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第一章 绪论 8
第一节 研究目的 8
第二节 研究对象及方法 9
1. 研究对象 9
2. 研究方法 11
第三节 文献综述 12
1. 中国现行研究 12
2. 国外研究综述 14
第二章 中国玄幻剧和身份认同转化 16
第一节 玄幻类型剧的概念及特征 16
1. 玄幻的概念 16
2. 玄幻剧的定义及特征 16
第二节 玄幻剧中重要角色的传统特征 19
1. 玄幻剧中的中国传统元素 19
2. 玄幻剧中人物原型 23
第三节 身份认同转化理论的概念和类型 27
1. 身份认同转化理论概念 27
2. 玄幻剧多重人物身份的叙事特征 31
第三章 电视剧 《择天记》 叙事研究 35
第一节 电视剧 《择天记》 内容及主要人物 35
1. 电视剧 《择天记》 内容介绍 35
2. 电视剧 《择天记》 主要人物介绍 37
第二节 电视剧 《择天记》 人物身份认同转化类型 39
1. 电视剧 《择天记》 中男主角的身份超越 40
2. 电视剧 《择天记》 中女主角的身份超越 48
第三节 电视剧 《择天记》 人物传统文化价值观 56
1. 电视剧 《择天记》 中男主角的生命观 56
2. 电视剧 《择天记》 中女性角色的爱情观 59
第四章 电视剧 《择天记》 局限性分析 62
第一节 二元对立的叙事结构 62
第二节 中国传统的文化的运用不当 66
第三节 主要角色的同质化 73
第五章 结论 78
参考文献 81
국문 개요 86
[图1] 电视剧 《仙剑奇侠传3》 人物 紫萱 20
[图2] 电视剧 《苍兰诀》 水云天场景 外景 (左) 内景 (右) 33
[图3] 电视剧 《苍兰诀》 苍盐海场景 外景 (左) 内景 (右) 33
[图4] 电视剧 《择天记》 男主角-陈长生 38
[图5] 电视剧 《择天记》 女主角-徐有容 38
[图6] 陈长生第一次点亮命星时状态 44
[图7] 陈长生改命后命星状态 45
[图8] 陈长生登场画面 46
[图9] 陈长生成为国教学院院长画面 47
[图10] 徐有容陈长生信物 52
[图11] 徐有容修炼场所圣女峰 53
[图12] 徐有容圣女造型 54
[图13] 徐有容结局与陈长生隐居造型 54
[图14] 成年后徐有容第一次登场 55
[图15] 电视剧 《择天记》 徐有容凤凰真身特效 70
[图16] 电视剧 《择天记》 百剑齐发特效 71
[图17] 电视剧 《择天记》 陈长生御剑特效 71
현환극은 인터넷 환경 속에서 점차 성장한 드라마 유형으로, 인터넷 현환 소설과 인터넷 게임을 각색한 드라마이며, 주로 인터넷 플래폼에 기반 하여 방송과 홍보가 이루어진다. 현환극은 환상을 기반으로 하여 '현(玄)'자를 강조한다. 그 창작 소재는 대부분 중국의 신화와 우화, 현괴지이(玄怪志异) 소설 등에서 비롯되며, 인물은 초자연적인 능력과 특수한 신분 배경을 지닌다. 주로 인간과 신의 사랑, 전생, 성장 등을 주제로 다룬 드라마 유형이다. 오늘날 영상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환극은 더욱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형식으로 TV 화면에 등장하여 중국에서 새롭게 떠오른 영상작품 유형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총 5대 장절로 나누어진다. 제1장은 서론부분이다. 주로 주제선정 목적 및 연구개요, 연구방법 및 대상에 관해 설명한다. 현환극은 서사의 시공간이 가상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줄거리와 주요 인물 역시 잠재적인 공통점을 지닌다. 현환극은 형식적인 면에서 무협정신, 신괴문화를 융합하고, 내용 면에서 무협, 판타지, 선협(仙侠), 수진(修真) 등 요소를 종합적으로 담아낸 상상력 넘치는 영상극 유형이다. 그러므로 현환극에 등장하는 인물은 대부분 다중적 정체성이나 복잡한 스토리 배경을 지닌다. 인물은 끊임없는 정체성 변화를 통해 스토리 전개를 촉진한다. 이와 관련하여 임대근 교수는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관점을 제시했다. "인류가 창조하고 향유해 온 수많은 서사체에 '트랜스 아이덴티티' 캐릭터, 즉 정체성 전환 인물 형상이 존재하며, 바로 그 인물 형상에 의해 이야기가 구성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정체성 전환 인물 형상은 인류가 불멸의 고전으로 손꼽는 명작은 물론 동시대 대중 서사에 이르기까지 편재한다." 현환극에서 인물의 정체성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변화하는 극중 인물은 이러한 정체성 전환을 통해 현환극의 특정한 서사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본고는 서사 관점에서 인물 이미지의 형상화 과정을 분석하고, 서시기법이 인물 성격의 형성과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관점에서 현환극 중 다원화된 인물 이미지가 어떻게 특정한 문화적 가치관과 사회관을 전달하는지를 연구한다. 다양한 인물 설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환 드라마의 인물 설정 및 문화적 의미 간 상호관계, 그리고 서사와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을 어떻게 활용하여 향후 드라마 창작에서 대중적 선호도를 갖춘 캐릭터를 형상화하고 유익한 사고의 기회를 제공할지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현환을 주제로 다룬 영화 및 드라마가 영상제작에서 유행하면서 광범위하게 주목 받는 문화적 흐름이 되었다. 중국 전통 사극, 무협극의 침체와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의 영향을 받아 신화, 사극 무협과 지괴 등의 요소를 융합한 현묘(玄妙)한 소재가 중국 영상극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들 작품은 스토리 배경이 상고시대 신화 및 신마소설의 영향을 받거나 오리지널 스토리를 직접 구성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기발한 발상, 우여곡절이 많은 플롯과 풍부한 주제를 통해 중국 드라마의 판타지 소재에 대한 사고를 돋보이게 한다. 가치관과 사회적 수요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오늘날 이처럼 강렬한 판타지적 색채, 가공의 상상은 미지의 시공간적 체험을 선사하는 독특한 스타일로 수많은 장르극 가운데 두각을 드러내며 대단한 파급력을 지닌 영상 장르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현환극은 대부분 인터넷 게임과 인터넷 문학을 각색한 작품이다. 