 방법론을 아날로그 몰입의 대표작 〈시스틴 채플〉을 통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아우라' 개념을 중심으로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이 전시된 총 6건의 국내외 백남준 회고전을 고찰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벤야민의 주장과 같이 기술복제시대가 도래하며 예술작품의 접근 가능성이 민주화되어 발생한 작품의 이동으로 인해 제의가치가 하락하고 전시가치가 상승하여 아우라의 상실이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본다. 이로써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의 전시 사례를 통해 백남준의 관점에서 바라본 아우라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벤야민에 의해 제시된 아우라 개념을 작품으로 시각화한 백남준의 예술 실천을 통하여 철학의 미술로의 이행 과정을 살펴보고, 백남준 사후에 작품의 재현 과정을 통해 아우라 생성의 주체가 작가에서 큐레이터의 영역으로 이행된 과정도 함께 확인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아우라를 중심으로 생을 이어나가는 작품의 속성을 고찰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 전시의 전망을 연구하며 전시비평을 진행한다. 연구는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이 미디어 아트 전시 문맥 속에서 가지는 위치와 의의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미디어 아트 전시의 전망을 예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