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Ⅰ.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11
2. 기존 연구 현황 13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21
Ⅱ. 1945년 이후 일본과 한국의 영양주의 정착 과정 27
1. 일본의 영양 정책과 영양 담론 27
1.1. GHQ/SCAP의 영양정책 29
1.2. 쌀 의존적 식습관이라는 문제 43
1.3. 주권 회복 이후의 영양 정책: 대용미 보급 사업을 중심으로 51
2. 한국의 영양 및 식생활 개선 운동 70
2.1. "영양보다 식량을" : 해방 후부터 한국전쟁까지 한국의 영양 70
2.2. 한국전쟁 이후 영양에 관한 인식 변화 89
2.3. 조리사 자격제도: 영양의 일상화를 위한 행위자의 탄생 102
Ⅲ. 영양을 통한 팍스 아메리카나 128
1. 영양의 국민화 128
1.1. 20세기 초 미국 영양학의 발전 128
1.2. 제2차 세계대전과 '국방을 위한 영양' 135
2. 영양의 지구화와 냉전 141
2.1. 배경: 1945년 이후 영양에 관한 인식의 변화 141
2.2. 공산주의의 방파제로서 영양 145
3. 자유진영을 위한 '영양 우산' 147
3.1. ICNND의 설립과 영양 조사의 중요성 147
3.2.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ICNND의 아시아 활동 156
Ⅳ. 일본과 한국의 민족음식 만들기 172
1. '일본형식생활'의 형성과정을 통해 본 민족음식 담론의 공식화 173
1.1. 일본 식단의 "고도화"와 그 반작용 173
1.2. 음식문화에 대한 민족 담론의 개입: 세계식량위기와 포경 논쟁 183
1.3. 영양 담론의 재구성: '일본형식생활'의 형성과 이후의 변화 201
2. 조선 왕실 음식과 '오천 년 역사' : 한국 민족음식 담론의 형성 및 수렴 과정 216
2.1. 황혜성과 조선왕조 궁중음식 216
2.2. 한국 음식의 민족주의적 해석 223
2.3. 민족 담론과 영양 담론의 결합 236
2.4. 민족음식 서사의 통일과 공식화 248
Ⅴ. 결론 262
부록 266
〈부록 1〉 1953년 한국군 급식의 영양 평가 요약 266
〈부록 2〉 1953년 한국군의 영양 관련 질환 발현 비율 267
〈부록 3〉 1954년부터 1956년까지 한국 주요 상품별 수입량 및 금액 268
참고문헌 269
ABSTRACT 283
〈그림 1〉 키친카의 조리 시연 장면과 구조도 66
〈그림 2〉 만화 「상품」 99
〈그림 3〉 『육식망국론』 (1974)의 삽화 181
〈그림 4〉 신문에 실린 쌀 소비 독려 광고(1975) 188
〈그림 5〉 인종차별의 문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 192
〈그림 6〉 와쇼쿠의 과학성 214
〈그림 7〉 신선로 담는 법 235
〈그림 8〉 팔도미락정의 간판 254
본 논문는 현대 음식문화의 핵심적인 요소인 '영양주의(nutritionism)'가 미국과 일본, 한국을 포함하는 트랜스퍼시픽 공간에서 어떻게 형성, 보급, 전용되었나를 조명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며 영양은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 국방이라는 국가적 문제의 영역으로 진입하였다. 1945년 이후 미국은 독일·일본의 군정 통치와 대만·한국의 군사 분쟁 개입을 거치며 냉전의 승리를 위해서는 세계에 영양을 보급해야 한다는 인식을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각성은 전담 기관의 설치와 그를 통한 현지 영양 조사로 이어졌다. 이 과정을 거치며 식품 선택에 있어 영양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태도가 지구적 범위로 확산하였고, 그 결과 세계의 음식문화 또한 빠른 속도로 변모하였다. 동아시아도 예외가 아니었으며 특히 트랜스퍼시픽 공간의 일본과 한국은 식생활의 급변을 겪은 국가였다. 쌀을 주요 식품으로 소비하는 두 국가의 식단은 밀과 육류, 유제품을 주요 식품으로 둔 서양의 영양학과 조우하며 다양한 진통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영양은 식생활의 서양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활용되는 동시에, 기존 식생활을 옹호하는 근거로 전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세 층위(layer)로 구성되었다. 첫 번 층위는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의 일본과 한국의 식생활 '개선'으로, 어떻게 일본과 한국 식생활이 영양이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재편되는가를 확인한다. 1945년 이후 일본과 한국은 국가 주도의 영양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이는 지식인 집단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두 국가의 영양 정책은 명확한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바로 미국의 식생활을 본받아 미국인의 영양수준에 도달하는 것이었다. 