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5

3. 용어의 정의 15

가. 영아의 적응 15

나.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 15

Ⅱ. 이론적 배경 16

1. 신입 원아 16

가. 신입 원아의 개념 16

나. 신입 원아의 발달 특성 17

2.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 22

가.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개념 22

나.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특성 23

다.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구성 24

3.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7

가. 내적 요인 27

나. 외적 요인 34

4. 선행연구 고찰 39

Ⅲ. 연구방법 48

1. 연구개요 48

2. 연구현장 50

가. H 어린이집 50

나. H 어린이집 0세 반, 1세 반 환경구성 51

다. H 어린이집 0세 반, 1세 반 하루 일과 52

라.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 53

3. 연구참여자 57

가. 교사 57

나. 영아 59

다. 부모 62

4. 자료수집 64

가. 면접을 위한 질문목록 64

나. 문서 자료 수집 67

5. 자료분석 67

6. 연구윤리 71

Ⅳ. 연구결과 72

1.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의미는 어떠한가? 72

가. 적응 73

나. 소통 84

2.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이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86

가. 신뢰 87

나. 나눔 91

다. 참여 94

Ⅴ. 요약 및 결론 100

1. 요약 100

2. 결론 103

참고문헌 105

ABSTRACT 111

부록 115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116

〈부록 2〉 부모 상담질문지 - 교사용 117

〈부록 3〉 부모 상담일지 총평가 - 교사용 118

〈부록 4〉 부모 교육프로그램 - 부모용 119

〈부록 5〉 부모 참여 활동 확인서 - 부모용 120

〈부록 6〉 부모 참여프로그램 - 부모용 121

표목차

〈표Ⅱ-1〉 0세 주요 발달 특성 18

〈표Ⅱ-2〉 1세 주요 발달 특성 20

〈표Ⅱ-3〉 표준 보육 과정에 근거한 보육프로그램의 적응프로그램 25

〈표Ⅱ-4〉 설립 주체와 규모에 따른 어린이집의 분류 37

〈표Ⅱ-5〉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이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미치는 효과 45

〈표Ⅲ-1〉 연구 절차 및 진행 과정 50

〈표Ⅲ-2〉 H 어린이집 0세 반, 1세 반의 하루 일과 및 보육계획 52

〈표Ⅲ-3〉 H 어린이집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 단계 55

〈표Ⅲ-4〉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을 위한 대상별 활동 56

〈표Ⅲ-5〉 H 어린이집 교사의 인적 사항 58

〈표Ⅲ-6〉 H 어린이집 신입 원아의 인적 사항 59

〈표Ⅲ-7〉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배경 &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63

〈표Ⅲ-8〉 면접을 위한 질문목록(교사) 65

〈표Ⅲ-9〉 면접을 위한 질문목록(부모) 66

〈표Ⅲ-10〉 자료 분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 68

〈표Ⅲ-11〉 자료 분석 과정 70

그림목차

그림 Ⅲ-1. 0세 반 보육환경 51

그림 Ⅲ-2. 1세반 보육환경 51

그림 Ⅲ-3. 현상학적 연구의 코딩 템플릿 69

그림 Ⅳ-1. 낯설지만 혼자가 아니에요. 81

그림 Ⅳ-2. 포근한 우리 선생님 82

그림 Ⅳ-3. 다양한 놀이와의 만남 83

그림 Ⅳ-4. "도담도담" 어린이집에서 놀아요. 83

그림 Ⅳ-5. 키즈노트 알림장으로 소통해요. 88

그림 Ⅳ-6. 부모 상담 90

그림 Ⅳ-7. 영아 관찰 총평가 & 부모 상담질문지 91

그림 Ⅳ-8. 부모 교육 자료 & 부모 교육 참여 93

그림 Ⅳ-9. 부모 참여프로그램 95

그림 Ⅳ-10. "Together" 함께 만들어 가요 96

그림 Ⅳ-11.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 진행 결과 9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의미와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이 영아의 전반적인 어린이집 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의미는 어떠한가?

둘째,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이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인천시 위치한 H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0세 영아 3명, 1세 영아 3명과 교사 2명, 부모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는 3월에 어린이집을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는 영아들의 입소가 이루어짐으로써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는 영아의 적응을 돕기 위한 문헌 고찰과 교사와 부모 교육을 위한 준비 단계, 3월~10월까지는 실행 단계로 참여관찰 및 면접으로 진행하였다.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단계별 활동들을 3월에 실시하면서 교사가 작성한 관찰일지를 통해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 적응 과정을 분석하여 6월까지 실행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7월부터 8월까지는 연구의 결과를 위한 연구참여자 개별심층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9월부터 10월까지 연구참여자의 상황에 맞추어 일대일 면접, 웹 기반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다. 10월부터 11월까지 면접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 및 전사와 코딩을 통한 핵심 범주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게 된다. 낯선 환경에서 영아가 경험하게 될 부분에 대해 염려와 걱정을 표현하는 부모들의 요구에 대한 이해와 영아 개인의 기질을 고려한 적응프로그램 활동의 이해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진행되는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의 의미를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을 통해 영아의 적응을 돕는 교사의 지원 부분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영아가 새로운 어린이집 환경에 적응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물리적 지원과 함께 정서적 지원을 하였다. 물리적 지원으로는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 경험 및 환경을 제공하였고, 정서적 지원으로는 영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따뜻한 말투와 어조, 스킨쉽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교사는 영아를 관찰하여 기록한 관찰일지를 통해 영아의 적응을 돕고 지원하였다.

셋째, 부모와 영아가 함께 적응할 수 있도록 활동과 경험을 제공하는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이다.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을 통해 부모는 어린이집의 교사에 대한 기대감과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었고, 자녀와 함께 적응프로그램을 하면서 어린이집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을 접하고 경험함으로써 육아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고,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었다.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이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의 지원이 이루어졌다. 0세와 1세 영아와의 만남과 관계를 맺는 어린이집의 생활이기에 소통의 장이 되는 부분이 부모임을 알 수 있었다. 부모와의 나눔을 통해 영아가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지, 영아가 어떤 부분이 필요한지 등을 나누는 것을 지원해 주었다. 매일 선생님이 보내 주는 알림장을 통해 영아의 적응변화를 알 수 있도록 지원해 주었고, 이를 통해 부모와의 관계 형성이 되었으며 좀 더 나아가서 부모 상담을 통해 영아를 이해하며 신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었다.

둘째, 어린이집 생활을 위한 부모 교육의 중요성이 요구되고 참여가 이루어졌다.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면서 자녀에 대한 양육 정보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 부분에 대해 직접적으로 알고 싶고, 도움을 받고 싶은 부모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부모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왔다. 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졌고, 교육에 참여한 소감 및 느낀 부분에 대해 나누고, 참여하지 못한 부모들에게도 정보가 공유되는 효과를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영아와 함께하는 부모 참여프로그램이 활성화되었다. 신입 원아 적응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와 함께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함을 알게 되었고,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서는 영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진행함으로써 영아가 부모와 함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은 단계별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을 경험함으로써 낯선 어린이집에 대한 영아의 반응이 불안에서 안정적으로 변화되고 그 과정을 같이 경험하는 부모도 영아의 발달과 변화를 이해하며 함께 적응해 나갔다. 0세와 1세 영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부모와 함께 적응 단계를 가지면서 한 명의 영아가 어린이집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원과 부모와 교사가 함께 소통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과 소통, 신뢰와 나눔, 참여를 형성할 수 있는 기초가 되는 부분이 신입 원아 적응프로그램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