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목적 12

2. 선행연구 검토 16

3. 연구범위 및 연구 방법 23

Ⅱ. 팔레비왕조 시기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 31

1. 팔레비왕조 시기 여성들의 삶 31

2. 교육 34

3. 결혼 및 이혼 40

4. 여성의 사회 진출 45

Ⅲ. 소설 『눈뜸』에 나타난 팔레비왕조 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53

1. 작가 및 작품 소개 53

2. 『눈뜸』의 서사 55

3. 교육 57

4. 결혼 및 이혼 61

5. 여성의 사회진출 70

Ⅳ. 결론 74

참고문헌 79

ABSTRACT 88

표목차

〈표 1〉 1912년부터 1933년 졸업생 수 38

초록보기

 본 논문은 팔레비 왕조 시절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법령 등을 통해 확인하고 이것이 실제 이란 여성들의 삶에서는 어떻게 나타났는지 문학을 통해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란은 이슬람 전파, 입헌 혁명과 같은 사건들을 기점으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많이 변화했다. 특히 카자르왕조 시기 입헌혁명을 기점으로 근대적 법안이 발의되며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점차 근대화되어 갔다. 그러나 1979 년 이슬람 혁명을 겪으며 여성문제는 다시 논쟁의 중심에 있다. 여성문제는 사회의 부산물이다. 이란에서 여성문제는 종교 및 사회의 영향을 받아 나타났으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문학이 배경으로 하는 시대의 사회 및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연구를 진행했다. 따라서 팔레비왕조 시기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연구하기 위해 당시 여성의 삶을 다룬 문학 작품으로 『눈뜸』을 선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눈뜸』은 팔레비왕조 시기 상류층에서 태어나 귀족으로서 교육받고 생활한 마부베의 삶을 다루고 있다. 『눈뜸』은 마부베가 서민 남성에게 시집가고, 이혼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 여성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소설 중간 마부베와 조카와의 대화를 통해 세대에 따라 변화한 여성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팔레비왕조 당시 여성에 대한 시대별·계층별 사회적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눈뜸』을 통해 당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팔레비왕조 시대 교육, 결혼 및 이혼, 여성의 사회진출과 관련된 법 조항 및 사회적 분위기를 분석한다. 팔레비왕조의 레자 샤는 근대적 국가로 나아가고자 노력했다. 레자 샤의 노력으로 팔레비왕조 시기에는 다양한 근대적 법안이 발의되었다. 이 시기 발의된 다양한 근대적 법령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연관이 되었다.

다음 장에서는 앞서 확인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문학에는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한다. 『눈뜸』을 통해 교육에 대한 여성의 인식 및 교육받은 여성에 대한 인식,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결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혼에 대한 여성 및 사회적 인식, 여성의 사회 진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회 제도 및 법안을 확인할 수 있다.

팔레비왕조 시기 발의된 다양한 법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근대적 법을 통해 여성이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교육받은 여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생겨난다. 또한 여성이 주체적으로 이혼을 결정하고 결혼에 있어 여성의 의견이 반영되기도 한다. 하지만 동시에 결혼에 앞서 아버지의 체면을 걱정하는 가부장적 인식이 존재하고 서민들은 교육에 접근하기 쉽지 않은 등의 모습도 보인다. 소설 속 이러한 모습은 마부베의 삶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보이기도 하고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문학 작품은 당시의 시대를 반영하고 있다. 『눈뜸』을 통해 소설의 배경이 되는 팔레비왕조 시기 여성의 삶을 분석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시대적 흐름에 따른 사회의 인식도 함께 분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논문이 팔레비왕조 시기 이란의 사회 및 여성들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팔레비왕조 시기 여성을 다룬 다양한 문학작품을 통해 이란 여성들의 일반적인 모습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