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1. 연구의 배경 7

2. 연구의 목적 8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의 방법 9

제2장 베트남·한국 FTA의 배경과 주요내용 10

제1절 베트남·한국 FTA의 체결배경과 과정 10

1. FTA와 베트남·한국 FTA 10

2. 베트남·한국 FTA의 체결배경 12

3. 베트남 - 한국 FTA의 체결과정 13

제2절 베트남·한국 FTA의 의의와 중요성 14

1. 베트남 - 한국 FTA의 의의 14

2. 베트남·한국 FTA의 중요성 15

제3절 베트남·한국 FTA의 주요내용 16

1. 상품의 관세철폐 16

2. 서비스-투자 17

3. 규범-경제협력 20

4. 농산물 21

5. 수산물 23

제3장 베트남·한국 FTA 발효에 따른 무역현황과 평가 24

제1절 베트남과 한국의 상품무역 현황 24

1. 양국의 상품무역 현황 24

2. 베트남과 한국의 수출 구조 27

제2절 베트남과 한국의 서비스 무역 현황 32

1. 베트남과 한국의 서비스 무역의 현황 32

2. 서비스 무역 분야별 현황 39

제3절 평가 및 시사점 42

제4장 베트남·한국 FTA에 따른 무역증진 방안 45

제1절 베트남과 한국의 무역협력 전망과 증진방향 45

1. 베트남과 한국의 무역협력 전망 45

2. 베트남과 한국 무역증진 방향 47

제2절 베트남과 한국의 무역증진 방안 48

1. 국가적 측면의 증진방안 48

2. 기업적 측면의 증진방안 55

제3절 미시적 측면에서의 무역증진 방안 58

1. 법률 정책 시스템 개선 및 거시경제 안정화 58

2. 규제기관 간 연계 강화 59

3. 서비스 무역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계획수립 59

4.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지원 메커니즘 창출 60

5. 상품 및 서비스의 무역 진흥 강화 61

제5장 결론 63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63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66

참고문헌 67

국문 초록 69

ABSTRACT 70

표목차

〈표 1〉 VKFTA와 AKFTA 관세 비교 17

〈표 2〉 베트남·한국 FTA 농산물 양허변경 내용 22

〈표 3〉 베트남 상품 수출액 25

〈표 4〉 베트남-한국 수출입 금액 비교 27

〈표 5〉 한국 시장에서 베트남의 10대 수입품 28

〈표 6〉 한국의 대 베트남 수출 상위 품목 29

〈표 7〉 수출방식별 서비스의 중간 정도 34

그림목차

〈그림 1〉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 구조 28

〈그림 2〉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 구조(2015) 28

〈그림 3〉 베트남의 한국 수출품 항목 30

〈그림 4〉 베트남의 한국 수출품 항목(2015) 32

〈그림 5〉 2019년 베트남의 서비스 구조 33

〈그림 6〉 베트남의 서비스 수출 구조 37

초록보기

 한국은 베트남의 전략적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실루엣, 문화, 기업가정신, 제품, 서비스 등 베트남의 경제적 삶의 많은 측면은 한국에서 비롯되었으며, 많은 한국 기업들은 그들의 시장 진출 기회를 잘 활용해 왔습니다.

한편,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여 한국 상품과 서비스의 초확산 현상을 줄이고 있습니다.

VKFTA 협정은 양국간의 무역 협력 측면에서 새로운 장을 열기를 희망하며 2015년에 체결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0년 전 FTA 체결된 이후 양국간 무역 현황을 평가하고, 베트남-한국 FTA에 따른 양국간 무역 활성화 방안을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