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제1장 서론 15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6

제2장 아더에러 배경 및 디자인 특성 18

2.1. 아더에러 배경 고찰 18

2.1.1. 아더에러의 시작과 의미 18

2.1.2. 아더에러의 브랜딩 방식 19

2.1.3. 아더에러의 콜라보레이션 21

2.1.4. 아더에러의 로고 전략 23

2.2. 아더에러 디자인 개념 및 특성 29

2.2.1. 아더에러의 디자인 개념 29

2.2.2. 아더에러의 디자인 특성 'F.I.N.E' 분석 29

2.2.3. 아더에러의 패치워크 특성 31

2.3.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조사 34

2.3.1. 사례조사 개요 34

2.3.2. 아더 홍대 스페이스 36

2.3.3. 아더 성수 스페이스 37

2.3.4. 아더 신사 스페이스 38

2.3.5. 아더 서면 스페이스 40

2.4. 소결 41

제3장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적용한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 43

3.1. 대지 선정 및 분석 43

3.1.1. 대지 개요 43

3.2. 동대문 패션 산업 44

3.2.1. 동대문 패션 산업 배경 44

3.2.2. 동대문 패션 산업 특성 45

3.3. 대지 및 주변 지역 장소 특성 46

3.3.1. 대지 주변 시설 46

3.3.2. 대지 주변 도보 환경 54

3.4. 대지에 나타난 공간적 패치워크 57

3.4.1. 공간 패치워크 개념 57

3.4.2. 동대문 지역의 공간과 시간의 패치워크 58

3.4.3. 동대문 지역의 이미지 패치워크 60

3.5. 패치워크를 통한 디자인 콘셉트 도출 67

3.5.1. 재료와 로고의 패치워크 67

3.5.2. 디자인 콘셉트 도출 : 스페이스 패치워크 (Space Patchwork) 70

3.6. 소결 72

제4장 스페이스 패치워크에 따른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 73

4.1. 디자인 콘셉트와 디자인 과정 73

4.1.1. 디자인 콘셉트 분석 73

4.1.2. 공간 및 패치워크의 물질화 계획 74

4.1.3. 콘셉트의 3차원 공간화 과정 75

4.2. 공간 프로그램 78

4.2.1. 사이트를 활용한 프로그램 패치워크 계획 78

4.2.2. 프로그램 패치워크 83

4.2.3. 프로그램과 공간의 입체 구상도 85

4.2.4. 동선 구성 계획 86

제5장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 실내외 디자인 계획안 87

5.1.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 외부 디자인 계획 87

5.1.1. 입면도 87

5.1.2. 주변 대지 콜라주 88

5.2.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 십스토어 내부 디자인 계획 91

5.2.1. 배치도 91

5.2.2. 평면도 92

5.2.3. 단면도 95

5.3. 내부 공간 투시도 96

5.3.1. 공간 뒷 모습 96

5.3.2. 입구 97

5.3.3. 1층 전시 & 판매 공간 99

5.3.4. 2층 판매 공간 101

5.3.5. 1.5층 커스터마이징 샵 102

5.3.6. 2.5층 빈티지 스토어 104

5.3.7. 3층 카페 & 3.5층 카페 테라스 105

5.3.8. 공간의 입체감 투시도 106

5.4. 프레젠테이션 패널 107

5.5. 스페이스 패치워크를 통한 최종 공간 모형 108

제6장 결론 111

참고문헌 114

ABSTRACT 117

표목차

〈표 2-1〉 아더에러와 콜라보레이션 브랜드명 22

〈표 2-2〉 아더에러 브랜드 로고 25

〈표 2-3〉 아더에러 콜라보레이션 로고 26

〈표 2-4〉 사례분석 대상 34

〈표 2-5〉 사례분석 틀 35

〈표 2-6〉 아더 홍대 스페이스 36

〈표 2-7〉 아더 성수 스페이스 37

〈표 2-8〉 아더 신사 스페이스 38

〈표 2-9〉 아더 서면 스페이스 40

〈표 3-1〉 대지 개요 43

그림목차

〈그림 2-1〉 아더에러의 시그니처 로고 18

〈그림 2-2〉 텅 플래닛 시그니처 로고 20

〈그림 2-3〉 기아의 로고 변화 24

〈그림 2-4〉 아더에러와 퓨마 콜라보레이션 로고 28

〈그림 2-5〉 아더에러와 메종키츠네, 컨버스 콜라보레이션 로고 28

〈그림 2-6〉 나이키와 스투시 콜라보레이션 로고 28

〈그림 2-7〉 아디다스와 구찌, 프라다 콜라보레이션 로고 28

〈그림 2-8〉 2023 F/W 'Oblique Hints' 30

〈그림 2-9〉 크레이지 패치워크 디자인 32

〈그림 2-10〉 어플라이드 패치워크 디자인 33

〈그림 3-1〉 동대문 주변과 대지 위성사진 43

〈그림 3-2〉 1960-1970년대 평화시장 점포 운영 체계 44

〈그림 3-3〉 대지 주변 시설 분포 46

〈그림 3-4〉 광희문, 광희문 주변 풍경 47

〈그림 3-5〉 서산부인과 (현 아리움 사옥) 47

〈그림 3-6〉 경동교회 48

〈그림 3-7〉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 49

〈그림 3-8〉 동대문 시장 50

〈그림 3-9〉 흥인지문 (동대문) 51

〈그림 3-10〉 창신동 봉제 거리 풍경 52

〈그림 3-11〉 동대문 패션의류 생산-유통 과정 53

〈그림 3-12〉 대지 주변 시설 분포 54

〈그림 3-13〉 대지에 바라본 모습 55

〈그림 3-14〉 공간의 복잡성 도식화 58

〈그림 3-15〉 시간의 복잡성 도식화 59

〈그림 3-16〉 공간과 시간의 복잡성 패치워크 60

〈그림 3-17〉 사이트에서 추출한 이미지 61

〈그림 3-18〉 주변 간판 패치워크 62

〈그림 3-19〉 주변 파사드 패치워크 63

〈그림 3-20〉 주변 거리 패치워크 64

〈그림 3-21〉 대지 패치워크 65

〈그림 3-22〉 재료의 패치워크 68

〈그림 3-23〉 로고의 패치워크 69

〈그림 3-24〉 재료와 로고의 결합 패치워크 70

〈그림 4-1〉 패치워크 천 조각의 간격 변화 73

〈그림 4-2〉 벽면의 패치워크 75

