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14

1.1. 연구 목적 14

1.2. 선행 연구 16

1.3. 논문 구성 23

2. 연구 방법 25

2.1. 통사 층위 분석 방법론 25

2.2. 통사 분석을 통한 정보 추출 31

2.3. 분석 대상 텍스트 35

3. 텍스트 통사 층위 분석 38

3.1. 김영하, "당신의 나무" 38

3.1.1. 구성 단계별 분석 39

3.1.2. 전체 흐름 분석 50

3.2. 김영하 - "오빠가 돌아왔다" 55

3.2.1. 구성 단계별 분석 56

3.2.2. 전체 흐름 분석 67

3.3. 은희경 - "아내의 상자" 72

3.3.1. 구성 단계별 분석 73

3.3.2. 전체 흐름 분석 85

3.4. 은희경 -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90

3.4.1. 구성 단계별 분석 91

3.4.2. 전체 흐름 분석 103

3.5. 한강 -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 108

3.5.1. 구성 단계별 분석 110

3.5.2. 전체 흐름 분석 121

3.6. 한강 - "작별" 126

3.6.1. 구성 단계별 분석 127

3.6.2. 전체 흐름 분석 138

3.7. 전체 작품 비교 143

4. 결론 156

참고문헌 161

ABSTRACT 164

〈표 1〉 해석문법 문장성분과 그 표지 26

〈표 2〉 해석문법 체언 성분의 정보 표시 내용 26

〈표 3〉 해석문법 서술어의 정보 표시 내용 27

〈표 4〉 예문 상세정보 추가 예 29

〈표 5〉 연구 범위 30

〈표 6〉 통사적 다양성과 복잡성 측정 기제 (명제 차원) 31

〈표 7〉 분석 대상 텍스트 수상 기록 36

〈표 8〉 "당신의 나무"의 양적 정보 38

〈표 9〉 "당신의 나무"의 구성 단계별 주요 사건 38

〈표 10〉 "당신의 나무"의 발단, 거시문형 다양성 39

〈표 11〉 "당신의 나무"의 발단, 미시문형 다양성 40

〈표 12〉 "당신의 나무"의 전개, 거시문형 다양성 41

〈표 13〉 "당신의 나무"의 전개, 미시문형 다양성 42

〈표 14〉 "당신의 나무"의 위기, 거시문형 다양성 43

〈표 15〉 "당신의 나무"의 위기, 미시문형 다양성 44

〈표 16〉 "당신의 나무"의 절정, 거시문형 다양성 46

〈표 17〉 "당신의 나무"의 절정, 미시문형 다양성 46

〈표 18〉 "당신의 나무"의 결말, 거시문형 다양성 48

〈표 19〉 "당신의 나무"의 결말, 미시문형 다양성 49

〈표 20〉 "당신의 나무"의 단계별 복잡성 분포 51

〈표 21〉 "당신의 나무"의 단계별 내포화 분포 52

〈표 22〉 "당신의 나무"의 단계별 내포문 유형 분포 53

〈표 23〉 "당신의 나무"의 단계별 거시문형 분포 53

〈표 24〉 "당신의 나무"의 단계별 미시문형 분포 54

〈표 25〉 "오빠가 돌아왔다"의 양적 정보 55

〈표 26〉 "오빠가 돌아왔다"의 구성단계별 주요 사건 55

〈표 27〉 "오빠가 돌아왔다"의 발단, 거시문형 다양성 56

〈표 28〉 "오빠가 돌아왔다"의 발단, 미시문형 다양성 56

〈표 29〉 "오빠가 돌아왔다"의 전개, 거시문형 다양성 58

〈표 30〉 "오빠가 돌아왔다"의 전개, 미시문형 다양성 59

〈표 31〉 "오빠가 돌아왔다"의 위기, 거시문형 다양성 60

〈표 32〉 "오빠가 돌아왔다"의 위기, 미시문형 다양성 61

〈표 33〉 "오빠가 돌아왔다"의 절정, 거시문형 다양성 63

〈표 34〉 "오빠가 돌아왔다"의 절정, 미시문형 다양성 63

〈표 35〉 "오빠가 돌아왔다"의 결말, 거시문형 다양성 65

〈표 36〉 "오빠가 돌아왔다"의 결말, 미시문형 다양성 66

〈표 37〉 "오빠가 돌아왔다"의 단계별 복잡성 분포 68

〈표 38〉 "오빠가 돌아왔다"의 단계별 내포화 분포 69

〈표 39〉 "오빠가 돌아왔다"의 단계별 내포문 유형 분포 70

〈표 40〉 "오빠가 돌아왔다"의 단계별 거시문형 분포 70

〈표 41〉 "오빠가 돌아왔다"의 단계별 미시문형 분포 71

〈표 42〉 "아내의 상자"의 양적 정보 72

〈표 43〉 "아내의 상자"의 구성단계별 주요 사건 72

〈표 44〉 "아내의 상자"의 발단, 거시문형 다양성 73

〈표 45〉 "아내의 상자"의 발단, 미시문형 다양성 74

〈표 46〉 "아내의 상자"의 전개, 거시문형 다양성 75

〈표 47〉 "아내의 상자"의 전개, 미시문형 다양성 76

〈표 48〉 "아내의 상자"의 위기, 거시문형 다양성 78

〈표 49〉 "아내의 상자"의 위기, 미시문형 다양성 79

〈표 50〉 "아내의 상자"의 절정, 거시문형 다양성 80

〈표 51〉 "아내의 상자"의 절정, 미시문형 다양성 81

〈표 52〉 "아내의 상자"의 결말, 거시문형 다양성 82

〈표 53〉 "아내의 상자"의 결말, 미시문형 다양성 83

〈표 54〉 "아내의 상자"의 단계별 복잡성 분포 86

〈표 55〉 "아내의 상자"의 단계별 내포화 분포 86

〈표 56〉 "아내의 상자"의 단계별 내포문 유형 분포 88

〈표 57〉 "아내의 상자"의 단계별 거시문형 분포 88

〈표 58〉 "아내의 상자"의 단계별 미시문형 분포 89

〈표 59〉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양적 정보 90

〈표 60〉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구성단계별 주요 사건 91

〈표 61〉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발단, 거시문형 다양성 91

〈표 62〉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발단, 미시문형 다양성 92

〈표 63〉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전개, 거시문형 다양성 93

〈표 64〉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전개, 미시문형 다양성 94

〈표 65〉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위기, 거시문형 다양성 96

〈표 66〉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위기, 미시문형 다양성 97

〈표 67〉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절정, 거시문형 다양성 98

〈표 68〉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절정, 미시문형 다양성 99

〈표 69〉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결말, 거시문형 다양성 101

〈표 70〉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결말, 미시문형 다양성 102

〈표 71〉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단계별 복잡성 분포 104