우선 인터넷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중국의 인터넷 게임 사용자 수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인터넷 게임은 격투게임, 스피드 게임 및 멀티플레이 전략게임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인터넷 인구의 꾸준한 증가세 속에서 영상 제작사는 인기 게임을 드라마로 각색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주로 롤플레잉 게임을 인큐베이팅 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 또한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장난(江南), 탕치공자(唐七公子), 마오니(猫膩), 쑤딩,(蕭鼎) 워아이시홍스(我愛西紅柿) 등 수많은 인터넷 소설 크리에이터가 쏟아져 나왔다. 그들은 인터넷에 〈무동건곤〉(武同乾坤), 〈구주표묘록〉(九州縹緲錄) 등 연재소설을 발표하였고, 판타지를 소재로 한 이들 소설은 빠르게 젊은 독자층의 호응을 얻었다. 인터넷 현환문학은 중국의 전통적인 '환상'요소와 서양의 가공문학체계를 융합하였다. 인터넷 현환 소설에서 신, 인간, 요괴의 스토리 배경은 중국 고대 신화소설의 영향을 받은 것이므로 뚜렷한 중국적 특색을 지닌다. 인터넷 소설은 큰 성공을 거두며 수많은 독자와 팬층을 확보하였고, 중국 드라마와 영화 제작자는 이러한 현상을 민감하게 감지하였다. 그리하여 현환을 주제로 한 영화와 드라마가 대거 등장하였는데, 그 중 최초의 작품은〈구주표묘록〉(九州縹緲錄), 〈화서인〉(華胥引) 등 주로 인터넷 현환소설을 토대로 각색한 작품이다. 예를 들어〈장야〉(将夜)와 〈경여년〉(慶余年)은 마오니(猫膩)의 동명소설을 바탕으로 창작한 작품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 현환극의 폭발적 인기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 배후에는 인터넷 게임, 인터넷 소설이 가져온 강력한 대중적 기반이 있었던 것이다. 그밖에도 현환 소재의 폭발적인 인기는 '현환'을 통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와 의식을 표현하는 데 그 원인이 있다. 현환극은 대부분 신선, 귀신, 요괴 등의 캐릭터를 주로 형상화하는데, 인간과 다른 이들 캐릭터는 사람들의 욕망과 상상을 은유적으로 나타내며, 인간 내면의 집단무의식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현환극의 캐릭터는 젊은 층이 주목하는 중점적인 부분이 되었다. 디지털 기술의 뒷받침 속에서 게임과 문자로만 존재하던 초현실주의적 장면과 인물은 현환극에서 사실적인 모습으로 시청자 앞에 나타났다. 그리하여 초현실적인 게임 캐릭터, 문학 속 인물, 환상의 공간과 신화문학작품 속에만 존재하던 모호한 정체성의 이미지는 구상화되어 보고 느낄 수 있는 캐릭터로 탄생하였다.
그러므로 본고는 중국 현환 소재 드라마의 인물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헌분석법, 사례분석법, 설문조사법을 본고의 연구방법으로 하여 중국 즈왕(知網), 도서관, 인터넷 등의 경로를 통해 현환 드라마 캐릭터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울러 수집한 모든 문헌, 텍스트 자료를 시간, 유형별로 정리 분류하여 현환 유형 드라마의 전반적인 인상을 기본적으로 정리하였다. 인물의 서사 관련 이론 문헌을 통해 현환극 인물 서사모델의 명확한 연구방향과 중점을 파악하였다. 현환극 관련 문건의 귀납적 정리를 통해 현환 유형 드라마 인물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고는 마오니의 동명 판타지 소설을 각색한 현환 드라마 〈택천기〉(擇天記)를 실제 사례로 선정하였다. 이 드라마는 가공 세계의 평범한 소년 진장생(陳長生)이 하늘을 거스르고 운명을 바꾸기 위해 신도에 도착한 후 뜻을 같이 하는 친구를 만나 국교학원에서 새로운 천지를 여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본고는 인물 서사를 중심으로 아이덴티티 전환 이론을 토대로 현환극의 다원화된 인물 형상화 및 현환극 인물 배후의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계승 및 재창조에 대해 분석하고, 대중의 현환극 및 현환극 이미지에 대한인지 및 태도를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설문결과를 지향점으로 하여 오늘날 시청자의 현환극 장르의 인물의 형상화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써 현환극 캐릭터 분석에 참고할 데이터를 제공한다.
관련 이론 자료의 수집 및 정리를 통해 중국 드라마 예술 연구 분야에서 현환극에 관한 연구 자료가 소수에 그치며, 중국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현환극에 대해 연구한 전문 이론 서적이 발표된 바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환, 마환, 선협극에 대한 정의가 비교적 모호하고 내용이 다소 겹치기 때문에 더욱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본고는 통섭적인 연구를 진행하며 다차원, 다방향적으로 현환극 및 현환 캐릭터를 심층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중국의 현행 연구는 주로 다음 몇 가지 큰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즉 인터넷 현환문학작품에 대한 연구, 현환극 연구 및 현환극 인물 서사 연구 등이다. 자료 및 문헌 정리 결과, 중국 학계의 주된 관련 연구는 인터넷 현환소설 각색, 현환극 서사전략, 현환극 장르화 문제 연구와 현환극의 심미적 증상 등 측면에서 출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환극 인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찾기 어렵다. 그밖에 현환 드라마 유형은 중국 특유의 드라마 장르로, 다른 나라에는 현환극 관련 문헌이 거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영상 서사 등 관점에 착안하여 영화, 드라마 등 분야에서 진행된 서사연구 및 인물 연구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열람하였다. 그리고 다른 나라는 이 분야에서 일찍부터 다양하고 권위 있는 이론을 가지고 시작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요약하자면, 제1장 서론부분은 현환극 연구현황을 개술하며 관련 분야의 연구 동향을 명확히 하고 본고의 연구내용 및 방법을 확정한다. 본 논문의 프레임으로서 연구의 중점을 명확히 밝히고, 현환극이 중국 드라마 장르 중 중요한 일부임을 이해하며, 그 발전의 의의와 배후의 문화적 내용을 파악한다. 한편 인물은 영상 서사에서 중요한 요소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주제 '중국 현환극 인물 연구'의 토대가 된다.
