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약어표 (Abbreviations) 11
Ⅰ. 서론 13
1. 연구사와 연구 목적 13
2. 연구 방법 19
3. 연구의 자료와 한계 20
Ⅱ. 7-6세기 예언서 내에 '북방으로부터의 적'에 대한 본문 분석 22
1. 예레미야 22
1) 구조 22
2) 형성사 23
3) 북방으로부터의 적 25
2. 스바냐 54
1) 구조 55
2) 형성사 55
3) 북방으로부터의 적 56
3. 에스겔 58
1) 구조 58
2) 북방으로부터의 적 59
Ⅲ. 기원전 7-6세기 예언서의 역사적 배경과 스키타이인 63
1. 예레미야 63
1) 예레미야의 활동 시기 63
2) 예레미야의 역사성 63
3) 예레미야의 소명 시기 65
2. 스바냐 71
1) 스바냐의 활동 시기 71
2) 스바냐의 소명 시기 72
3. 에스겔 77
1) 에스겔의 활동 시기 77
4. 스키타이인과 기원전 7-6세기 고대 근동의 국제 정세 78
1) 스키타이인 78
2) 국제 정세 82
Ⅳ.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스키타이인 90
1. 헤로도토스의 생애와 『역사』에 대한 평가 90
1) 헤로도토스의 생애(기원전 485년-420년경) 90
2)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대한 평가 91
2. 헤로도토스의 『역사』 94
1) 『역사』의 전체 구조 94
2) 스키타이인이 아시아에 들어온 경유와 그 시기 96
3) 스키타이인의 팔레스타인 침입연대 추정 98
Ⅴ. 7세기 예언서의 '북방으로부터의 적'과 헤로도토스의 『역사』 비교 109
1. 역사적 비교 109
(1) 스바냐의 소명 시기와 스키타이인의 아시아 지배 109
(2) 예레미야의 소명 시기와 스키타이인의 아시아 지배 110
2. 문학적 비교 111
1) 적의 잔인함 112
2) 북방으로부터의 적의 공격 116
3) 예언서 내에서 '북방으로부터의 적'의 이미지의 변천 117
3. 고고학적 비교 119
1) 스키토폴리스 119
2) 스키타이 화살과 화살촉 120
Ⅵ. 결론 125
참고문헌 129
ABSTRACT 143
그림 1. 스키타이의 팔레스타인 침입과 킴메르의 소아시아 침입 경로 78
그림 2. 페르세폴리스의 아파다나 궁의 북쪽면 스키타이인의 부조 121
그림 3. 스키타이의 화살촉 (A) 세 갈래로 갈라진 형태 (B) 피라미드 형태 (C) 잎 형태 123
그림 4. 예루살렘의 시온산에서 발굴된 스키타이 화살촉 124
The early part of Jeremiah (1:13-14; 4:5-8, 13-22, 27-31; 5:15-17; 6:1-8, 22-26; 8:14-17; 10:22) refers to the coming of a foe from the north who would bring judgment on Judah. Zephaniah 2:13 also refers to a foe from the north who destroys the Assyria Empire. Concerning this, it was H. Venema who first suggested that the foe from the north is the Scythians on the basis of Herodotos' Histories. According to Herodotos, the Scythians invaded Asia as far as the frontier of Egypt around 625 B.C.E. The hypothesis that the Scythians are foes from the north was popularized by B. Duhm in 1901. But the Scythian hypothesis was most severely criticized in 1913 by F. Wilke, who questioned the reliability of Herodotos. In addition, it is pointed out that several of the descriptions of the foe from the north in Jeremiah does not suit a wild, disorganized group such as the Scythians. For example, the expression "an enduring nation, an ancient nation" (5:15) would not have been considered the Scythian but it would suit the Babylonians. In anyhow, a highly controversial issue is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Scythian raid through Palestine is reflected in the several prophetic passages in Jeremiah and Zephaniah in the phrase "the foe from the north."
This study pursues to identify "the foes from the north" in Jeremiah and Zephaniah in the light of Herodotos' History. For this, the author reconstructs the early history of the Medes dynasty on the basis of Herodotus' Histories and compares it with the ancient Near East records in order to examine the Scythian interregnum of Asia.
In short, the author suggests three candidates for the Scythian interregnum of Asia; 1) 635-625 B.C.E., 2) 645-617 B.C.E., and 3) 625-507 B.C.E. The author also enlists three candidates for calling Jeremiah 1) 627 B.C.E., 2) 622 B.C.E., 3) 609 B.C.E. Meanwhile, I try to analyze the descriptions of the Scythian attack on the enemy in Herodotos' Histories, comparing it with the descriptions of the foe from the north in Jeremiah.
Through historical and literary comparative analysis, the author maintains that the foes from the north in Jeremiah and Zephaniah are 'the Scythians' instead of the Babylonians or oth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author's proposal gets support from archaeological evidence, for example, the Scythian arrow excavated in Palestine and Jerusalem.
It is reasonable to accept that more extensive and enduring research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identify exactly the foes from the north in Jeremiah and Zephaniah.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this thesis makes a contribution to enforcing the Scythian hypothesis about the fbes from the north in Jeremiah and Zephaniah.*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