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2. 연구의 범위 15

Ⅱ. 이론적 배경 17

1. 사회적지지에 대한 연구 17

(1) 사회적지지의 개념 17

(2)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소 18

(3) 사회적지지의 선행연구 19

2.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21

(1) 회복탄력성의 개념 21

(2)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 23

(3) 회복탄력성의 선행연구 25

3. 직무소진에 대한 연구 26

(1) 직무소진의 개념 26

(2) 직무소진의 구성요소 28

(3) 직무소진의 선행연구 32

Ⅲ. 연구 방법 35

1. 연구 대상 및 연구 모형 35

2. 가설 설정 36

(1)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36

(2)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 38

3. 측정방법 및 설문지 구성 41

4. 표본 수집 및 자료 분석 42

(1) 표본 수집 42

(2) 자료 분석 43

Ⅳ. 실증 분석 44

1.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 44

2. 기술통계량 분석 45

(1) 사회적지지의 기술통계 분석 47

(2) 회복탄력성의 기술통계 분석 48

(3) 직무소진의 기술통계 분석 49

3.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0

(1) 사회적지지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1

(2) 회복탄력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2

(3) 직무소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4

4. 연구 가설의 검증 57

(1)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검증 57

(2) 가설검증 58

(3) 결과 요약 66

Ⅴ. 결론 및 제언 70

1. 결과 요약 및 결론 70

2. 한계점 및 제언 74

참고문헌 76

ABSTRACT 94

부록 〈설문지〉 96

표목차

〈표 1〉 설문지 구성 42

〈표 2〉 인구통계학적 특성 45

〈표 3〉 기술통계량 분석 47

〈표 4〉 사회적지지의 기술통계 분석 48

〈표 5〉 회복탄력성의 기술통계 49

〈표 6〉 직무소진의 기술통계 50

〈표 7〉 사회적지지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2

〈표 8〉 회복탄력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4

〈표 9〉 직무소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6

〈표 10〉 상관관계 분석 58

〈표 11〉 상사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60

〈표 12〉 동료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61

〈표 13〉 통제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63

〈표 14〉 관계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64

〈표 15〉 긍정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66

〈표 16〉 가설 1-1의 검증 67

〈표 17〉 가설 1-2의 검증 67

〈표 18〉 가설 2-1의 검증 68

〈표 19〉 가설 2-2의 검증 68

〈표 19〉 가설 2-3의 검증 69

그림목차

〈그림 1〉 연구의 범위 16

〈그림 2〉 연구모형도 36

초록보기

 본 연구는 네일리스트의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을 통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네일리스트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상사와 동료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적지지가 통제성, 관계성, 긍정성으로 구성된 회복탄력성을 통해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성취감으로 구성된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서 네일샵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388명을 표본으로 하여 SPSS ver.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일리스트의 사회적지지 중 상사지지는 회복탄력성의 관계성과 긍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료지지는 회복탄력성의 통제성, 관계성, 긍정성의 모든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 중 긍정성은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적 고갈과 개인성취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중 통제성은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관계성은 정서적 고갈과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통제성은 비인격화와 개인성취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성은 개인성취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상사와 동료를 통해 받는 지지로 인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원래의 특성으로 되돌아가며, 감정을 통제하는 조절능력이 개인의 정서에 정신적·육체적으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소진이 향상될수록 회복탄력성의 부족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회적지지를 통해 회복탄력성을 발달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직무를 수행하는 네일리스트는 상사와 동료를 통해 긍정적 자원을 받고 개인의 내·외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고 변화하여 심리적·신체적 고갈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직무에 대한 능력 향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