제2장은 본고의 본문 부분이다. 주로 현환극 자체 및 인물의 문화적 토대와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을 통해 '현환'이라는 단어가 황이의 작품에서 처음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오산치는 황이의 소설〈월마〉(月魔)의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현학, 과학과 문학을 아우르는 참신한 장르가 탄생을 알렸다. 이 소설 장르는 '현환'소설이라 불린다."여기에서 '현환소설'이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하여 명확히 정의되었다. '현'자는〈노자〉 (老子) 제1장 "현하고도 현한 것은 모든 오묘한 문이다."라는 구절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도'의 파악하기 어려운 신비로운 성질을 가리키는 말이다. 만물의 변화는 인간의 힘으로 되지 않으니 이를 현묘라 한다. 지난 세기 말, 인터넷 문학이 우수죽순처럼 쏟아져 나오면서 타임슬립, SF, 서양 판타지, 무협 혹은 각색한 애니메이션 등 다채로운 장르가 등장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혼잡한 양상이 초래되었다. 이는 최종적으로 점차 현환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정리되었다.
소재의 유형을 살펴보면, 현환극 장르는 판타지극, SF 극, 무협극 등의 드라마와 유사하지만, 사실 이들은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판타지극은 판타지한 스토리를 소재로 하는 드라마로, 마법의 힘으로 판타지의 매력을 드러내며, 대부분 서양 문화를 바탕으로 한다. SF극은 주로 과학을 토대로 발전시긴 스토리로, 과학기술의 미래나 인류사회 발전의 영향을 표현한다. 무협극은 협객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그 신비로운 무술을 특징으로 하여 협객 정신을 묘사한다. 현환극은 중국 현학 문화를 도입하여 현환극에 무한한 판타지적 세상을 부여한다.〈청운지〉(青云志), 〈장야〉(将夜),〈화천골〉(花千骨) 등 현학극은 스토리 전개 과정에 중국 현학문화, 중국 민간신화나 민간전설 등을 포함한다. 현환극의 '환'은 환상성을 표현하며 주로 네 가지를 포함한다. 첫째 생명형태에 대한 환상성, 둘째 개인능력에 대한 환상성, 셋째 인물 운명에 대한 환상성, 넷째 시간과 공간에 대한 환상성이다. 이상의 현환극에 대한 정의에서 현환극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전자기술로 판타지 세계를 구현한다. 둘째, 현환극의 주인공인 신, 요괴, 마귀, 인간 등은 모두 비범한 능력과 강력한 영웅주의와 자각의식을 지닌다. 셋째, 원시적 신화의 외형을 바탕으로 역사를 가공하여 주인공이 대중을 구하며 일어나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그려낸다.
둘째, 현환극의 갑작스러운 인기는 거대한 에너지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현상의 등장은 문화 논리상의 필연성을 지닌다. 현환극의 생성과 유행은 여러 사회와 문화 유전자가 공동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인터넷의 빠른 발전은 현환극 성장에 전파 매개체를 제공하였고, 상업화된 운영은 현환극의 창작과 유행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그 본질적인 원인은 현환극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중국 전통문화의 다양한 예술형태의 정수를 흡수한 데 있으며, 중화민족의 전통적인 심리에 기반 한 창작은 현환극의 인기를 불러온 내재적 추진력이 되었다.
현환극은 인물 형상화 면에서 중국 전통 신화, 무협, 선협 등 요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신화 이미지의 차용과 신화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전통가치관은 모두 현환극 창작의 양분이 되었다. 중국 신화는 대부분 노동을 통한 세상 창조와 희생 및 헌신의 정신을 반영한다. 중국 신화를 살펴보면 대우치수의 '삼국가문'에서 드러난 공평무사의 정신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자신과 같은 일을 겪지 않도록 돌을 물어다 바다를 메운 정위의 박애정신도 볼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을 희생하여 후대에 복을 가져다 준다는 주요 흐름은 현환극의 가치관이 되었다. 이에 비해 무협은 '중국 특색'을 지닌 문화형식으로, 일종의 문화이자 역사적 존재이다. 중국의 기나긴 봉건사회 속에서 하층계급의 사람들은 압박에 시달려야 했고, 고난과 어려움 속에서 그들에게 구원의 손을 내민 '협객' (侠客)은 그들의 마음 속 영웅이 되었으니, 이것이 바로 중국 무협이 존재할 수 있었던 사회적 뿌리이다. 현환극은 무협문화의 '협'(侠) 이미지의 도덕정신을 계승하며 내적수양을 중요시하고 선악의 이치를 강조한다. 주인공은 하나같이 자신의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삼계 창생을 구하는 사명을 짊어지는데, 이는 무협문화에서 협객이 뛰어난 무예로 세상에 나아가 백성을 구하는 본질적 품격과 일치한다. 현환극은 판타지 소재의 드라마로, 현환극에 등장하는 인물은 검을 들고 날아다니는 경우가 많으며 내용 면에서 선술을 활용하는 것을 뚜렷한 특징으로 하고 현허의 도가 법보 선기(仙器)를 통해 더 잘 드러난다. 이 점은 선협문화에도 나타난다.
현환극의 남자주인공은 모두 '문화영웅'이라는 원형을 토대로 형상화된다. 문화영웅은 신화세계에서 무한한 생명과 신통력을 지닌 신선 외에도 반신(半神)의 모습을 한 문화영웅이 있다. 반신은 그 이름에서 보듯 '신과 정령, 신과 인간 사이의 신화적 이미지'를 가리킨다. 중국의 신화 전설 중에는 수많은 문화영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그들은 사회문명의 진보와 민족문화 계승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들의 후대, 대우, 창힐, 신농씨와 황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문화영웅은 모두 자신만의 특징을 지니지만, 시대에 따라 사람들은 특수한 의미를 부여한다. 옛 사람들은 자연신 숭배부터 문화영웅 숭배로의 변화를 겪어왔으며, 이는 인류의 자기 관찰과 자아의식 각성의 과정을 반영한다.
