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범위 18
1. 연구의 범위 18
2. 연구 대상지 개요 19
제3절 연구의 과정 및 방법 21
제2장 이론 고찰 23
제1절 오브제(Objet)의 이해 23
1. 오브제의 개념 23
2. 기타 분야에서의 오브제 활용 28
3. 오브제 표현특성 연구 31
제2절 정원 오브제의 이해 36
1. 정원 예술성의 역사 36
2. 예술 정원의 오브제 개념 38
3. 예술 정원의 오브제 범위 40
제3절 정원박람회의 이해 42
1. 정원박람회의 개요 42
2. 정원박람회 작가정원 45
3. 작가정원의 오브제 표현특성 47
제4절 소결 50
제3장 분석 방법 52
제1절 연구 대상지 선정 52
1. 연구 대상지 선정 52
2. 연구 대상지 선정 기준 65
제2절 분석 방법 66
1. 분류 기준 66
2. 분석 방법 77
제4장 작가 정원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79
제1절 작품별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79
1. LH가든쇼 작품별 표현특성 분석 79
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작품별 표현특성 분석 88
제2절 오브제 표현특성 별 교차 분석 98
1.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98
2. 범주형 자료의 교차 분석 126
제5장 결론 134
제1절 연구의 요약 134
1. 요약 134
제2절 연구의 의의 138
1. 이론적 의의 138
2. 실천적 의의 138
제3절 연구의 결론 및 제언 140
1. 결론 및 후속 연구 제언 140
참고문헌 142
Abstract 146
〈그림 1-1〉 대상지 위치도 17
〈그림 1-2〉 연구의 과정 22
〈그림 3-1〉 LH가든쇼 Brand Identity 52
〈그림 3-2〉 제1회 LH가든쇼 포스터 54
〈그림 3-3〉 제2회 LH가든쇼 포스터 56
〈그림 3-4〉 제3회 LH가든쇼 포스터 58
〈그림 3-5〉 제8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포스터 60
〈그림 3-6〉 제9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포스터 62
〈그림 3-7〉 제10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포스터 64
〈그림 4-1〉 LH가든쇼 재료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98
〈그림 4-2〉 LH가든쇼 기능 및 역할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99
〈그림 4-3〉 LH가든쇼 형태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0
〈그림 4-4〉 LH가든쇼 색채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1
〈그림 4-5〉 LH가든쇼 질감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2
〈그림 4-6〉 LH가든쇼 배치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3
〈그림 4-7〉 LH가든쇼 크기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4
〈그림 4-8〉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재료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5
〈그림 4-9〉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기능 및 역할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6
〈그림 4-10〉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형태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7
〈그림 4-11〉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색채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8
〈그림 4-12〉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질감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09
〈그림 4-13〉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배치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10
〈그림 4-14〉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크기 구성 비율 연도별 비교분석 111
〈그림 4-15〉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재료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2
〈그림 4-16〉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기능 및 역할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3
〈그림 4-17〉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형태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4
〈그림 4-18〉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색채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5
〈그림 4-19〉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질감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6
〈그림 4-20〉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배치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7
〈그림 4-21〉 LH가든쇼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크기 구성 비율 비교분석 118
〈그림 4-22〉 재료 구성 비율 분석 119
〈그림 4-23〉 기능 및 역할 구성 비율 분석 120
〈그림 4-24〉 형태 구성 비율 분석 121
〈그림 4-25〉 색채 구성 비율 분석 122
〈그림 4-26〉 질감 구성 비율 분석 123
〈그림 4-27〉 배치 구성 비율 분석 124
〈그림 4-28〉 크기 구성 비율 분석 125
최근 정원문화 확산 추세가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다양한 정원박람회가 생겨나고 특히 정원이나 조경 관련 전문가들이 공모에 당선되어 조성되는 작가정원은 정원박람회의 중요한 테마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박람회 작가정원 디자인의 맥락에서 정원 시설물을 실용성과 함께 심미적 가치를 지닌 오브제로 인식하는 오브제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작가정원 오브제의 재료, 기능, 형태, 질감, 색채, 배치, 크기의 표현특성을 분석한 후 표현특성 간의 교차 분석을 통해 표현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진행은 오브제와 관련된 기타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오브제 표현특성을 정리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 기준의 틀을 제시하고 체크리스트에 의거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작가정원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을 연도별, 박람회별로 분석하고 교차 분석을 통한 연관성 확인 및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분석된 작가정원에 나타난 오브제 개념과 표현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원 오브제는 정원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서 편의성 기능과 미적 감각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표현되어 정원을 총체적인 예술 작품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둘째, 정원의 오브제 표현특성은 재료, 기능 및 역할, 형태, 색채, 질감. 배치, 크기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오브제 표현특성의 구성 비율을 보면 재료는 면적당 조성 단가가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시공비가 높은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안전성의 문제로 유리 재료는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 및 역할과 형태는 박람회가 유치되는 장소에 따른 영향을 받고 색채와 질감 등은 재료 물성의 영향을 받으며 휴먼스케일보다 크게 제작되어 정원 조성에 중심이 되면서도 주변에 배치되어 식물들의 감상에 도움이 되어 오브제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오브제 표현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한 후 크래머의 V값을 비교한 결과, 연관성의 강도는 질감-재료, 색채-재료, 배치-기능 및 역할, 크기-기능 및 역할, 형태-색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브제의 영역을 종합적으로 보는 틀을 제시하고 도출된 표현특성을 분석 대상에 대입함으로써 오브제 현재의 위상과 경향을 보여주며 정원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고취하고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디어 개발을 촉진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