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Ⅰ. 서론 13
1. 연구배경 및 목적 13
2. 연구방법 및 논문 구성 14
Ⅱ. 중국 중앙정부 발전전략과 신장지역 경제정책 15
1. 중국 소수민족 정책 및 발전 추세 15
(1)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기본 개요 15
(2) 중국 소수민족 경제발전 추세 16
2. 중국 변경무역 정책 및 발전 추세 19
(1) 중국 변경무역 정책의 기본 개요 19
(2) 중국 변경무역의 발전 추세 20
3. 중국 서부대개발 전략 및 발전 추세 23
(1) 중국 서부대개발 전략의 기본 개요 23
(2) 중국 서부대개발 전략의 발전 추세 25
4. 중국 일대일로 전략 및 발전 추세 29
(1) 중국 일대일로 전략의 기본 개요 29
(2) 중국 일대일로 전략의 발전 추세 31
Ⅲ. 신장지역 발전정책의 추세 및 경제적 성과 분석 33
1. 신장지역 5 개년 계획별 정책의 추세 분석 33
(1) 소수민족 정책과 신장지역 5 개년 계획의 추세 33
(2) 변경무역 정책과 신장지역 5 개년 계획의 추세 40
(3) 서부대개발 전략과 신장지역 5 개년 계획의 추세 48
(4) 일대일로 정책과 신장지역 5 개년 계획의 추세 53
2. 신장지역 경제발전 성과 및 현황 분석 59
(1) 신장지역 경제발전 추세 및 현황 분석 59
(2) 신장지역 산업구조의 현황 분석 68
(3) 신장지역 소수민족기업 발전 현황분석 82
3. 소결론 90
가. 소수민족 정책 90
나. 변경무역 정책 91
다. 서부대개발 전략 92
라. 일대일로 전략 92
마. 신장 지역의 경제발전 현황 93
Ⅳ. 신장지역 경제발전의 시사점 및 전망 95
1. 신장 경제발전의 성과 및 시사점 95
(1) 신장 경제발전의 성과 95
(2) 신장 경제발전의 시사점 96
2. 신장 경제발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98
(1) 신장 경제발전의 문제점 99
(2) 신장 경제발전의 개선방안 99
3. 신장지역의 한중 경제합작 방안 및 전망 101
Ⅴ. 결론 105
참고문헌 108
ABSTRACT 110
中文摘要 115
〈표 2-1〉 중국 중앙정부 소수민족 정책의 시기별 주요 내용 16
〈표 2-2〉 중국 중앙정부 변경무역 정책의 시기별 주요 내용 21
〈표 2-3〉 중국 중앙정부 서부대개발 정책의 시기별 주요 내용 26
〈표 2-4〉 중국 중앙정부 일대일로 정책의 시기별 주요 내용 31
〈표 3-1〉 신장 각 지역의 전체인구와 소수민족 인구 및 비율 35
〈표 3-2〉 5 개년 계획별 신장지역 소수민족 정책과 주요 성과 36
〈표 3-3〉 신장 남부지역 특색 임과 생산량 및 성장 속도 (2022) 39
〈표 3-4〉 5 개년 계획별 신장지역 변경무역 정책과 주요 성과 40
〈표 3-5〉 호르고스 보세구의 화물 운송량 및 성장 속도 (2022) 41
〈표 3-6〉 신장의 국가별 수입액 (2000~2022) 43
〈표 3-7〉 신장의 국가별 수출액 (2000~2022) 46
〈표 3-8〉 5 개년 계획별 신장지역 서부대개발 정책과 주요 성과 49
〈표 3-9〉 5 개년 계획별 신장지역 일대일로 정책과 주요 성과 53
〈표 3-10〉 신장과 카자흐스탄의 주요 인프라 투자항목 및 금액 56
〈표 3-11〉 중국과 러시아 가스관 통해 천연가스 수입량 58
〈표 3-12〉 신장지역의 FDI 산업별 금액 (2000~2022) 66
〈표 3-13〉 신장 지역의 주요 공업 제품 생산량 및 성장 속도 (2022) 76
〈표 3-14〉 신장지역 주요 10 개 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2022) 77
〈표 3-15〉 신장지역 여객 운송량 및 성장 속도 (2022) 79
〈표 3-16〉 신장지역의 소수민족 운영중인 기업 수 (2000~2022) 82
〈표 3-17〉 신장지역 소수민족기업의 업종 및 생산액(2000~2022) 84
〈표 3-18〉 신장정부의 소수민족기업에 대한 보조금액 (2000~2022) 86
〈그림 2-1〉 일대일로 노선도 29
〈그림 3-1〉 신장지역의 소수민족 분포도 34
〈그림 3-2〉 소수민족 지역 총생산 및 성장률 (2015~2020) 37
〈그림 3-3〉 신장 남부 곡물 생산량 및 성장률 (2015~2020) 38
〈그림 3-4〉 신장지역의 수출입 금액 (2000~2022) 42
〈그림 3-5〉 신장의 국가별 수입액 (2000~2022) 45
〈그림 3-6〉 신장의 국가별 수출액 (2000~2022) 47
〈그림 3-7〉 신장지역 각 산업의 GDP에 차지하는 비중 (2000~2022) 49
〈그림 3-8〉 서기동수(西气东输) 노선도 51
〈그림 3-9〉 신장지역의 서기동수 가스 운송량 (2000~2022) 52
〈그림 3-10〉 신장지역의 FDI 금액 (2000~2022) 54
〈그림 3-11〉 신장과 일대일로 연선 주요국가의 월별 인프라 투자금액 56
〈그림 3-12〉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 노선도 57
〈그림 3-13〉 중국과 러시아 가스관 서선 노선도 58
〈그림 3-14〉 신장 지역총생산 (2000~2022) 59
〈그림 3-15〉 신장 주요 도시의 지역총생산 (2000~2022) 60
〈그림 3-16〉 신장지역의 지역 1 인당 GDP (2000~2022) 61
〈그림 3-17〉 신장의 주요 도시의 1 인당 GDP (2000~2022) 62
〈그림 3-18〉 도시 신규 취업자 수 (2018~2022) 63
〈그림 3-19〉 신장의 고정자산투자금액 (2000~2022) 64
〈그림 3-20〉 우루무치 부동산 GDP (2014~2020) 65
〈그림 3-21〉 신장지역의 FDI 금액 (2000~2022) 65
〈그림 3-22〉 신장지역의 FDI 산업별 금액 (2000~2022) 67
〈그림 3-23〉 신장지역 각 산업의 GDP에 차지하는 비중 (2000~2022) 68
〈그림 3-24〉 신장지역 산업별 부가가치 (2000~2022) 69
〈그림 3-25〉 신장지역의 곡물 생산량 (2000~2022) 71
〈그림 3-26〉 신장지역의 면화 생산량 (2000~2022) 72
〈그림 3-27〉 신장지역 농업 부가가치 (2000~2022) 73
〈그림 3-28〉 신장지역 공업 부가가치 (2000~2022) 74
〈그림 3-29〉 신장지역 규모 이상 공업 중 주요 업종 부가가치 비중 (2022) 78