현환극 여주인공의 문화적 원형은 중국 원사사회 단계에서 비롯되었다. 옛 사람들은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고 미지의 사물에 대해 큰 호기심을 품고 있었다. 고대 신화이야기에서 이러한 숭배는 점차 여신에 대한 숭배로 바뀌었다. 현환극에서 여성신화의 캐릭터는 주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여와의 후손을 원형으로 한 여성 이미지이다. 고대의 여와는 가장 잘 알려진 여신이다. 그녀는 사람을 창조하고 생명을 낳아 기르도록 인도하는 능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돌을 다듬어 하늘을 메우고 악기를 제작하여 인류에게 아름다운 삶을 가져다주었다. 이 위대한 인류의 어머니는 현환극에서 여주인공의 역할을 맡아 영웅들의 성장을 돕고 세상의 모든 생명을 보호한다. 또 다른 하나는 봉황(鳳凰)이다. 이는 '봉황(鳳皇)'이라고도 하고 봉조, 단조, 화조, 위봉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 고대 신화전설 속의 새, 신, 짐승이 결합된 이미지로 자웅의 구분이 있어 수컷은 '봉', 암컷은 '황'이라 하며 합쳐서 봉황이라 불린다. 현환극에서 봉황은 통상적으로 기이한 짐승족으로 등장하며, 아름답고 고결하고 신분이 높은 여성을 대표하기도 한다. 보통 이러한 여성 이미지는 뛰어난 외모 외에도 강력한 능력을 지닌다. 또한 남성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대중을 구하는 책임을 짊어진다.
요약하자면 현환극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파악한 후 'trans-identity'를 통해 이론을 정리할 수 있다. 'trans-identity'는 임대근 교수가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유형: 캐릭터, 스토리텔링, 담론〉이라는 글에서 제기한 개념이다. 임대근 교수는 라고 주장했다. 이로부터 인물이 서사의 핵심이며, 트랜스 아이덴티티 캐릭터는 서사의 관건임을 알 수 있다. 소위 trans라는 것은 "transcend(초월) 과 transform(전환)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두 개의 의미, 즉 자아를 초월하여 전환하다는 의미를 지닌다."간단히 말하자면 획기적인 변화, 타파와 틀의 구축을 의미한다. 임대근 교수는 'trans'가 접두사에 그치지 않고 중국 내 학계에서 특정한 가치로 변하여 젠더를 뛰어넘는 의미와 가치로 확장되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통과', 초월'과 '관통' 등의 의미를 지니며, 근대 이후 견고하게 정립된 세계적 관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러므로 trans에는 국가, 언어, 지역, 학문 분야, 이데올로기, 젠더 등 장벽이 분명한 갖가지 경계와 광범위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영문 identity의 기본적인 의미는 '동일성', '정체성', '특징'이다. 이는 identity에 두 가지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첫째는 주체의 독특성, 즉 한 개체가 다른 개체와 구분되는 차이점이다. 둘째는 주체와 주체 간의 동일성이다. "정체성 이론은 1840년대에 기원하여 처음에는 사회심리학적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에릭센이 심리 분석에 쓴 기술용어이다." 이후 정체성 이론은 여러 분야에 적용되며 더욱 광범위한 종합적인 개념이 되었다.
임대근 교수는 서사 속 캐릭터에 여러 가지 의미와 기능이 부여된다고 주장했다. 캐릭터의 성격이나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독특성을 토대로 트랜스 아이덴티티는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정체성 역전(逆轉) : 특정한 대당 관계에 있는 정체성이 뒤바뀌는 경우이다. 남성과 여성 이라는 대당 관계 속에서 성별 전환이 이뤄지거나, 경찰과 범인이라는 대당 관계 속에서 역할 전환이 수행되는 경우이다. '트랜스 젠더'의 이야기도 성별 역전을 겪는 경우로 역전 사례에 해당된다."
둘째, "정체성 전치(轉置) : '역전'을 포함하는 더 폭넓은 개념으로, 일종의 다양한 혹은 우발적인 방식으로 정체성이 바뀌는 경우이다. 즉 자신의 정체성이 사회적으로 재맥락화하는 경우로, 캐릭터들은 자신의 정체 성 전환의 문제를 두고 깊은 고민과 부적응 등의 상황을 겪게 되는 사례이다."
셋째, "정체성 횡단(橫斷) : 강렬한 대당 관계의 역전과 전치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다. 캐릭터에 대한 평가는 매우 복잡한 기준과 층위 속에서 이뤄지는데, 이중적 관계의 정체성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횡단하는 사례이다."
넷째, "정체성 초월(超越) : 특정한 정체성을 추구하던 인물이 완전히 이를 초월함으로써 새로운 맥락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맥락화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평범한 시민이 투사가 된다거나 힘없이 억압당하던 인물이 무소불위의 권력자가 된다거나 하는 사례 이다."
분류방식에 근거하여 우리는 서사 속의 젠더를 초월한 캐릭터의 특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 구분에 따른 서로 다른 서사구조를 대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유형을 파악한 다음 트랜스 아이덴티티 유형을 이용해 이 영화에서 트랜스 아이덴티티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4가지 유형은 우리가 서사를 통해 트랜스 아이덴티티 관련 캐릭터와 줄거리를 인식하도록 도움을 주는 강력한 시각을 제공한다. 이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앞으로 현환극을 구체적인 분석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인물은 현환극 서사 전개의 핵심이며, 주인공의 다원화된 정체성을 통해 전기적 서사와 초현실적 공간을 구성하며 다중적으로 전환되는 서사의 특징을 보여준다. 현환극의 기이한 색채는 신비로움, 긴장과 자극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현환극 캐릭터의 정체성은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고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는 스토리의 변화와 전환을 의미하며 전체 스토리 서사에 변화를 가져온다. 현환극에는 평범한 배경의 주인공이 등장하여 우연한 계기로 정체성이 전환된 후 자발적, 혹은 수동적으로 선협 세계의 사건에 휘말려 온갖 기이한 경험을 한다. 하늘이 선택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 주인공은 평범하게 태어나지만 비범한 운명을 지닌다. 현환극은 다른 드라마 유형에 비해 시간의 범위가 넓다. 스토리 시간을 살펴보면 신계의 시간은 빠르고 무한히 연장되는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중국 도가의 장생불로 사상에 부합한다. 또한 신화 관련 고서에 나오는 시간에 대한인지를 차용하여 시간을 더 길고 광범위한 차원으로 늘린다. 속세의 시간은 고대의 전통적인 시간관념을 따라 시진, 시령, 절기를 이용해 자연만물의 규칙대로 시간을 구분한다. 이처럼 짧고 유한한 시간은 현환극에서 속세의 시간형태로 등장한다. 현환극의 인물은 시공간을 초월하고 생사를 초월하며 심지어 세상을 주재한다. 이는 모두 이러한 드라마 특유의 환상성, 기이성과 초현실성을 나타낸다. 이들 특징을 바탕으로 대중은 드라마를 보는 짧은 시간 동안 잠시 현실의 정체성을 잊고 드라마에 몰입한 채 현실의 스트레스로부터 탈피하여 억눌린 정서를 해소한다.
