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6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 방법 및 범위 18

Ⅱ.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급제 행사 20

1. 조선시대 과거제도 20

1) 과거제도의 유래와 변천 20

2) 조선시대 과거제도 종류 24

2. 조선시대 과거급제 관련 행사 36

Ⅲ. 회화 속 과거급제 행사 복식 48

1. 《평생도》 〈삼일유가〉 속 인물 복식 48

1) 급제자 50

2) 홍패사령 57

3) 세악수 65

4) 광대·재인 71

5) 무동 78

6) 의장군 80

7) 마부 83

8) 근수 84

2. 〈안동권씨문희연도〉·〈동도문희연도〉 속 인물 복식 85

1) 급제자 88

2) 급제자 부친 90

3) 손님 95

4) 광대·재인 100

5) 홍패사령 103

6) 악공 105

7) 여기·동기 106

8) 마부 109

9) 하인 110

Ⅳ. 과거급제 재현행사 속 복식 오류와 제안 112

1. 과거급제 재현행사 속 복식 오류 112

1) 대중매체 112

2) 재현행사 118

3) 교육 및 전시 121

2. 과거급제 재현행사 복식 제안 125

Ⅴ. 결론 130

참고문헌 134

Abstract 140

표목차

〈표 Ⅱ-1〉 『경국대전』 식년시 생원·진사 시험형식별 선발 인원 25

〈표 Ⅱ-2〉 『경국대전』 식년시 문과 시험형식별 선발 인원 27

〈표 Ⅱ-3〉 『속대전』 문과 별시 종류와 규정 30

〈표 Ⅱ-4〉 『경국대전』 무과 식년시 시험형식별 선발 인원 31

〈표 Ⅱ-5〉 『경국대전』 역과 시험 규정 34

〈표 Ⅱ-6〉 『경국대전』 음양과 시험 규정 35

〈표 Ⅲ-1〉 『벽계영유록』 재인 복식 72

〈표 Ⅲ-2〉 『경국대전』 품계별 상복 품대 97

〈표 Ⅳ-1〉 《모당평생도》 〈응방식〉 속 인물 복식 125

〈표 Ⅳ-2〉 《담와평생도》 〈삼일유가〉 속 인물 복식 126

〈표 Ⅳ-3〉 삼일유가 재현행사를 위한 등장인물의 복식 제안 127

그림목차

〈그림 Ⅱ-1〉 《화성능행도 8곡병》 〈낙남헌방방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37

〈그림 Ⅱ-2〉 남계술 백패(1874)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8

〈그림 Ⅱ-3〉 〈과거은영연도〉 일본 양명문고 소장 39

〈그림 Ⅱ-4〉 〈과가하여가는사람〉 독일 함부르트민족학박물관 소장[이미지참조] 42

〈그림 Ⅱ-5〉 〈산수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6

〈그림 Ⅲ-1〉 《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9

〈그림 Ⅲ-2〉 《담와평생도》 제1폭 〈삼일유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9

〈그림 Ⅲ-3〉 헌종대, 둥근 모정의 전립 ①《모당평생도》 제7폭 〈좌의정시〉 일부 ②1848 『무신진찬의궤』 50

〈그림 Ⅲ-4〉 순조대, 뾰족한 모정의 전립 ①《담와평생도》 제4폭 〈좌의정행차〉 일부 ②1829 『기축진찬의궤』 50

〈그림 Ⅲ-5〉 《평생도》 속 급제자 ①《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51

〈그림 Ⅲ-6〉 송종오 복두(1888)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52

〈그림 Ⅲ-7〉 〈과거하는사람〉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소장[이미지참조] 53

〈그림 Ⅲ-8〉 이만기 어사화(1852)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3

〈그림 Ⅲ-9〉 18세기 공복 형태 ①의릉(1724) 동측 문석인 배면... 54

〈그림 Ⅲ-10〉 《급제자 〈낙남헌방방도〉 일부 54

〈그림 Ⅲ-11〉 홍희준(1761~1841) 묘 출토 단령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54

〈그림 Ⅲ-12〉 1828년 『무자진작의궤』 학정야대 55

〈그림 Ⅲ-13〉 송종오 야자대(1888) 대전시립박물관 소장 55

〈그림 Ⅲ-14〉 목홀(상)과 아홀(하) 소수박물관 소장 56

〈그림 Ⅲ-15〉 목화(조선 후기)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57

〈그림 Ⅲ-16〉 홍패사령 《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57

〈그림 Ⅲ-17〉 홍패사령 《담와평생도》 제1폭 〈삼일유가〉 일부 57

〈그림 Ⅲ-18〉 흑립(18~19세기) 의성김씨 학봉 종택 소장 59

〈그림 Ⅲ-19〉 풍산홍씨 희준(1761~1841) 묘 출토 철릭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59