이제 국민의 열량 섭취량 대부분을 차지하는 쌀(백미)의 섭취를 줄이고, 동물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를 늘려야 했다. 이와 같은 식습관의 전면적인 개조를 위해 '우수한 밀, 열등한 쌀', '우수한 동물단백질, 열등한 식물단백질'과 같은 식품 간 위계화가 시작되었다. 저신장·근육량 부족·저지능 등 신체적 자질의 문제는 물론이고 패전·피지배까지도 그릇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 섭취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는 담론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담론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그에 따라 두 국가의 식생활은 빠르게 변모하였다.
두 번째는 미국이 냉전의 승리를 위한 수단으로 영양을 활용하게 된 과정과 그 구체적인 양상을 한국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는 층위다. 냉전 초기 약 10년간 미국은 자유진영의 동맹국 군대의 전투 수행 능력을 훼손하는 영양 문제를 포착하고, 중립국의 기아 및 영양결핍이 공산주의의 이데올로기적 확장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영양을 활용한 소련 봉쇄를 목적으로 하는 '국방을 위한 부처 간 영양위원회(이하 ICNND)'가 1955년 창설되었다. ICNND는 1956년부터 1966년까지 총 30개 국가에서 영양 조사를 시행하고, 영양수준 증진을 위한 자문 활동을 수행하며 세계의 영양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동아시아, 특히 한국은 ICNND가 지속적인 관심을 보인 국가였다. ICNND는 1956년 한국 영양 조사와 수년에 걸친 후속 조사, 자문, 교육 활동 등을 통해 한국군의 급식체계를 정비하였으며 한국의 '바람직한' 식단을 만들어내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한편,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개최한 극동영양회의(Far East Symposium on Nutrition)는 ICNND가 국방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자유진영의 연대를 강화하는 영양 전략을 구사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세 번째는 영양주의의 전용(appropriation)을 분석하는 층위다. 일본과 한국은 영양주의에서 서양중심적 특징을 배제하고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미국의 영양 전략은 해외 영양 조사가 중단된 1960년대 중반부터 축소되어 1970년대에는 종료된 것과 다름없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영양주의는 더욱 강화되었고, 트랜스퍼시픽 공간의 식생활과 음식문화에 깊이 뿌리내렸다. 일본과 한국에서 영양주의의 실천이라 간주했던 식생활의 서양화는 1960년대 후반부터 민족정체성의 구성 요소로 음식문화를 해석하는 시각과 충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서양식 식생활에 대한 반감은 미국식 식단을 비판하는 1970년대 의학계의 새로운 경향과 민족문화를 활용한 일본과 한국의 국민국가 만들기로 인해 가속되었다. 그 결과, 영양주의는 전용되어 '민족음식'이라는 상상된 담론의 가치를 증명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냉전 시기 영양이라는 지식/담론/이데올로기의 뒤얽힌 역사를 조명한다. 트랜스내셔널한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미국의 '국방을 위한 영양' 담론은 냉전 전략으로 활용되어 트랜스퍼시픽 공간의 새로운 상호작용을 촉발하였다. 일본과 한국은 미국의 영양 전략을 통해 확산된 영양주의를 활용하여 국민영양수준의 향상과 민족음식 만들기라는 국가적 기획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는'건강한 국민', '우수한 민족'을 창출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국민국가라는 상상의 공동체를 강화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