현환극이 구성하는 '가공의 세계'는 초현실적 공간이다. 다른 드라마 유형과 달리 현환극의 서사에는 초자연적 요소, 허와 실의 변환이 가득하다. 대부분 등장하는 인물을 위주로 하여 각 인물의 생활공간을 구축하는데, CG 특수효과 기술의 지원과 색채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현환극을 구성하는 다차원적 입체공간에서 인물은 공간을 넘어 교류하며, 공간은 현환극 인물이 행동하는 객체 요소로 주체의 욕망이나 추구하는 목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인물과 공간의 전환은 서사의 추진력이 된다. 현환극에 등장하는 공간은 더욱 다양화되며 초현실적 가상공간의 특징을 나타낸다. 현환극은 공간의 다중성을 이용해 주인공이 처한 공간, 정체성의 전환에 근거하여 서사장소를 바꿈으로써 시청자에게 더욱 다양한 환상의 공간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색다른 것을 추구하는 시청자의 심리를 충족하며 현환극 서사의 초현실적 특징을 구현한다.
제3장은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에 기반 하여 드라마〈택천기〉를 구체적인 사례로 들어 서사를 분석한다. 드라마 〈택천기〉는 마오니의 동명소설 〈택천기〉를 각색한 작품으로, 인간과 요괴가 공존하는 가공의 세계에서 평범한 소년 진장생이 하늘 거슬러 운명을 바꾸기 위해 결혼증서를 가지고 신도에 도착한 후 뜻이 맞는 친구를 알게 되고 국교학원에서 새로운 세계를 여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드라마는 총 56부로 구성되며 7부가 1개의 장절을 이룬다. 총 9개 장절로 나누어지는데, 제1장 독틈대조시(独闖大朝試), 제2장 회무술청등연(会武術青藤宴), 제3장 참오릉허각(参悟凌虚閣), 제4장 탐비주원(探秘周園), 제5장 성도미운(星圖迷云), 제6장 신녀지서 (神女之誓), 제7장 경세진상(惊世真相), 제8장 대결국전편(大結局前篇), 제9장 대결국(大結局)으로 각각 구성된다.
'정체성 초월'의 개념을 인용하여 현환극〈택천기〉 남녀 주인공의 트랜스 아이덴티티에 대한 유형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인물이 서사에서 지니는 중심적 지위를 알 수 있고, 캐릭터 형상화 배후에 흐르는 감정과 의미를 탐구할 수 있다. "특정한 정체성을 추구하던 인물이 완전히 이를 초원함으로써 새로운 맥락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맥락화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택천기〉의 남자주인공 진장생과 여자주인공은 여러 가지 정체성을 지닌 입체적 인물이지만, 극중 남녀 주인공의 정체성 초월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남자주인공 진장생의 여러 가지 정체성은 극이 시작되면서 모두 드러나지 않고 극이 전개되면서 핵심적 실마리로 점차 노출된다. 그리고 진장생의 정체성 초월을 통해 드라마의 중심 메시지의 승화가 이루어진다.
드라마 첫 부분에서 주인공 진장생은 자신의 운명에 대해 의문을 품고 운명을 받아들이지 못한 채 하늘을 거슬러 자신의 운명을 바꾸기로 결심한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의 운명을 바꿀 방법을 찾기 위해 산을 내려간다. 이 단계에서 생명에 대한 인물의 사고는 개체의 생명에 대한 정신적 추구에 그치며, 이는 인물의 정체성 전환의 원인으로 등장하여 인물의 행동에 서사적 동력을 제공하고 스토리 전개를 촉진한다. 2단계인 드라마 중반에서 진장생은 하늘을 거슬러 운명을 바꾸는 방법을 터득한 후 하늘을 거슬러 운명을 바꾸려면 다른 사람의 목숨을 희생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곧바로 이 생각을 포기한 채 대륙의 평화를 위해 자신을 성반(星盘)에 바치기로 결심한다. 운명에 대한 생각도 한 사람의 운명을 바꾸는 데에서 백성의 운명을 바꾸는 것으로 변한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목숨을 던져 사람들을 구하기로 결심한다. 여기에서 인물의 생명관은 생명의 가치가 성장과 책임 이행에 있음을 보여준다. 개체의 생명에 대한 정신적 추구에서 개체의 생명이 사회적 의미를 사고하는 경지로 승화되고 서사적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진장생이 운명을 바꾸고 국교학원을 이끌게 되면서, 인물의 정체성은 자아초월을 완성하고 사교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 평범한 소년은 영웅이 되고 생명의 의미를 깨달으며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끼며 아픔을 겪어 나가는 선택에 직면한다.
현환극에서 개체의 생명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개체의 사회에 대한 헌신에서 가장 뚜렷하게 구현된다. 이 대목에서 개체의 생명은 민족의 이익을 위해 작용한다. 〈산해경〉(山海經)에서 대우치수(大禹治水)는 집단에 대한 헌신적 정신으로 구현된다. 대우치수는 고생을 마다하지 않는 정신뿐만 아니라 대우가 평생의 노력을 기울여 치수에 임하여 집단을 위해 헌신하는 정신을 보여준다.〈 산해경〉에는 황제전치우(黄帝戰蚩尤)등신선 전쟁에 관한 신화도 등장하지만 승리자이든, 패배자이든 민족의 이익을 위해 필사적으로 싸우는 그들의 정신은 보는 이를 피 끓게 하는 신념에 찬 모습이며, 이는 개인 생명의 사회적 가치를 구현한다. 민족의 대의를 아우르는 이러한 정신은 개인의 생사를 초월하여 민족의 정신과 신앙을 담고 있다. 드라마 〈택천기〉는 생명에 대해 탐구하는 이러한 민족정신과 신앙을 주인공 정체성 전환의 주요한 동기로 하여,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던 평범한 소년에서 세상을 구하는 대 영웅으로, 한 사람의 구원에서 모든 백성을 구하는 인물로 변화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진장생은 개체의 생명이 존재하는 진정한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자기 정체성의 변화를 완성한다.