〈그림 Ⅲ-20〉 의궤 반차도 속 사령 ①1823 『효명세자입묘도감의궤』... 60

〈그림 Ⅲ-21〉 傳 박신용(1575~1627) 장군 청철릭(18세기 추정) 개인 소장 61

〈그림 Ⅲ-22〉 남색 세조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61

〈그림 Ⅲ-23〉 녹색 세조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61

〈그림 Ⅲ-24〉 이응태(1556~1586) 묘 출토 행전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62

〈그림 Ⅲ-25〉 영친왕(1897~1970) 행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62

〈그림 Ⅲ-26〉 행전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62

〈그림 Ⅲ-27〉 피혜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63

〈그림 Ⅲ-28〉 조기영 문과 홍패(181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65

〈그림 Ⅲ-29〉 세악수 《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66

〈그림 Ⅲ-30〉 전립(조선 후기)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67

〈그림 Ⅲ-31〉 벙거지 국립익산박물관 소장 67

〈그림 Ⅲ-32〉 이연응(1818~1879) 묘 출토 소창의 경기도박물관 소장 67

〈그림 Ⅲ-33〉 군노복(1880)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68

〈그림 Ⅲ-34〉 호의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68

〈그림 Ⅲ-35〉 전대(19세기)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69

〈그림 Ⅲ-36〉 미투리(19세기)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69

〈그림 Ⅲ-37〉 세악수 《담와평생도》 제1폭 〈삼일유가〉 일부 70

〈그림 Ⅲ-38〉 1829년 『기축진찬의궤』 악공 복식 70

〈그림 Ⅲ-39〉 1809년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악공 복식 The British Library 소장 71

〈그림 Ⅲ-40〉 광대 ①《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73

〈그림 Ⅲ-41〉 재인 ①《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74

〈그림 Ⅲ-42〉 영자, 은영자 ①장숙환 2003: 99... 74

〈그림 Ⅲ-43〉 초립(조선 말기)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 소장 75

〈그림 Ⅲ-44〉 1829년 『기축진찬의궤』 공작우 75

〈그림 Ⅲ-45〉 감투 75

〈그림 Ⅲ-46〉 소모자 경기도박물관 소장 75

〈그림 Ⅲ-47〉 상모 개인 소장 75

〈그림 Ⅲ-48〉 중치막(19세기)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76

〈그림 Ⅲ-49〉 주머니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77

〈그림 Ⅲ-50〉 흑혜 소수박물관 소장 78

〈그림 Ⅲ-51〉 광대 〈산수풍속화〉 일부 78

〈그림 Ⅲ-52〉 무동 《담와평생도》 제1폭 〈삼일유가〉 일부 79

〈그림 Ⅲ-53〉 무동 〈낙남헌방방도〉 일부 79

〈그림 Ⅲ-54〉 의장군 〈산수풍속화〉 일부 80

〈그림 Ⅲ-55〉 의장군 《담와평생도》 제1폭 〈삼일유가〉 일부 80

〈그림 Ⅲ-56〉 1829년 『기축진찬의궤』 청개 80

〈그림 Ⅲ-57〉 기수건旗⼿⼱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81

〈그림 Ⅲ-58〉 소창의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82

〈그림 Ⅲ-59〉 1834년 『순조대왕국장도감의궤』 청개 의장군 82

〈그림 Ⅲ-60〉 傳 박신용(1575~1627) 장군 명주 대 개인 소장 82

〈그림 Ⅲ-61〉 이익정(1699~1782) 묘 출토 운혜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83

〈그림 Ⅲ-62〉 마부 《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83

〈그림 Ⅲ-63〉 마부 《담와평생도》 제1폭 〈삼일유가〉 일부 83

〈그림 Ⅲ-64〉 근수 《모당평생도》 제3폭 〈응방식〉 일부 85

〈그림 Ⅲ-65〉 〈안동권씨문희연도〉 개인 소장 86

〈그림 Ⅲ-66〉 《풍산김씨세전서화첩》 〈동도문희연도〉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87