〈그림 4-3〉 바닥면의 패치워크 76

〈그림 4-4〉 벽면 패치워크와 바닥면 패치워크의 결합 77

〈그림 4-5〉 대지 프로그램 패치워크 78

〈그림 4-6〉 육전 파르페 계획 79

〈그림 4-7〉 어니언 광장시장점 모습과 디저트 80

〈그림 4-8〉 동묘구제시장 노상점 80

〈그림 4-9〉 동묘 빈티지 샵 81

〈그림 4-10〉 창신동 모습 82

〈그림 4-11〉 연구자에 의한 패치워크 컵 홀더 도안 82

〈그림 4-12〉 프로그램 패치워크 화 83

〈그림 4-13〉 프로그램 볼륨 아이소메트릭 85

〈그림 4-14〉 동선도 계획 86

〈그림 5-1〉 입면도 87

〈그림 5-2〉 대지 반대편에서 바라본 모습 88

〈그림 5-3〉 대지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89

〈그림 5-4〉 대지 북쪽에서 바라본 모습 89

〈그림 5-5〉 대지 반대편 상공에서 바라본 모습 90

〈그림 5-6〉 배치도 91

〈그림 5-7〉 1층, 1.5층 평면도 92

〈그림 5-8〉 2층, 2.5층 평면도 93

〈그림 5-9〉 3층, 3.5층 평면도 94

〈그림 5-10〉 단면도 95

〈그림 5-11〉 뒷벽을 제외한 공간 뒷모습 콜라주 96

〈그림 5-12〉 입구 1 97

〈그림 5-13〉 입구 2 98

〈그림 5-14〉 1층 판매 & 전시 공간 1 99

〈그림 5-15〉 1층 판매 & 전시 공간 2 100

〈그림 5-16〉 2층 판매 공간 101

〈그림 5-17〉 1.5층 커스터마이징 샵 1 102

〈그림 5-18〉 1.5층 커스터마이징 샵 2 103

〈그림 5-19〉 2.5 빈티지 스토어 104

〈그림 5-20〉 3층 카페 105

〈그림 5-21〉 공간 내 서쪽에서 바라본 투시도 106

〈그림 5-22〉 좌측 입체감 단면 투시도 106

〈그림 5-23〉 프레젠테이션 패널 107

〈그림 5-24〉 모형 입면 108

〈그림 5-25〉 좌측 패치워크 단면 109

〈그림 5-26〉 우측 패치워크 단면 109

〈그림 5-27〉 패치워크 실이 늘어난 모습 디테일 109

〈그림 5-28〉 대지 기준 북쪽에서 바라본 모습 110

〈그림 5-29〉 대지 기준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110

초록보기

 현시대 패션 산업은 온라인 쇼핑에서 오프라인 쇼핑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증가하고,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 뿐만 아니라 이커머스 오프라인 매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 판매 중심이 아닌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계획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오프라인 매장의 변화를 적용한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를 디자인하고자 한다.

아더에러는 한국의 대표적인 패션 브랜드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며 패션뿐만 아니라 공간, 영상,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브랜드이다. 아더에러는 '미적인 것을 표현하는사람들' 을 의미하는 'Ader' 와 'Error' 를 합성하여 '다양한 오류 속에서 미적인 것을 발견하는 사람들'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더에러는 '재편집' 철학을 바탕으로 '패치워크' 를 활용해 디자인해 나가고 있다. 아더에러의 디자인 특성인 'F.I.N.E' 을 기준으로 아더에러의 패션 디자인과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더에러가 디자인해 나가는 방식과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지로 선정한 동대문을 분석하여 장소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동대문에서 볼 수 있는 건축물의 이질적인 모습을 통해 대지가 패치워크 된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페이스 패치워크' 를 디자인 콘셉트로 도출하였다. 이 개념은 2차원을 3차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면 요소를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정의하였으며, 공간의 구성요소인 바닥, 벽, 천장, 기둥 중 기둥을 사용하지 않고 면 요소만을 활용하여 공간 구조를 해결하도록 설정하였다.

위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스페이스 패치워크' 를 활용하여 아더에러 플래그십 스토어의 프로그램 계획과 실내외 디자인 계획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패치워크는 대지 주변 환경과 기본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것으로, 광장시장과의 패치워크를 통해 이색 디저트 카페, 동묘구제시장과의 패치워크를 통해 빈티지 스토어, 창신동 봉제거리와의 패치워크를 통해 커스터마이징 샵을 도출하였다.

공간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벽면과 바닥면을 중첩하고, 바닥의 다양한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이 패치워크 된 듯한 느낌을 형성했다. 또한, 각 공간에서 바라볼 수 있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DDP)를 통해 흔히 경험하기 어려운 대지와 공간의 시각적 패치워크를 체험하도록 의도하였다. 이에 따라, 아더에러 스페이스 패치워크 플래그십 스토어는 단순한 판매 공간이 아닌, 입체적인 시각과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디자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