한편 여주인공 서유용의 성장과정은 남녀주인공의 사랑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춘다. 현환극에서 여주인공의 정체성은 초반에 주로 순수하고 고결한 혈통의 여신 이미지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남자주인공의 정체성, 지위와 큰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극의 전계에 따라 남녀주인공은 한 차례 시련을 거치며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 깊어지고 오해, 극복과 고난, 신분의 장애를 넘어 결국 오해를 해소하고 화해하여 함께하게 된다. 시청자는 자신을 여주인공의 정체성에 대입하여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변치 않는 충실한 사랑을 체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현환극의 여성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높이 시작해 낮게 가는 흐름을 보이며 정체성 초월은 주로 새로운 정체성으로 바뀌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현환극의 여주인공은 보통 만인이 우러러보는 여신에서 남주인공의 짝으로 전환되어 정체성 초월이 하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드라마 〈택천기〉에서 서유용은 봉황혈통의 순수한 내면을 지닌 남방성녀로, 성녀봉에서 줄곧 수행하여 앞으로 성반대진을 계승하기 위해 준비한다. 그녀는 어린 시절 진장생에게 구원을 받고 결혼을 약속한다. 훗날 진장생과 신도에서 만나고 두 사람은 서로를 알아본다. 진장생이 마족의 스파이로 알려져 신도에서 잇따라 일어난 살인사건에 연루되자 진장생을 위해 변론한다. 하지만 성녀로서 앞으로 성반대진을 계승하여 세상의 가장 강력함 힘을 획득하려면 다른 사람을 사랑해서는 안 되며, 그렇지 않으면 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말을 천후에게서 듣는다. 이에 대해 준비가 되었든, 그렇지 않든, 서유용은 처음으로 자신의 정체성 선택에 흔들린다. 이때 서유용은 충돌 밖의 '주변인'으로서 아직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다. 그녀는 그저 어릴 적 친구를 구하고 싶을 뿐이다. 진장생과 추산의 대결이 일촉즉발로 치닫고, 추산은 서유용에 대한 사랑 때문에 마족의 꾀임에 빠져 마족 무리에 합류한다. 수차례 진장생의 목숨을 빼앗으려 하지만 모두 수포로 돌아간 후 천도원 배신자인 장환우와 결탁해 대전에서 위증을 하며 진장생을 감옥에 들어가게 한다. 이때 서유용은 자신의 원래 정체성과 충돌을 일으키며 기존의 정체성에 따르기를 거부한다. 진장생과 성후 및 원래의 동료를 구하기 위해, 그리고 이 충돌의 발생으로 인해 서유용은 원래의 여신으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하려는 생각이 강화된다. 결국 신과 마족의 전쟁이 일촉즉발로 다가오고, 서유용은 진장생의 무리에 합류하여 함께 싸우며 마교교종(魔教教宗)을 보여준다. 마침내 성녀의 이름을 버리고 진장생에게 속하게 된 것이다. 자기 정체성의 전환을 완성하여 성녀에서 평범한 여성으로 바뀐 서유용은 진장생에 대한 사랑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과 생각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자신에게 다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몰랐던 그녀는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용감하게 추구한다. 서유용은 연이은 갈등 속에서 자신의 삶에 대한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하고, 자신을 받아들이고 정신적 차원에서 자아정체성을 실현하기로 선택하기 시작한다.
요약해 말하자면, 캐릭터는 서사의 핵심적 요소 중 하나이며 창작자의 생각과 의도를 완전하게 전달한다. 그들의 의식은 창작자의 핵심적 이념을 반영하며 시청자와 창작자 사이의 소통을 위한 다리가 된다. 캐릭터 설정과 형상화는 작품의 예술적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환극은 곧 신화를 다룬 신마소설, 지괴소설을 바탕으로 쓰여 진다. 그리하여 신과 요괴가 공존하는 개인적 세계관을 구축하고, 판타지한 선경 속에서 영웅이 성장하고 요괴를 물리치는 신화 이야기를 담아낸다. 그러므로 현환극 인물의 정체성은 평범한 인간에서 영웅으로, 신선으로, 요괴로 크게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중국 전통 신화에 나오는 생사윤회, 운명극복, 천하를 품은 마음 등 명제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러므로 현환극의 인물을 분석할 때에는 '정체성 초월'의 개념을 인용한다. 현환극〈택천기〉남녀주인공의 트랜스 아이덴티티에 대한 유형 분석을 통해 서사에서 인물이 차지하는 중심적 위치를 이해하고, 캐릭터 형상화 배후에 흐르는 감정과 의미를 탐구할 수 있다.
제4장은 드라마〈택천기〉의 한계를 분석하고 오늘날 현환 드라마 인물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탐구한다. 현환극은 새로운 영상예술 형식으로서, 2014년 드라마 〈고검기담〉(古劍奇譚)이 방영되면서부터 열풍을 일으킨 후,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를 맞아 널리 전파되었다. 현환극의 창작에도 다원화의 변화가 일어났다. 그러나 현환극 장르가 투자자의 관심을 받으면서 현환극의 방대한 '복제'로 인해 시청자는 심미적 피로감을 느끼게 되었고, 현실적 의미가 결여된 인물과 편협적인 문화적 가치관은 현환극의 미래에 대한 대중의 우려를 낳았다.