〈그림 Ⅲ-67〉 급제자 ①〈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88

〈그림 Ⅲ-68〉 15세기 공복 『악학궤범』 녹초삼 89

〈그림 Ⅲ-69〉 명릉(1701) 동측 문석인 89

〈그림 Ⅲ-70〉 연령군(1699~1719) 대홍공단 공복(좌)과 남운문단 더그레(우) 89

〈그림 Ⅲ-71〉 급제자 〈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90

〈그림 Ⅲ-72〉 급제자 부친 〈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91

〈그림 Ⅲ-73〉 급제자 부친 〈동도문희연도〉 일부 91

〈그림 Ⅲ-74〉 17세기 후기 갓 〈을축갑회도〉 일부 91

〈그림 Ⅲ-75〉 의원군 이혁(1661~1722) 묘 출토 도포 경기도박물관 소장 92

〈그림 Ⅲ-76〉 홍색 세조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93

〈그림 Ⅲ-77〉 주세붕(1495~1554) 초상 소수박물관 소장 93

〈그림 Ⅲ-78〉 당상관·당하관 시복 〈중묘조서연관사연도〉 일부 94

〈그림 Ⅲ-79〉 김흠조(1461~1528) 단령 소수박물관 소장 94

〈그림 Ⅲ-80〉 이현보 금서대(1542) 농암종택 소장 94

〈그림 Ⅲ-81〉 손님 〈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95

〈그림 Ⅲ-82〉 의원군 이혁(1661~1722) 묘 출토 대창의 경기도박물관 소장 96

〈그림 Ⅲ-83〉 이만원 초상(1693)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96

〈그림 Ⅲ-84〉 의원군 이혁(1661~1722) 묘 출토 단령 경기도박물관 소장 97

〈그림 Ⅲ-85〉 손님 〈동도문희연도〉 일부 97

〈그림 Ⅲ-86〉 농암 이현보 초상(1537)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98

〈그림 Ⅲ-87〉 김흠조(1461~1528) 묘 출토 직령 소수박물관 소장 99

〈그림 Ⅲ-88〉 김흠조(1461~1528) 묘 출토 광다회 소수박물관 소장 100

〈그림 Ⅲ-89〉 광대 ①〈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②〈동도문희연도〉 일부 100

〈그림 Ⅲ-90〉 재인 〈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100

〈그림 Ⅲ-91〉 최진 묘 출토 중치막(16세기 추정) 옛길박물관 소장 101

〈그림 Ⅲ-92〉 의원군 이혁(1661~1722) 묘 출토 중치막 경기도박물관 소장 101

〈그림 Ⅲ-93〉 문관의 푯대 102

〈그림 Ⅲ-94〉 홍패 〈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103

〈그림 Ⅲ-95〉 홍패사령 〈동도문희연도〉 일부 103

〈그림 Ⅲ-96〉 나장 조건(1567) 〈희경루방회도〉 일부 104

〈그림 Ⅲ-97〉 조건(19c 후반, 좌: 앞, 우: 뒤)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104

〈그림 Ⅲ-98〉 변수(1447~1524) 묘 출토 철릭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04

〈그림 Ⅲ-99〉 악공 〈동도문희연도〉 일부 105

〈그림 Ⅲ-100〉 정온(1481~1538) 묘 출토 액주름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106

〈그림 Ⅲ-101〉 여기·동기 〈안동권씨문희연도〉 일부 107

〈그림 Ⅲ-102〉 여기 얹은머리 《탐라순력도》 〈정의양로〉 일부 107

〈그림 Ⅲ-103〉 1655년 『악학궤범』 남저고리 108

〈그림 Ⅲ-104〉 의원군 이혁 배위 안동권씨(1664~1722) 묘 출토 저고리 경기도박물관 소장 108

〈그림 Ⅲ-105〉 1655년 『악학궤범』 혜아 109

〈그림 Ⅲ-106〉 갖신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09

〈그림 Ⅲ-107〉 마부 〈동도문희연도〉 일부 110

〈그림 Ⅲ-108〉 장기정씨(1565~1614) 묘 출토 소창의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110

