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Contents

국문요약 10

ABSTRACT 12

Ⅰ. Introduction 14

1. Research purpose 14

2. Research significance 17

3. Research methods and scope 19

4.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research 21

1) Domestic research status 21

2) Foreign research status 24

Ⅱ. Aesthetic modernity 40

1. Modernity 40

2. Aesthetic Modernity 41

3. Specific manifestations of aesthetic modernity 43

4. Video art 44

1) The rise, connotation, and origin of video art 44

2)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ypes of video art 48

Ⅲ. Research framework 50

1. Analysis criteria 50

2. Analysis object 56

Ⅳ. Korean video art 58

1. The premise and development of Korean video art 58

2. Analysis of the creation of major Korean artists 62

1) Nam June Paik 62

Ⅴ. Chinese video art 96

1. The premise and development of Chinese video art 96

2. Analysis of the creation of major Chinese artists 105

1) Zhang Peili 106

2) Qiu Zhijie 124

Ⅵ. Comparison of video art between Korea and China 142

1. Aesthetic characteristics 144

2. Cultural characteristics 147

3. National characteristics 149

Ⅶ. Comprehensive analysis 152

Ⅷ. Conclusion 162

Appendix_Explanation of main video works 168

Reference 174

List of Tables

〈Table 1〉 Summary of Previous Studies 36

List of Figures

[Figure 1] 1960 Etude for Piano Forte by Nam June Paik 62

[Figure 2] John Cage and Nam June Paik (Left); 1951 Imaginary Landscape No. 4 by John Cage (Right) 66

[Figure 3] 1963 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Mouth by Nam June Paik 67

[Figure 4] 1963 TV Clock by Nam June Paik 68

[Figure 5] From left, John Lennon, Yoko Ono, Nam June Paik and Shuya Abe pose in front of the Paik-Abe Video Synthesizer. 70

[Figure 6] 1969 TV Bra for Living Sculpture by Nam June Paik & Moorman (Left); 1971 TV Cello by Nam June Paik & Moorman (Right) 72

[Figure 7] Performance of Nam June Paik and Morman 74

[Figure 8] 1973 Global Groove by Nam June Paik 81

[Figure 9] 1974 TV Garden by Nam June Paik 82

[Figure 10] 1962 Zen for Head by Nam June Paik (Left); 1965 Walk for Zen by Nam June Paik (Right) 90

[Figure 11] 1974 TV Buddha by Nam June Paik 91

[Figure 12] 1982 Good Morning Mr.Orwell by Nam June Paik 94

[Figure 13] 1988 30x30cm by Zhang Peili 108

[Figure 14] 1988 Brown Book No.1 by Zhang Peili (Left); 1998 Report on Hepatitis A by Zhang Peili (Right) 111

[Figure 15] 1991 Character (Wei) No.3 by Zhang Peili 114

[Figure 16] 1991 Water Cihai Standard Edition by Zhang Peili (Left); 1992 Children's Paradise by Zhang Peili (Right) 116

[Figure 17] 1996 Uncertain Pleasure by Zhang Peili 118

[Figure 18] Details of Uncertain Pleasure 120

[Figure 19] 1996 Focal Length by Zhang Peili 120

[Figure 20] Details of Focal Length 121

[Figure 21] 2008 Rafale by Zhang Peili 123

[Figure 22] 1990-1995 Repeating the Preface to the Orchid Pavilion a Thousand Times by Qiu Zhijie 130

[Figure 23] 1994 Public Life by Qiu Zhijie (Lift); 1995 Bathroom by Qiu Zhijie (Right) 135

[Figure 24] 1996 Object by Qiu Zhijie 137

초록보기

 비디오 예술은 20세기 60년대의 서양 국가에서 탄생하였다. 반텔레비전 매체는 현대주의 예술에서 후현대주의 예술로 변환되는 시점에 처해있으며 시작 근원중의 하나이다. 비디오 아트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보급됨에 따라 서로 다른 국가와 지역은 비디오 아트의 현지화 과정에서 각자의 독특한 문화 스타일과 심미적 특징을 형성하였다. 한국과 중국은 아시아 현대 예술의 활약적인 지역 중 하나로서 비디오 예술에 대한 적응과 발전에서 서로 다른 이해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한중 양국의 비디오 예술이 서로 다른 발전 단계에서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양국의 정치, 문화와 역사 차이, 그리고 현대 예술 발전사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비디오 예술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양국의 문화 배경과 현대 예술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양국의 비디오 예술이 서로 다른 발전 단계에서의 특징과 공통성을 정리하며 미학적 측면에서 백남준, 장배력과 구지걸 등 대표적인 예술가들의 창작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서로 다른 언어 환경에서 그들의 작품적 의미를 돋보이게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미학의 현대성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현대성에 대한 해체와 미학의 현대성에 대한 논술을 통해 미학의 현대성을 이론적 틀로 확정하고 한국과 중국의 비디오 예술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양국의 문화의 동일한 시작근원과 차이성을 탐구하여 양국 비디오 예술이 서로 다른 발전 단계에서의 미학적 특징과 정신적 의미를 정리하고자 한다. 비교 연구 단계에서 본 논문은 미학적 특징, 문화적 특징과 민족적 특징 등 세가지 측면에서 한중 양국 비디오 예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했으며 대표적인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비디오 예술이 개인 매체, 예술 형식과 현대주의, 후현대주의 문화활동 등 분야의 특징과 발전 추세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비교 결과를 정리분석하고 비디오 예술이 현대 사회에 대한 반성과 도전을 분석함으로써 양국 현대 예술의 발전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전 세계 예술 문화 교류를 추진하는데 참고하고 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