현환극의 초현실주의적 색채에서 인물은 다원화된 존재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의 캐릭터는 좋은 나쁘든 플롯의 진행을 제공하며, 전형화된 인물 이미지 속에 내면의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에서 정체성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전환의 내부적 충돌과 전환을 저해하는 외부적 충돌을 고려해야 한다. 즉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캐릭터 자체가 정체성 전환을 갈망하거나 객관적 환경이 정체성 변화를 요구하는지의 여부는 캐릭터의 선택을 증가시킨다. 그밖에 갈등, 충돌 등 캐릭터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비롯된 방해요소에 따라 정체성 전환의 정도에도 다소 차이가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스토리가 정체성 전환이 일어난 캐릭터를 중심으로 펼쳐질 때, 캐릭터가 선택한 방향에 따라 충돌은 여러 방면에서 등장한다. 그밖에 모든 캐릭터가 완전한 정체성 전환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충돌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인물 이미지가 등장할 수 있다. 이에 드라마 〈택천기〉에 등장하는 인물 분석을 통해 극중 대부분의 인물이 줄거리 전개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의 정체성 전환이 일어나지만 인물의 성격은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기전환이 부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 모두 획일적이고 선악이 분명하다. 예를 들어 주인공 진장생은 평범한 인물에서 소년영웅으로 발전하며 정체성 전환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인물의 성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밖에 현환극의 여성 이미지에도 같은 문제가 있다. 앞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환극의 여성 이미지가 지니는 정체성 초월은 남성 이미지와 달리 지위가 떨어지는 등 쇠퇴의 의미를 지니는 초월성을 보인다. 현환극에서 여성 이미지는 정체성 전환에 따라 감정, 사회적 지위 면에서 희생을 가져오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의 이미지는 사실 더욱 다양한 내면 활동을 수반해야 한다. 한편 드라마 〈택천기〉 속 여성의 정체성 전환의 표현은 분명하지 않고, 여성의식도 다소 동떨어진 느낌을 준다.
'이항대립'의 토대는 '단순한 환원'이다. 단순한 환원은 복잡한 역사현상을 추상과, 단순화, 기호화함으로써 생생한 의미를 상실하게 만든다. 이는 관찰자로 하여금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의 역사적 현실이나 지금의 현실에 직면할 때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을 잃게 하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단순한 환원은 개인적 사고의 타성을 인식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행동일 수도 있고, 사회의 의도적인 형상화 과정일 수도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 현환극의 정체성 전환이 일어난 캐릭터 분석을 통해, 드라마 캐릭터의 형상화가 단순한 이항대립을 충족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물의 환경, 내면의 서사 변화에 뿌리를 두고 성격의 다중성을 나타내야 한다. 이는 실제 생활에 가까운 인물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함인 동시에 도식화된 인물을 없앰으로써 인물의 이미지를 더욱 풍성하고 매력적이며 대중의 실제 생활 속 심미관에 가깝게 그려내기 위함이다.
또 다른 문제는 중국 전통문화의 활용이 적절치 못하다는 점이다. 이는 중국 전통가치관의 미흡과 시각적으로 조잡한 구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정체성'이라는 개념은 인류의 삶에 필요한 매우 기본적인 요소이며, 인류는 처음부터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시작하며 생명을 탐색해 왔다. 정체성은 근거 없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인과관계에 따른 결과이자 조상의 문명이 연속되어왔다는 증거이다. 그러므로 정체성 인식의 문제에 대해 때로 정체성 자체로 회귀할 필요가 있다. 카를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에 따르면 "원형의 개념은 정신 속 어 디에나 보편적으로" 존재하며, 집단적 무의식은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속되는 것"이라 보았다. 그러므로 문화원형은 보편적인 기호나 의미이며, 집단 속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져 그 특수성을 보존한다.
논문 전반부에서 현환극 중 전통문화 요소와 인물의 원형을 분석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현환극은 중국의 신화, 무협, 선협 등 전통요소를 한데 집약한 드라마 유형임을 알 수 있다. 그 중 남성 캐릭터의 원형은 전통적인 '문화영웅'을 토대로 형상화되고, 여성 캐릭터의 원형은 전통 신화 속 여성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더 많다.〈택천기〉의 분석에 따르면, 현환극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계승과 중국 고전 신화의 요소를 참고하지만, 중국 전통문화 정신의 의미와 신화스토리에 담긴 철학을 제대로 발굴하지는 못한다. 또한 창작과정에서 전통문화의 활용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대거 눈에 띄는데, 주로 인물의 전통적인 가치관 미흡과 시각적으로 조잡한 구성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드라마 〈택천기〉에서 진장생의 인물원형은 문화영웅의 정의에 부합하지만 이것이 전달하는 전통적 가치관은 한편으로 빈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진장생은 출신이 평범한 소년으로, 내면이 선량하고 하늘을 거슬러 운명을 바꾸고 싶어 한다. 그는 운명과 맞서는 과정에서 마침내 생명의 의미를 깨닫고 세상의 모든 대중을 위한다는 대의를 위해 끊임 없이 자신을 희생한다. 그러나 실제 드라마 서사에서 그는 뜬금없는 느낌으로 표현된다. 처음 진장생이 하늘을 거슬러 운명을 바꾸려면 무고한 사람의 생명을 희생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그는 거절한다. 두 번째로 타인의 생명을 희생하는 방법 외에는 운명을 바꿀 길이 없음을 알았을 때 진장생은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심한다. 전체 50여 회에 걸친 드라마에서 오직 2회 등장하며, 화면의 활용 면에서도 다채롭게 처리되지 않았다. 한편 다른 부분은 진장생이 어떻게 괴물과 싸우고 능력을 강화하는지를 더 많이 보여 준다. 사실 생명과 대중에 대한 두 차례의 깨달음은 모두 드라마 속 캐릭터 정체성 전환, 주제의 승화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대목이다. 그러나 스쳐가듯 지나가버린다. 