〈그림 Ⅲ-109〉 하인 〈동도문희연도〉 일부 111

〈그림 Ⅳ-1〉 드라마 〈꽃 피면 달 생각하고〉 1화 일부 KBS(2022) 112

〈그림 Ⅳ-2〉 앵삼(19세기)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113

〈그림 Ⅳ-3〉 드라마 〈해를 품은 달〉 1화 일부 MBC(2012) 114

〈그림 Ⅳ-4〉 드라마 〈삼총사〉 3회 일부 장면 tvN(2014) 114

〈그림 Ⅳ-5〉 드라마 〈비밀의 문〉 19회 일부 장면 SBS(2014) 115

〈그림 Ⅳ-6〉 급제자 (1987년 영화 〈성춘향〉) 115

〈그림 Ⅳ-7〉 급제자 (2000년 영화 〈춘향뎐〉) 115

〈그림 Ⅳ-8〉 급제자 (2013년 영화 〈관상〉) 115

〈그림 Ⅳ-9〉 〈세종, 인재를 뽑다〉 2017년 07월 22일 공연 116

〈그림 Ⅳ-10〉 〈다비, 아찔하게 흐르는〉 28화 일부 NAVER 웹툰 117

〈그림 Ⅳ-11〉 〈임진왜란 무명열전〉 10화 일부 국방일보 117

〈그림 Ⅳ-12〉 Google '장원급제' 이미지 검색 117

〈그림 Ⅳ-13〉 제24회 '조선시대 과거제 재현행사' 118

〈그림 Ⅳ-14〉 2019 '한개민속마을 삼일유가축제' 119

〈그림 Ⅳ-15〉 제28회 '도산별과대전' 120

〈그림 Ⅳ-16〉 제28회 '도산별과대전' 120

〈그림 Ⅳ-17〉 제17회 '대한민국 서당문화한마당' 121

〈그림 Ⅳ-18〉 2021 '찾아가는 한복문화교육' 122

〈그림 Ⅳ-19〉 국립전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2실 '선비의 살이실' 122

〈그림 Ⅳ-20〉 율곡 삼일유가 인형 율곡기념관 소장 123

〈그림 Ⅳ-21〉 삼일유가 재현 전시 천안박물관 소장 124

〈그림 Ⅳ-22〉 2020 '양주 문화재 야행(夜⾏)' 124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조선시대 과거급제 이후 행사를 정리하고, 회화 속 등장인물을 바탕으로 행사 참가자의 복식을 고찰하여 과거급제 재현행사의 올바른 복식을 도식화로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모당평생도慕堂平生圖》 〈응방식應榜式〉 · 《담와평생도淡窩平生圖》 〈삼일유가三日遊街〉와 〈안동권씨문희연도安東權氏聞喜宴圖〉 · 〈동도문희연도東都聞喜宴圖〉의 배경이 되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문헌, 회화, 유물자료를 활용하여 회화 속 인물의 복식을 연구하였다. 이후 과거급제와 관련된 재현행사의 복식 오류를 살펴보고 올바른 복식을 도식화로 제안하였다. 문헌은 조선왕조실록, 법전, 관찬서, 전례서, 개인 문집 및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였으며, 회화는 행사도, 풍속화, 초상화, 의궤 반차도 및 문헌의 도상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해당 시기의 출토복식, 기관 소장품, 전세품 등을 참고하였다.

과거시험은 실력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제도로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소과小科, 문과文科, 무과武科, 잡과雜科가 있다. 소과에 통과하면 '입격入格', 문 · 무과에 통과하면 '합격合格'이라고 하여 소과와 구분하였다.

조선시대 과거시험 합격자를 위한 행사는 방방放榜, 은영연恩榮宴, 사은례謝恩禮, 알성례謁聖禮, 유가遊街, 영친연榮親儀, 문희연聞喜讌 순으로 이루어졌다.

방방은 급제자를 발표하는 행사로 문과 급제자는 동쪽, 무과 급제자는 서쪽에 성적순으로 정렬하였으며 국왕으로부터 홍패紅牌, 어사화御賜花 등을 하사받았다. 방방이 끝나면 국가에서 축하연을 베풀어 주는데 이를 은영연이라 한다. 다음날에는 국왕이 내려주신 연회에 답례하는 사은례를 행하였으며, 그다음 날에는 성균관成均館에 있는 공자 사당을 알성하였다. 이후 급제자의 시가행진인 유가가 행해진다. 급제자의 지역 관아 수령은 급제자의 부모 등을 모시고 영친의를 베풀어 주었으며, 급제자의 집에서는 경사를 축하하기 위한 문희연을 베풀었다.

