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2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5
제2절 연구방법과 범위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0
제1절 친환경 패션 20
1. 친환경 패션 디자인 20
2. 친환경 패션쇼 46
제2절 중국 SNS 53
1. SNS의 개념과 특성 53
2. SNS와 패션산업 55
3. 중국 SNS의 발전 및 유형 57
제3장 친환경 패션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60
제1절 빅데이터 분석 방법 60
1. 자료 수집 61
2. 분석 절차 61
제2절 빅데이터 분석 결과 62
1. 데이터 수집 결과 62
2. 단어 빈도분석 결과 63
3. 중요도와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 결과 65
4. 네트워크 시각화와 구조적 동위 분석 67
제4장 친환경 패션쇼 사례 분석 71
제1절 사례 분석 방법 71
제2절 패션쇼 주체별 사례분석 72
1. 학교 패션쇼 현황 72
2.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쇼 현황 85
3. 기업 패션쇼 현황 108
제5절 SNS의 특성 130
1. 패션쇼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130
2. 상호작용 144
제6절 종합적 논의 147
제5장 요약 및 결론 156
참고문헌 161
국문초록 171
〈그림 2-1〉 리스에서 고찰된 친환경 패션 디자인 방법 27
〈그림 2-2〉 즈왕에서 고찰된 친환경 패션 디자인 방법 30
〈그림 3-1〉 UCINET 분석 결과 68
〈그림 3-2〉 CONCOR 분석 결과 69
〈그림 4-1〉 톈진 광순원 리둥국제유치원 친환경 패션쇼 75
〈그림 4-2〉 하북성 승덕시 가오신구 봉황산초등학교 친환경 패션쇼 75
〈그림 4-3〉 석가장시 위화구 제6유치원 친환경 패션쇼 76
〈그림 4-4〉 후이화사계 초등학교 친환경 패션쇼 76
〈그림 4-5〉 광둥성 광파전시대학방직복장분교 친환경 패션쇼 81
〈그림 4-6〉 요녕성 루쉰미술대학 친환경 패션쇼 81
〈그림 4-7〉 절강성 중국미술대학 친환경 패션쇼 82
〈그림 4-8〉 섬서성 섬서복장공정대학 친환경 패션쇼 82
〈그림 4-9〉 허난성 허난공정대학 친환경 패션쇼 84
〈그림 4-10〉 강소성 난징특수교육사범대학 친환경 패션쇼 84
〈그림 4-11〉 디자이너 브랜드 도리 친환경 패션쇼 86
〈그림 4-12〉 디자이너 브랜드 소백 친환경 패션쇼 87
〈그림 4-13〉 디자이너 브랜드 JANET CHEN 친환경 패션쇼 88
〈그림 4-14〉 디자이너 브랜드 WU/D 친환경 패션쇼 89
〈그림 4-15〉 디자이너 브랜드 SHIJIE 친환경 패션쇼 89
〈그림 4-16〉 디자이너 브랜드 ARTGIFT 친환경 패션쇼 90
〈그림 4-17〉 디자이너 브랜드 Feng Chen Wang 친환경 패션쇼 90
〈그림 4-18〉 디자이너 브랜드 소백 / JANET CHEN / 쩌자 친환경 패션쇼 91
〈그림 4-19〉 디자이너 브랜드 등조평개인맞춤 / 구오스옥 / FENGGY 친환경 패션쇼 92
〈그림 4-20〉 디자이너 브랜드 산골소년 / JUMPER ZHANG / 소백 친환경 패션쇼 93
〈그림 4-21〉 디자이너 브랜드 타적 / LYNEE / HUANG GANG 친환경 패션쇼 94
〈그림 4-22〉 디자이너 브랜드 CHAU·RISING 친환경 패션쇼 95
〈그림 4-23〉 디자이너 브랜드 미카디자인 J11 친환경 패션쇼 95
〈그림 4-24〉 디자이너 브랜드 JANET CHEN 친환경 패션쇼 96
〈그림 4-25〉 디자이너 브랜드 Shie Lyu 친환경 패션쇼 96
〈그림 4-26〉 디자이너 브랜드 D.MARTINAQUEEN 친환경 패션쇼 97
〈그림 4-27〉 디자이너 브랜드 CHICCO MAO 친환경 패션쇼 97
〈그림 4-28〉 디자이너 브랜드 HUANG GANG 친환경 패션쇼 97
〈그림 4-29〉 디자이너 브랜드 CHENPENG 친환경 패션쇼 99
〈그림 4-30〉 디자이너 브랜드 CHENPENG 2023F/W 친환경 패션쇼 100
〈그림 4-31〉 디자이너 탕웬팅 친환경 패션쇼 101
〈그림 4-32〉 디자이너 Shie Lyu 친환경 패션쇼 101
〈그림 4-33〉 디자이너 브랜드 Susan Fang 친환경 패션쇼 102
〈그림 4-34〉 디자이너 브랜드 SHUTING QIU 2023F/W 친환경 패션쇼 103
〈그림 4-35〉 디자이너 브랜드 Lynn Gong 친환경 패션쇼 105
〈그림 4-36〉 디자이너 브랜드 문핵 2023F/W 친환경 패션쇼 105
〈그림 4-37〉 디자이너 브랜드 GUUKA 친환경 패션쇼 106
〈그림 4-38〉 디자이너 브랜드 WANMAY 친환경 패션쇼 106
〈그림 4-39〉 불산시이방방직유한회사 친환경 패션쇼 109
〈그림 4-40〉 소주좌염직물유한회사 친환경 패션쇼 109
〈그림 4-41〉 광주방직공무기업집단유한회사 친환경 패션쇼 110
〈그림 4-42〉 광주방직물진출구집단유한회사 친환경 패션쇼 111
〈그림 4-43〉 터부집단유한회사 친환경 패션쇼 113
〈그림 4-44〉 홍싱얼커실업유한회사 친환경 패션쇼 113
〈그림 4-45〉 보스덩국제지주유한회사 2024S/S 친환경 패션쇼 114
〈그림 4-46〉 안타(중국)스포츠용품유한회사 친환경 가상 패션쇼 115
〈그림 4-47〉 성홍그룹유한회사와 디자이너 조훼주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17
〈그림 4-48〉 신롄허그룹유한회사 와디자이너 유미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17
〈그림 4-49〉 성홍그룹유한회사와 디자이너 조훼주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0
〈그림 4-50〉 신롄허그룹유한회사와 디자이너 유미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0
〈그림 4-51〉 TENCEL™ 집단과 디자이너 브랜드 MING MA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2
〈그림 4-52〉 랑쿤기업과 디자이너 브랜드 HUANGGANG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2
〈그림 4-53〉 난정집단과 디자이너 진문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3
〈그림 4-54〉 듀폰회사와 디자이너 황준훈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3
