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제3절 연구의 흐름도 16
제2장 웨딩 공간과 뉴미디어 아트의 특성 17
제1절 웨딩 공간과 플라워 디자인 연출 17
1. 웨딩 공간의 개념 및 현황 17
2. 웨딩 공간 연출의 특성 및 공간구성체계 18
3. 웨딩 플라워 디자인의 공간연출 요소 25
제2절 뉴미디어 아트와 인터랙티브 아트 29
1. 뉴미디어 아트의 개념 및 정의 29
2. 뉴미디어 아트의 유형 및 특성 30
3. 상호작용성과 인터랙티브 아트 43
제3절 웨딩 화훼 공간과 인터랙티브 표현요소 45
1. 인터랙티브 아트의 정의 45
2. 인터랙티브 표현방법 및 구현기술 47
3. 웨딩 공간과 뉴미디어 아트의 인터랙티브 표현요소 관계 60
제3장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웨딩 공간 사례 분석 62
제1절 뉴미디어 아트 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표현요소 62
1. 재료표현형 62
2. 공간개념형 63
3. 매체활용형 64
제2절 인터랙티브 표현요소가 적용된 뉴미디어 웨딩 공간 66
1. 사례 선정의 기준 및 방법 66
2. 국내 사례 조사 69
3. 해외 사례 조사 76
제3절 사례 분석의 종합 81
1. 사례 분석의 결과 81
2. 사례 분석의 종합 83
제4장 웨딩 플라워 디자인 연출에 적용한 뉴미디어 아트 85
제1절 대상 웨딩 공간 선정 및 계획 85
1. 연출 개요 85
2. 대상 공간 선정 및 현황 85
3. 공간 구성 및 분석 86
제2절 디자인 계획 및 프로세스 91
1. 디자인 기획 및 방향 91
2. 뉴미디어 아트 적용 방안 92
3. 공간 연출 프로세스 93
제3절 공간 디자인 연출 94
1. 공간 구성 모듈화 94
2. 공간 조닝 및 동선 계획 95
3. 평면도 및 투시도 96
제5장 결론 101
참고문헌 104
ABSTRACT 106
〈그림 2-1〉 Alexander S. Calder 'Mobile' (1932) 34
〈그림 2-2〉 Marcel Duchamp 'Bicycle Wheel'(1913) (왼) 34
〈그림 2-3〉 Marcel Duchamp 'Rotary Glass Plates'(1920) (오) 34
〈그림 2-4〉 백남준 '참여TV' (1963) 36
〈그림 2-5〉 Rafael Lozano-Hemmer 'Body Movies' (2001) 36
〈그림 2-6〉 Jeffery Shaw 'The Legible City' (1996) 37
〈그림 2-7〉 최승준 '반딧불이의 숲' (2007) 37
〈그림 2-8〉 인터랙션과 인터페이스, 인터랙티브의 과정 45
〈그림 2-9〉 Bill Viola 'The Reflecting Pool' (1977) 47
〈그림 2-10〉 Kimchi and Chips 'Light Barrier' Series (2014) 49
〈그림 2-11〉 Everyware 'Oasis' (2008) (좌) / 'The Wall' (2012) (우) 53
〈그림 2-12〉 HYBE 'Light Tree : Interactive Dan Flavin' (2011) 53
〈그림 2-13〉 Pe Lang 'Alamp to shine on Empty space' (2023) 59
〈그림 2-14〉 류필립 '천둥 동시성' (2023) 59
〈그림 4-1〉 Grand Ballroom 도면 87
〈그림 4-2〉 Grand Ballroom 전경 87
〈그림 4-3〉 Grand Ballroom 입구 및 무대 88
〈그림 4-4〉 Grand Ballroom 로비 전경 및 포토테이블 89
〈그림 4-5〉 Grand Ballroom 신부대기실 90
〈그림 4-6〉 디자인 시나리오 92
〈그림 4-7〉 공간 구성 모듈화 94
〈그림 4-8〉 공간 조닝 및 동선 95
〈그림 4-9〉 진입부 96
〈그림 4-10〉 로비 공간 97
〈그림 4-11〉 하객맞이공간 97
〈그림 4-12〉 포토테이블 98
〈그림 4-13〉 신부대기실 98
〈그림 4-14〉 Grand Ballroom 입구 99
〈그림 4-15〉 Grand Ballroom 내부 99
〈그림 4-16〉 Table Centerpiece 100
최근 소비문화의 고급화와 감성화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가 다양해지고 있는 흐름 속에서 웨딩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들 또한 이에 걸맞은 개성과 차이점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웨딩 공간의 플라워 디자인 연출의 흐름 또한 과거의 획일화된 플라워 장식만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웨딩 공간 연출로서 개개인의 요구와 감성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 그 중 기술 발전과 함께 문화·예술적 차원에서 지향되는 예술로서 뉴미디어 아트가 대두되어지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는 기술의 발전과 예술의 창의성을 결합하여 현대 예술을 혁신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예술의 경계를 넘어 관객과 예술가 및 기술과 사회 간의 연결을 강화하며, 예술의 본래의 목적을 새롭게 정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뉴미디어 아트는 현대 예술의 새로운 시대에 발맞춰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예술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는 혁명적인 예술 형태로 떠오르고 있다.
뉴미디어는 최근 멀티미디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로서 과거의 매스 미디어와 영화 등에 의해 주도되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쌍방향적인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를 예술적 표현을 위한 기술적 도구로서 활용하는 뉴미디어 아트는 역동적인 예술의 분야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그중 뉴미디어 아트를 대중들에게 깊게 각인되며 관심을 끌 수 있게 하는 가장 대표적인 특성이 상호작용이다.
뉴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은 그 하위 분야 중 하나인 인터랙티브 아트와 많은 유사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 관객과의 상호작용과 참여,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예술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현대 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분야로서 대두되고 있다.
웨딩 공간 연출에 있어서도 이에 따라 젊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새로운 웨딩의 유형을 만들어 내고, 웨딩 공간에 다양한 기술적 연출 요소를 도입하며 웨딩의 유행 또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즉, 현대의 웨딩 플라워 디자인 연출은 공간 장식으로서 자연의 식물만을 주체로 사용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소재 사용의 시도와 기술과의 융합으로 더욱 조형적이고 디자인적인 표현의 확대로 연출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있어 인생의 중요한 순간 중 하나인 '결혼'이 이루어지는 웨딩 공간은 상업 공간의 일시성적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화훼 연출의 공간이 더욱 인상 깊고 차별화된 기억의 장소로서 남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웨딩 공간을 상업적이고 일시성적 성격의 공간이 아닌 트렌드 변화와 흐름에 맞는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플라워 디자인 연출의 공간으로써 공간과 상호소통을 한다면, 기존과는 다른 차별성을 가지며 진정한 웨딩의 의미와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춤화된 새로운 연출로서 발전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