〈그림 3-30〉 신장지역의 건설업 부가가치 및 성장률 (2018~2022) 78
〈그림 3-31〉 신장지역의 소비재 소매 총액과 성장 속도 (2018~2022) 80
〈그림 3-32〉 신장지역 3 차산업 부가가치 (2000~2022) 81
〈그림 3-33〉 신장지역의 소수민족기업 증가 추세 (2000~2022) 82
〈그림 3-34〉 신장 소수민족기업의 업종 및 생산액 (2000~2022) 85
〈그림 3-35〉 소수민족기업 지원금액 및 세금 면제금액(2000~2022) 87
〈그림 3-36〉 신장정부 공공예산 수입 (2000~2022) 87
〈그림 3-37〉 신장 소수민족주민 1 인당 평균 소득 (2000~2022) 88
〈그림 3-38〉 소수민족지역 주민 1 인당 소비지출 및 구성 (2022) 89
〈그림 3-39〉 신장지역의 한중 경제합작에 SWOT 분석 102
본 연구에서는 신장경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주요 전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중국 소수민족 정책은 근본적으로 중국내 '소수민족' 또는 '소수민족지구'라는 중국 내 특정한 민족 또는 경제공동체에 적용되는 정책이다.
각 소수민족의 경제활동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산업에서도 민족 간에는 독특하고 상이한 생산 방식을 가지고 있다.
소수민족 정책 덕분에 최근 몇 년 동안 신장의 경제사회 발전은 안정적인 보조금 등의 지원 하에, 소수민족 인재 양성, 투자 유치, 기업 활성화를 비롯한 인구의 꾸준한 증가에 기여하였다.
둘째, 국가는 국경도시와 접경국가의 국경도시 간 무역과 국경주민 상호시장 무역에 대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여 특혜와 편의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조치는 국무원이 규정한다.
변경 무역정책 시행 후 신장 국경지역을 거점으로 한 주변 중앙아시아 국가 등 변경무역 활성화, 신장지역의 급속한 경제성장 등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서부대개발 전략을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하였고, 1999 년 11 월 중국 공산당 중앙·국무원은 경제공작회의를 열어 2000 년부터 서부대개발 전략을 중국의 주요 국가발전전략으로 추진하였다.
신장은 중국 서부지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부대개발 전략의 주요 거점지구이다. 서부대개발 전략 시행 이후 신장지역의 2 차산업 성장속도는 빠르게 상장하였고, 이는 신장지역의 천연자원 우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또한 서부대개발 전략을 바탕으로 서부지역 가스를 동부지역으로 수송하는 서기동수(西气东输)를 추진하였다. 즉 서부지역의 자원 및 에너지를 동부지역이 활용하고, 동부지역 발전 성과에 따른 국가재정의 증가를 바탕으로 서부지역에 재정 투융자를 확대하는 등 동부 및 서부 지역의 상생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거시적 지역경제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하였다.
넷째, 일대일로(BRI: The Belt and Road Initiative)는 실크로드 육로 경제벨트와 해상 실크로드의 약자로 2013 년 9 월과 10 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각각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21 세기 해상 실크로드' 건설을 위한 협력 제안서를 제출했다.
이 정책에 따라 신장은 아시아·유럽 대륙의 경제무역 중심지가 되는 중요한 거점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고, 신장지역 경제통계를 보면, 2013 년부터 서북 지역 경제성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GDP 성장률도 중국 전체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장의 지역경제 특성과 전략적 위치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신장의 지역경제 특성과 전략적 위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 미래 신장의 경제발전을 전망하여 신장의 지역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발전규모와 발전속도 모두 실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신장 지역은 석유 및 석탄, 천연가스 등 자원 및 에너지 매장량이 풍부하고, 중국 대외발전 전략상에서 중요한 지경학적 우세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신장지역의 발전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경제 총량과 발전 속도는 중국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신장의 경제발전 속도 향상과 발전의 질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신장 지역의 경제 특성과 전략적 위상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소수민족 경제정책 전략, 변경무역정책, 서부대개발 전략, 일대일로 전략이 신장지역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신장지역 경제발전 현황의 주요 특징과 중장기 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신장지역 경제발전의 전략적 과제, 그리고 한국과 신장지역의 국제합작 가능성 및 전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