〈그림 4-55〉 자정화기업과 디자이너 브랜드 SUNDACHUN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4
〈그림 4-56〉 츠싱주식회사와 디자이너 황강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5
〈그림 4-57〉 안타기업과 디자이너 천펑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5
〈그림 4-58〉 보결미상기업과 디자이너 브랜드 Susan Fang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6
〈그림 4-59〉 YKK기업과 디자이너 브랜드 RICOLEE 협력한 친환경 패션쇼 128
〈그림 4-60〉 2023 중국국제대학생패션위크 컬렉션 132
〈그림 4-61〉 Bottloop 만든 '折de' 가방 133
〈그림 4-62〉 창사시톈신구이야초등학교의 패션 화보 135
〈그림 4-63〉 디자이너 브랜드 HEAVEN GAIA의 친환경 패션쇼 쇼 장 138
〈그림 4-64〉 디자이너 브랜드 도리의 친환경 패션쇼 쇼 장 138
〈그림 4-65〉 기업 보스덴의 친환경 패션쇼 139
〈그림 4-66〉 사천성 성도시 유치원 친환경 패션쇼 비디오 141
〈그림 4-67〉 Susan Fang SS22 친환경 패션쇼 사진 142
〈그림 4-68〉 디자이너 한화화 SS23 친환경 패션쇼 사진 143
〈그림 4-69〉 영역별 친환경 디자인의 방법 출현 빈도 151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중국 대표적인 SNS에 등장한 친환경 패션쇼를 통해 중국 친환경 패션 디자인의 주요 사용방법과 친환경 패션 디자인의 트렌드 동향을 이해하고 향후 중국 패션시장 발전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친환경 패션쇼에 나타난 디자인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친환경 패션디자인의 방법에 대해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친환경 염색', '친환경 소재', '제로 웨이스트', '리 디자인'과 '다기능성 디자인' 총 5가지 유형의 친환경 패션 디자인의 방법을 추출하였다. 중국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웨이보, 위챗을 대상으로 2021년 9월에서 2023년 9월까지 키워드를 '친환경+패션쇼'에 대한 중국어 표현인 '環保+時裝秀'로 하여 Textom을 통해 텍스트 마이닝을 실행하고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으로 도출된 친환경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친환경 패션쇼의 주체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친환경 패션 디자인 방법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각 친환경 패션쇼의 주체별 차이를 비교하였고 SNS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을 통해 일반적인 패션쇼의 주체로 예상하지 못했던 학교가 친환경 패션쇼 전체의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중국 최대 SNS 웨이보와 위챗을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는 패션쇼의 SNS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각 주체별 친환경 패션 디자인 방법의 초점은 다르며, 각 주체별로 친환경 패션쇼를 개최하는 형식도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중국은 학생, 디자이너,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 패션쇼를 진행하며 친환경 패션의 이념을 SNS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었다. 또한 중국의 친환경 패션쇼의 전체 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선행 연구에서 조사한 친환경 패션 디자인 방법의 5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났다. 이는 중국이 현재 친환경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사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치원, 초·중·고교의 친환경 디자인 방법은 다른 디자인 방법의 실제 구현에 있어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리 디자인 밖에 없다. 대학이나 기업의 친환경 디자인 방법에서 친환경 염색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기능성 디자인도 적게 나타났다. 디자이너 브랜드에서는 친환경 디자인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SNS의 특성에 대해서는 정보제공과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보제공에 관한 콘텐츠 주제 부분은 주체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친환경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유치원 주제 중에는 쓰레기 분류가 자주 등장하고, 대학에서는 중국 전통문화 요소, 디자이너의 주제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SNS의 콘텐츠 특성에 대해 위챗과 웨이보는 큰 차이가 나왔다. SNS의 상호작용에 의한 댓글, 이벤트 참여 등은 게시자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크게 촉진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2년간 중국 SNS에 등장한 친환경 패션쇼 사례를 분석하였는데, 사례 수가 생각보다 너무 적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국 SNS 뿐만 아니라 글로벌하게 활용되고 있는 SNS에서의 친환경 패션쇼와 비교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친환경 패션의 발전 방향에 대한 참고 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