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제3절 연구의 내용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퍼스널컬러 19
1. 퍼스널컬러 시스템(personal color system) 19
2. 퍼스널컬러의 기본 요소 20
3. 퍼스널컬러의 유형 23
제2절 향(fragrance) 26
1. 향의 정의와 기능 26
2. 향의 분류 28
3. 향의 이미지 39
제3절 DIY 핸드크림 44
1. 핸드크림 44
2. DIY 핸드크림 47
제4절 선행연구 48
제3장 연구방법 51
제1절 연구대상 51
제2절 연구재료 52
1. 향 후각 감성 52
2. 퍼스널컬러 진단 62
3. 향 선호도 조사 65
4. 설문 구성 69
제3절 연구절차 71
제4절 자료분석 72
제4장 결과 및 고찰 73
제1절 향 후각 감성 이미지 73
1. 향의 연상 이미지 73
2. 따뜻한 이미지의 향 109
3. 차가운 이미지의 향 116
제2절 퍼스널컬러와 향 122
1. 퍼스널컬러 진단 유형 122
2. 향의 선호도 125
3. 퍼스널컬러와 향의 선호도 관계 127
제3절 퍼스널컬러와 DIY 핸드크림 향 130
1.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 130
2. 퍼스널컬러와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 관계 131
3. 향과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 비교 133
제5장 결론 및 제언 142
참고문헌 145
부록 153
〈부록 1〉 New freshness Perfume Main accords 153
〈부록 2〉 170
국문초록 174
〈그림 1-1〉 연구 흐름도 18
〈그림 2-1〉 고바야시 형용사 이미지스케일 42
〈그림 2-2〉 IRI 형용사 이미지스케일 43
〈그림 3-1〉 Olfactive pyramid 53
〈그림 3-2〉 IRI Hue & Tone 120 System 색지 표기 54
〈그림 3-3〉 Base 유형 컬러 진단천 64
〈그림 3-4〉 사계절 유형 컬러 진단천 64
〈그림 3-5〉 18가지 향 계열 향료 67
〈그림 4-1〉 Spicy 이미지 109
〈그림 4-2〉 Woody 이미지 110
〈그림 4-3〉 Powdery 이미지 111
〈그림 4-4〉 Oriental 이미지 112
〈그림 4-5〉 Amber 이미지 113
〈그림 4-6〉 Gourmand 이미지 114
〈그림 4-7〉 Leather 이미지 115
〈그림 4-8〉 Citrus 이미지 116
〈그림 4-9〉 New freshness 이미지 117
〈그림 4-10〉 Aromatic 이미지 118
〈그림 4-11〉 Green 이미지 119
〈그림 4-12〉 Aldehyde 이미지 120
〈그림 4-13〉 Marine 이미지 121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현대인들은 타인과 다른 자신만의 정체성(identity)을 추구하고자 하며 자신의 이미지와 개성에 어울리는 것을 선호하고 선택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퍼스널컬러 유형과 향 선호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개인에게 어울리는 DIY(Do it yourself) 핸드크림 향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각자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이 시대에 퍼스널컬러에 어울리는 향 이미지를 체계화시키며, 향을 활용한 핸드크림 선택의 기본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향의 노트별 분류와 조합을 통하여 구성한 18가지 향 계열의 후각 감성에 따른 이미지를 따뜻한 이미지와 차가운 이미지로 분석하였다. 또한 20세 이상의 성인 중 향에 대한 전문적 특성을 가진 30명을 대상으로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향의 선호도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2023년 3월 9일부터 4월 8일까지 진행하였다. 설문지의 측정항목은 총 57문항이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5점 리커트 척도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 후각 감성 이미지 분석 결과 Spicy, Woody, Powdery, Oriental, Amber, Gourmand, Leather의 7가지 향 이미지는 이미지스케일 상에 위치시킨 결과 따뜻한(warm) 축에 가깝게 나타났다. 또한 Citrus, New freshness, Aromatic, Green, Aldehyde, Marine의 6가지 향 이미지는 이미지스케일 상에 위치시킨 결과 차가운(cool) 축에 가깝게 나타났다.
둘째, 퍼스널컬러와 향의 선호도 관계 분석 결과 퍼스널컬러 warm tone은 Musk, Citrus, Marine, Woody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퍼스널컬러 cool tone은 Citrus, Aromatic, Woody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여 warm tone과 cool tone이 warm 향과 cool 향을 모두 포함하며,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퍼스널컬러와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 관계 분석 결과 퍼스널컬러 warm tone은 Woody, Aromatic, Citrus, Gourmand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퍼스널컬러 cool tone은 Woody, Aromatic, Citrus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한편 향과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 비교 분석 결과 향의 선호도는 Citrus, Woody, Aromatic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는 Woody, Aromatic, Citrus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여, 3가지가 일치하였지만 순서의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넷째, DIY 핸드크림 향의 선호도 분석 결과 따뜻한 이미지의 향은 Woody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차가운 이미지의 향은 Aromatic 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퍼스널컬러 warm tone 유형은 Woody의 따뜻한 이미지의 향이, 퍼스널컬러 cool tone 유형은 Aromatic의 차가운 이미지의 향이 어울릴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상의 결과로 퍼스널컬러 유형이 선호하는 향의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개인의 취향과 맞는 향 선택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 향과 핸드크림에 첨가된 향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어 향의 사용방법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퍼스널컬러에 따른 향 선호도는 개인적인 요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개인의 스타일과 이미지를 연출하고자 할 때 퍼스널컬러와 향을 모두 고려하며,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맞춤형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