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8

Ⅰ. 서론 11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1

(1) 연구배경 11

(2) 연구목적 13

2.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 14

(1) 연구방법 14

(2) 연구구성 14

Ⅱ. 이론적 배경 16

1. 세계의 혁신 지수 (GII) 16

2. 몽골의 혁신 지수 18

3. 몽골의 창업현황 19

4. 몽골청년 및 대학생의 현황 24

(1) 몽골청년의 인구비율 24

(2) 몽골청년들의 실업 비율 25

(3) 몽골대학생의 현황 26

5. 기업가정신의 선행연구 및 개념 26

(1) 기업가정신의 선행연구 26

(2) 기업가정신의 개념 29

6. 자기효능감의 선행연구 및 개념 34

(1) 자기효능감의 선행연구 34

(2) 자기효능감의 개념 35

7. 창업의지의 선행연구 및 개념 37

(1) 창업의지의 선행연구 37

(2) 창업의지의 개념 38

Ⅲ. 연구설계 40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0

(1) 연구모형 40

(2) 연구가설 40

2. 연구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문항 43

(1) 기업가정신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문항 43

(2) 자기효능감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문항 45

(3) 창업의지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문항 45

3. 분석방법 46

Ⅳ. 실증분석 47

1. 인구통계학 특성 47

2. 신뢰도분석 48

3. 탐색적요인분석 48

4. 상관관계분석 50

5. 회귀분석 결과 50

(1) 기업가정신이 자기효능감의 가설 검정 50

(2)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가설 검정 51

(3)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정 52

Ⅴ. 결론 54

1. 연구요약 및 결론 54

2. 연구시사점 및 한계점 56

1) 연구시사점 56

2) 연구한계점 58

참고문헌 59

ABSTRACT 68

부록 70

부록 - 한국어 설문 70

부록 - 몽골어 설문 74

표목차

〈표 2-1〉 몽골의 혁신 지수 순위(2020~2022) 18

〈표 2-2〉 몽골에서 진행 중 스타트업 자금 조달 현황 22

〈표 2-3〉 몽골의 우수 스타트업 23

〈표 2-4〉 일자리 찾는 청년들의 수 25

〈표 4-1〉 인구통계학 특성의 결과 47

〈표 4-2〉 신뢰도분석 결과 48

〈표 4-3〉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9

〈표 4-4〉 상관관계분석 50

〈표 4-5〉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가설 검정 결과 51

〈표 4-6〉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가설 검정 결과 51

〈표 4-7〉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결과 53

그림목차

〈그림 2-1〉 세계혁신지수 국가 순위(TOP10) 17

〈그림 2-2〉 글로벌 혁신 지수 현황(2022) 19

〈그림 2-3〉 몽골의 7개의 GII 점수 19

〈그림 2-4〉 몽골 스타트업 생태계 20

〈그림 2-5〉 몽골 전체인구에서 젊은이들의 향후 차지할 비율 24

〈그림 2-6〉 연령대별 실업률 25

〈그림 3-1〉 연구모형 40

초록보기

 몽골국가 청년층은 대학교 졸업 후 창업이 아닌 취업선택이 높다. 그 이유는 창업은 취업보다 높은 수준의 영역으로 판단하여 대학교 졸업 후 취업을 선택한다. 취업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 청년층은 대학교 졸업 후 창업과정에서 죽음의 계곡을 극복하지 못하고 실패하면 재기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창업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하는 것보다 조직의 일부로서 정해진 시간에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청년이 많다. 이러한 현상은 몽골지역의 청년층이 기업가 정신이 다른 국가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주요 변수들을 선정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할 것이다. 둘째, 몽골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러한 영향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관련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주요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몽골 대학생 대상을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대학생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셋째.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가설검정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가설1-1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기업가정신의 진취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1-2는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1-3은 채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2-1은 채택되었다. 기업가정신의 진취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2-2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가설2-3은 채택되었다.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의 혁신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