그밖에 여성 캐릭터를 살펴보면 앞장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 여성 캐릭터는 구성 과정에서 정체성 전환이 하락추세로 나타내는데, 이러한 추세는 전통문화 속 여성 원형에 대한 설정에 부합하지 않는다. 현환극 속 여성 이미지 원형은 대부분 〈산해경〉에서 비롯되어 통상적으로 여와의 후예나 요괴, 마귀, 인간 중 고귀하고 선량한 여성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택천기〉의 서유용은 봉황의 혈통이며 천황족의 후예이다. 여성의 생식능력에 대한 숭배는 신화 스토리 속에서 여신에 대한 숭배로 전환된다. 고대 여신은 여성의 신비롭고 지혜로움을 상징한다. 그러나 현환극 속 여성 원형은 저속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현환극 속에서는 통상적으로 여성 이미지와 사랑 이야기가 한데 묶여 동시에 등장한다. 예를 들어 〈택천기〉에서 서유용(徐有容)이 행동하는 이유는 모두 진장생을 향한 사모의 마음 때문이다. 그리고 결국 봉황의 혈통을 포기한 채 여신의 원형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택천기〉 속 마족공주 남객(南客)과 검종의 제자 추산군은 긍정적 캐릭터와 악역의 두 유파에 속하며 감정적으로 끊임없이 얽힌다. 결국 추산군의 죽음으로 인해 마족공주는 자신의 정체성과 원한을 내려놓고 사막에 은둔한다. 극중 여성 캐릭터의 행동은 모두 감정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정신적 의미와는 거리가 있다. 여신의 원형은 신성한 정체성을 상징하며 여성 캐릭터에 초월적 주인공의 아우라를 부여함으로써 줄거리 전개를 이끄는 중요한 단서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남자주인공이 난관을 뚫고 세상을 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여신은 남성의 성장을 돕는 동시에 주체적으로 자신의 가치와 의미를 구현한다. 그러므로 여성 이미지의 원형에 따라 그 정체성이 부여하는 특수한 의미는 고귀한 이미지를 대표한다. 그 배후에는 오늘날 가치관에 따른 여성의식의 각성이 있으며, 이는 여신 정신의 현대적 표현이다.〈택천기〉 속 여성의식의 각성과 정신의 표현은 모두 사랑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하여 스토리의 흡인력을 단편적으로 강조한다. 이는 사상의 깊이는 중요시하지 않은 채 심층적인 차원의 여성 이미지 원형을 포기하여 결국 정체성 하락을 초래하고 그 정신적 의미는 더욱 저속해진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기술을 활용해 여러 가지 아름다운 시각적 장면을 묘사하는 것은 현환 소재 드라마의 관용적인 기법이자 주된 특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성숙하지 않은 기술수단은 전통문화를 투박하고 조잡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드라마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며 대세를 따라 '범심미'가 드라마 창작 주체의 주요한 관념이 되었고, 일부 드라마 창작자는 필요한 문화적 바탕을 상실한 채 자신의 문화적 책임감과 판단력을 등한시하고 깊이도, 의미도 없는 드라마 작품으로 대중의 '범심미'(泛審美)적 수요에만 영합하며 삶의 모든 대상이 심미적 가치를 지니는 것은 아님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다. '범심미'적 관념 속에서 제작된 드라마는 시청자의 수요를 충족하여 큰 호응을 얻지만, 그 안에 내포된 상업화, 세속화, 심지어 저속화된 요소는 드라마의 예술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관념 속에서 제작된 현환 소재 드라마는 물질적 추구를 더욱 적나라하게 표현하며, 여러 가지가 뒤섞인 방식으로 시청자의 얕은 차원의 심리적 수요를 즐겁게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TV의 새로운 창작 주체는 진정한 아름다운, 고상한 사물을 더욱 무시한 채 단편적이고 이미지화된 얕은 차원의 대상만을 드라마 창작에 활용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전통문화의 부적절한 활용은 깊이 없는 드라마 제작에 피할 수 없는 책임이 있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리듬이 점차 가속화되는 동시에 심미적 수요에도 조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예술표현으로서의 영상작품에 대해 대중은 오락적 속성을 더 중요하게 보며, 패스트푸드 문화의 발전 및 제작 비용의 제약은 영상작품의 빠른 서사적 특징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하여 문학작품처럼 풍성한 캐릭터와 성격을 형상화하거나 어떠한 제약도 없는 묘사가 불가능해졌다. 대중의 패스프푸드적인 심미적 수요로 인해 몇 개의 에피소드나 심지어 몇 장면만으로 주요 인물과 그 성격을 설명해야 한다. 게다가 제작비용은 작품의 길이, 장면에 대한 제약을 가져와 이중적인 압박 속에서 캐릭터 구축의 동질화 가능성은 높아진다.
인물 설정 면에서 현환극의 주요 캐릭터는 거의 예외 없이 비범한 인물이다. 이들은 대체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신도 아니고 괴물도 아닌 존재로의 환생이다. 둘째, 평범한 인물이 비범한 인생 역정을 거친다. 현환극의 인물은 통상적으로 비상한 신통력, 남다른 능력이나 마법을 행하며 세상을 구하는 신성한 사명을 짊어진다. 예를 들어 〈두파창궁〉(斗破蒼穹)에서 소염은 원래 8대 족속 중 하나인 소족의 후예로, 뛰어난 자질을 지녔다. 그는 현중척(玄重尺)과 유리연심화(琉璃蓮心火)를 가지고 대륙의 강자가 된다. 〈창난결〉(蒼蘭訣)의 소난화(小蘭花)는 식난족(息蘭族)의 후예이자 식산의 선녀로, 악한 기운을 정화하는 능력으로 육계의 백성들을 보호한다. 〈삼생삼세십리도화〉(三生三世十里桃花)에서 야화는 부신의 둘째 아들로, 5만살에 맨손으로 '도철궁기(饕餐穷奇)'의 머리 넷 달린 짐승을 죽이고 원신(元神)을 이용해 동황종(東皇鍾)을 제물로 바친다. 이는 첫째 사랑을 위해서이고, 둘째 천하의 백성을 위해서이다. 이처럼 '고귀한 출신'의 캐릭터에 비해 〈택천기〉의 진장생은 평범한 인물로 비범한 경험을 하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진장생은 원래 서녕진(西寧鎭)의 마을에서 성장하였는데, 스승에게서 20세를 넘길 수 없다는 말을 듣고 운명을 바꾸기 위해 산을 내려온다. 주인공은 운명처럼 신도에 이르러 국교학원에서 수행을 시작한다. 연일 이어진 수련을 거쳐 주인공은 연약한 소년에서 점차 강력한 고수로 성장한다. 그밖에 더 중요한 것은 생명의 거대한 변화가 주인공에게 무거운 심리적 타격을 가져다준다는 점이다. 이로써 주인공은 아무 것도 모르는 소년에서 점차 세상의 비밀을 짊어진 채 진실을 밝혀내고자 하는 무게감 있는 소년으로 성장하며, 도를 닦고 사건의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점차 마음의 원한을 내려놓고 세상을 구하는 임무를 짊어진 채 큰 사랑을 실현한다. 단조롭고 동질화된 수많은 캐릭터가 대거 양산되며 여러 드라마, 배우가 거의 동일한 캐릭터, 동일한 작품을 연기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무미건조한 작품이 오래 이어지면서 대중은 시청각적인 면에서 피로감을 느끼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어 영웅이 세상을 구한다는 캐릭터의 반복적인 등장, 어리석고 어여쁜 여주인공이 반전을 가져오는 오래된 패턴 등이 그러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