《모당평생도》와 《담와평생도》 삼일유가 속 인물을 급제자及第者, 홍패사령紅牌使令, 세악수細樂手, 광대廣大 · 재인才人, 무동舞童, 의장군儀仗軍, 마부馬夫, 근수跟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제자는 어사화御賜花를 꽂은 복두幞頭, 공복公服(녹포綠袍), 흑각야자대黑角也字帶, 흑화黑靴 차림에 목홀木笏을 들었다. 둘째, 홍패사령은 흑립黑笠, 철릭[帖裏], 세조대細絛帶, 행전行纏, 피혜皮鞋 차림에 홍패보紅牌褓를 들고 급제자의 행렬을 전도하였다. 셋째, 세악수는 삼현육각三絃六角의 형태로, 악공樂工의 평상복인 흑립, 철릭, 세조대, 행전, 피혜 차림이다. 넷째, 광대는 채화綵花와 공작우孔雀羽를 꽂은 황초립黃草笠, 금의錦衣, 중치막[中草幕], 대융大絨, 요대腰帶, 전대纏帶, 제비행전[耳行纏], 흑혜黑鞋 차림에 선자扇子를 들고 있다. 재인은 광대와 같은 차림새지만 황초립 대신 감투[甘吐]를 쓰고 있다. 다섯째, 무동은 댕기[唐只]를 드리우고 황의홍상黃衣紅裳, 미투리[麻鞋], 쥘한삼 차림으로, 급제자 행렬의 유흥을 돕는 남자아이다. 여섯째, 의장군은 자건紫巾, 청의靑衣, 홍목대紅木帶, 청목행전靑木行纏, 운혜雲鞋 차림에 청개靑蓋를 든다. 일곱째, 마부는 벙거지[翻巨知], 흑색 소창의小氅衣, 홍목대, 제비행전, 초혜草鞋를 착용하였다. 여덟째, 근수는 관원官員의 뒤를 따라다니며 시중을 드는 인물로 흑립, 철릭, 세조대, 행전, 피혜 차림에 선자를 들고 급제자의 뒤를 따르고 있다.

〈안동권씨문희연도〉와 〈동도문희연도〉 속 인물은 급제자, 급제자 부친父親, 손님, 광대 · 재인, 홍패사령, 악공, 여기女妓 · 동기童妓, 마부, 하인下人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제자는 어사화를 꽂은 복두, 공복(녹포), 흑각야자대, 흑화 차림에 목홀을 들고 있다. 둘째, 급제자 부친은 편복便服인 흑립, 도포道袍, 세조대, 피혜 차림과 관복官服인 사모紗帽, 홍단령紅團領, 품대品帶, 흑화를 착용한 경우로 나뉜다. 셋째, 손님 역시 편복인 흑립, 도포 · 대창의大氅衣, 세조대, 피혜 차림과 관복인 사모, 홍단령, 품대, 흑화를 착용하는 경우로 나뉜다. 도포와 대창의는 조선 후기 편복포便服袍으로, 16세기 편복 차림으로는 흑립, 직령直領, 광다회대廣多繪帶, 피혜 차림을 보인다. 넷째, 광대는 채화와 공작우를 꽂은 황초립, 금의, 중치막, 대융, 포백대布帛帶, 제비행전, 흑혜 차림에 삿바를 둘러 활동성을 높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재인은 광대와 같은 차림새지만 황초립 대신 감투를 쓰고 각기 다른 기예技藝를 뽐내고 있다. 다섯째, 홍패사령은 조건皁巾, 철릭, 세조대, 행전, 피혜 차림에, 홍패보를 들고 있다. 여섯째, 악공은 상복常服인 흑립, 직령 · 액주음[脥注音] · 철릭, 세조대, 행전, 피혜 차림이다. 일곱째, 여기는 상복 차림으로 얹은머리에 다양한 색상의 치마 · 저고리赤古里를 착용하고 혜아鞋兒를 신고 있으며, 연회의 가무를 담당하거나 시중을 들었다. 동기는 나이가 어린 여기로 시중을 들고 있으며, 댕기를 드리우고 녹의홍상綠衣紅裳에 혜아 차림이다. 여덟째, 마부는 흑립, 흑색 소창의, 포백대, 제비행전, 초혜 차림에, 소창의 앞섶을 뒤로 묶어 활동성을 높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아홉째, 하인은 흑립, 직령 · 액주음 · 철릭, 포백대, 제비행전, 초혜 차림에 음식 시중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본 연구는 과거급제와 관련된 재현행사의 기초를 마련하고, 실제 재현행사에서 일어나는 오류를 바로잡고 올바른 복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방방과 삼일유가에 치중된 재현행사를 문희연까지 확장하고자 토대를 마련하였다. 나아가 조선시대 과거시험과 관련된 의례 및 복식 고증,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스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