〈표 72〉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단계별 내포화 분포 105

〈표 73〉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단계별 내포문 유형 분포 107

〈표 74〉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단계별 거시문형 분포 107

〈표 75〉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의 단계별 미시문형 분포 107

〈표 76〉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양적 정보 108

〈표 77〉 "논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구성단계별 주요 사건 109

〈표 78〉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발단, 거시문형 다양성 110

〈표 79〉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발단, 미시문형 다양성 111

〈표 80〉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전개, 거시문형 다양성 112

〈표 81〉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전개, 미시문형 다양성 113

〈표 82〉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위기, 거시문형 다양성 114

〈표 83〉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위기, 미시문형 다양성 115

〈표 84〉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절정, 거시문형 다양성 117

〈표 85〉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절정, 미시문형 다양성 117

〈표 86〉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결말, 거시문형 다양성 119

〈표 87〉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결말, 미시문형 다양성 120

〈표 88〉 "논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단계별 복잡성 분포 122

〈표 89〉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단계별 내포화 분포 123

〈표 90〉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단계별 내포문 유형 분포 124

〈표 91〉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단계별 거시문형 분포 124

〈표 92〉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의 단계별 미시문형 분포 125

〈표 93〉 "작별"의 양적 정보 126

〈표 94〉 "작별"의 구성단계별 주요 사건 127

〈표 95〉 "작별"의 발단, 거시문형 다양성 127

〈표 96〉 "작별"의 발단, 미시문형 다양성 128

〈표 97〉 "작별"의 전개, 거시문형 다양성 129

〈표 98〉 "작별"의 전개, 미시문형 다양성 130

〈표 99〉 "작별"의 위기, 거시문형 다양성 132

〈표 100〉 "작별"의 위기, 미시문형 다양성 132

〈표 101〉 "작별"의 절정, 거시문형 다양성 134

〈표 102〉 "작별"의 절정, 미시문형 다양성 135

〈표 103〉 "작별"의 결말, 거시문형 다양성 136

〈표 104〉 "작별"의 결말, 미시문형 다양성 137

〈표 105〉 "작별"의 단계별 복잡성 분포 139

〈표 106〉 "작별"의 단계별 내포화 분포 140

〈표 107〉 "작별"의 단계별 내포문 유형 분포 141

〈표 108〉 "작별"의 단계별 거시문형 분포 141

〈표 109〉 "작별"의 단계별 미시문형 분포 142

〈표 110〉 김영하 작가 단편 소설 문장 유형 분포 144

〈표 111〉 은희경 작가 단편 소설 문장 유형 분포 147

〈표 112〉 한강 작가 단편 소설 문장 유형 분포 151

〈그림 1〉 언어학적 문체론 연구 단계 20

〈그림 2〉 "당신의 나무" 단계별 복잡성 흐름 51

〈그림 3〉 "오빠가 돌아왔다" 단계별 복잡성 흐름 67

〈그림 4〉 "아내의 상자" 단계별 복잡성 흐름 85

〈그림 5〉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단계별 복잡성 흐름 104

〈그림 6〉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 단계별 복잡성 흐름 122

〈그림 7〉 "작별" 단계별 복잡성 흐름 139

〈그림 8〉 김영하 작가의 단편 소설 복잡성 흐름 144

〈그림 9〉 은희경 작가의 단편 소설 복잡성 흐름 147

〈그림 10〉 한강 작가의 단편 소설 복잡성 흐름 150

초록보기

 This research seeks to propose and demonstrate a research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literary style of a given text, author, genre, etc. from a syntactic viewpoint. Using analytic grammar, specifically syntactic analysis according to analytic grammar,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for analyzing text according to first its narrative structure, then its syntactic structure, and then conducting secondary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 and the literary style of the given piece. Six short stories by three different authors were analyzed in this research as sample tex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structure and both sentence complexity and diversity was found. Specifically, the sentence complexity was foun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plot, while sentence diversity could be attributed to specific preferences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