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0

제1장 서론 11

1.1. 연구 배경, 목적 및 의의 11

1.1.1. 연구 배경 11

1.1.2. 연구 목적 12

1.1.3. 연구의 의의 13

1.2. 선행연구 검토 15

1.2.1. 산업내 무역 이론의 선행연구 15

1.2.2. 자동차 산업내 무역 선행연구 15

1.2.3. 자동차 산업내 무역 충돌과 협력 연구 16

1.2.4. 양국 자동차 시장의 정책 영향 연구 16

1.2.5. 미중 자동차 산업내 무역의 경제 효과 연구 18

1.3. 연구의 구성 및 방법 19

1.3.1. 연구 구성 20

1.3.2. 문헌 연구 20

1.3.3.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 21

1.3.4. 비교 분석 21

제2장 개념 정의 23

2.1. 자동차와 부품의 개념 및 분류 23

2.1.1. 자동차와 부품의 개념 23

2.1.2. 자동차와 부품의 분류 23

2.2. 이론적 기반 25

2.2.1. 무역 보호주의 이론 25

2.2.2. 산업내 무역 이론 26

2.2.3. 비교우위 이론 26

제3장 양국 자동차 산업내 무역의 현황 28

3.1. 산업내 무역의 규모 28

3.2. 산업내 무역의 구조 31

3.2.1. 양국 산업내 무역 자동차와 그 부품의 수출입 구조 31

3.2.2. 양국 자동차 산업내 무역수입 구조 33

3.2.3. 양국 자동차 산업내 무역수출 구조 37

3.3. 산업내 무역 관계 및 패턴 40

3.3.1. 경쟁력 분석 41

3.3.2. 상호보완성 분석 44

3.3.3. 결합도 분석 45

3.4. 산업내 무역 마찰과 문제점 48

3.4.1. 무역수지 장기 불균형 49

3.4.2. 무역 분쟁 빈발 50

3.4.3. 무역장벽 53

제4장 양국 자동차 산업내 무역의 영향 요인 55

4.1. 양국의 경제적 영향 요인 55

4.1.1. 자동차 생산량 56

4.1.2. 경제 발전 수준 58

4.1.3. 무역 자유도 60

4.1.4. 환율 61

4.2. 양국의 정치적 영향 요인 62

4.3. 국제통상 환경의 영향 요인 62

4.3.1. 코로나 19 범유행 62

4.3.2. 중대 지정학적 정치 사건 63

4.3.3. 글로벌 경제 상황의 변화 63

4.4. 양국 산업내 무역의 증진 요인과 저해 요인 64

4.4.1. 증진 요인 64

4.4.2. 저해 요인 66

제5장 연구 결론 및 시사점 68

5.1. 연구의 요약 및 성과 68

5.2. 양국 자동차 산업내 무역의 증진을 위한 제언 69

1) 협력과 대화 메커니즘 강화 70

2) 기술 협력과 공유 증진 70

3) 시장 개방과 합리적인 경쟁 확대 71

4)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 보호 조치 증진 71

5) 위험 대응 메커니즘 구축 72

참고문헌 73

ABSTRACT 78

표목차

〈표 2-1〉 HS Code 87 자동차와 부품의 분류표 24

〈표 3-1〉 미국이 중국과의 HS 87 분류 제품에 대한 수입 및 수출에서 총 무역액의 가중치표 31

〈표 3-2〉 중국이 미국과의 HS 87 분류 제품에 대한 수입 및 수출에서 총 무역액의 가중치표 32

〈표 3-3〉 미국과 중국의 무역장벽 관련 주요 사건 53

그림목차

〈그림 3-1〉 2001년-2020년 미중 HS 87 분류 제품의 무역액 변화 추이 29

〈그림 3-2〉 2001 년-2021 년 미국이 중국에 수입한 HS87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3

〈그림 3-3〉 2001 년-2021 년 중국이 미국에 수입한 HS87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4

〈그림 3-4〉 2016 년-2021 년 미국이 중국에 수입한 HS8701-8716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5

〈그림 3-5〉 2016 년-2021 년 중국이 미국에 수입한 HS8701-8716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6

〈그림 3-6〉 2001 년-2021 년 중국이 미국에 수출한 HS87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7

〈그림 3-7〉 2001 년-2021 년 미국이 중국에 수출한 HS87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8

〈그림 3-8〉 2016 년-2021 년 미국이 중국에 수출한 HS8701-8716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39

〈그림 3-9〉 2016 년-2021 년 중국이 미국에 수출한 HS8701-8716 분류 제품의 규모와 비중 40

〈그림 3-10〉 2001년-2021년 HS87 분류 제품 중국의 평균 RCA 값 42

〈그림 3-11〉 2001 년-2021 년 HS87 분류 제품 미국의 평균 RCA 값 43

〈그림 3-12〉 2001 년-2021 년 HS87 분류 제품 미중 RCA 값 대조 44

〈그림 3-13〉 2001 년-2021 년 미중 자동차 산업내 무역 GL 평균값 45

〈그림 3-14〉 2001 년-2021 년 미중 자동차 산업내 무역 TI 평균값 47

〈그림 3-15〉 2000 년-2021 년 미중 자동차 산업내 무역적자 상황 49

〈그림 3-16〉 2001 년-2021 년 미중 무역 분쟁 조사 사건 수 51

〈그림 4-1〉 2000- 2021 년 중국 자동차 총 생산량 56

〈그림 4-2〉 2000- 2021 년 미국 자동차 총 생산량 57

〈그림 4-3〉 2000 년-2021 년 미중 GDP 추이 58

〈그림 4-4〉 2000 년-2021 년 미중 인당 GDP 추이 59

〈그림 4-5〉 2000 년-2021 년 미중 무역 자유도 지수 60

〈그림 4-6〉 2000 년-2021 년 RMB 환율 61

초록보기

 본 연구는 지난 20 년간 미국과 중국 간의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의 무역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중 자동차 무역이 빠르게 확대되었으며 중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연평균 7.1% 증가하는 속도로 성장했다. 자동차 부품이 무역 구조를 지배하며 중국은 미국으로 대량의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고 미국은 주로 완성차를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에서 상당한 상호 보완성이 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과 비교해 생산 능력과 연구 개발 측면에서 구조적 무역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경제 및 정치적 요인을 미중 자동차 무역을 주도하는 주요 동력으로 제시했다. 시장 수요, 생산량, 무역 개방성 및 환율은 주요 경제적 요인이며 정치적 입장의 차이는 복잡성을 더한다. 미중 자동차 무역은 장기간의 무역 적자, 반복되는 무역 분쟁 및 오래 지속되는 무역 장벽과 같은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코로나 19 와 지정학적 긴장과 같은 주요 사건들은 자동차 무역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중국은 자동차 분야에서 기술 혁신에 중점을 둔 산업 체인 업그레이드에 주력하고 미국은 무역 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양측은 환경 기준 및 시장 접근과 같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무역 갈등을 줄이며 더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자동차 무역 관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더욱 밀접한 협력과 적절한 의사 소통을 통해 차이를 줄이고 미중 자동차 무역의 보다 균형적인 잡힌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 나갈 필요가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