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7

1) 놀이교수효능감 17

2) 직무만족도 18

3) 교사-영아 상호작용 18

Ⅱ. 이론적 배경 19

1. 놀이교수효능감 19

1) 놀이교수효능감의 개념 및 중요성 19

2) 놀이교수효능감 관련 변인 20

2. 직무만족도 22

1) 직무만족도의 개념 및 중요성 22

2)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 23

3. 교사-영아 상호작용 24

1)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개념 및 중요성 24

2) 교사-영아 상호작용 관련 변인 26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도구 30

1) 놀이교수효능감 31

2) 직무만족도 32

3) 교사-영아 상호작용 33

3. 연구절차 34

1) 예비조사 34

2) 본조사 35

4. 자료분석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7

1. 영아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39

1)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39

2) 연령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3

3) 교직 경력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5

4) 학력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8

5) 담당 연령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51

6) 보유 자격증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53

2.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57

3.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0

Ⅴ. 논의 및 제언 64

1. 논의 및 결론 64

1) 영아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차이 64

2)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67

3)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8

2. 제한점 및 제언 70

3. 시사점 및 의의 70

참고문헌 73

부록 82

〈부록 1〉 인구학적 배경 설문지 84

〈부록 2〉 놀이교수효능감 측정도구 85

〈부록 3〉 직무만족도 측정도구 87

〈부록 4〉 교사-영아 상호작용 측정도구 89

ABSTRACT 91

표목차

〈표 1〉 영아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30

〈표 2〉 놀이교수효능감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32

〈표 3〉 직무만족도 측정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3

〈표 4〉 교사-영아 상호작용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34

〈표 5〉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기술 통계 38

〈표 6〉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0

〈표 7〉 연령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3

〈표 8〉 교직 경력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6

〈표 9〉 학력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49

〈표 10〉 담당 연령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52

〈표 11〉 보유 자격증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차이 54

〈표 12〉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58

〈표 13〉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1

〈표 14〉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요인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2

그림목차

〈그림 1〉 놀이교수효능감 평균 점수 38

〈그림 2〉 직무만족도 평균 점수 39

〈그림 3〉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평균 점수 39

〈그림 4〉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41

〈그림 5〉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42

〈그림 6〉 연령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 44

〈그림 7〉 교직 경력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 47

〈그림 8〉 교직 경력에 따른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48

〈그림 9〉 학력에 따른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50

〈그림 10〉 보유 자격증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 55

〈그림 11〉 보유 자격증에 따른 직무만족도 56

〈그림 12〉 보유 자격증에 따른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5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지원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는 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만 0~2세 영아 보육교사 218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은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보육교사의 인적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영역은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은수, 유영의와 박현경(2004)이 개발한 도구를 이재진(2013)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노종희(2001)가 개발한 교사 직무만족도 질문지를 김진아(2008)가 수정·보완하고, 성현숙(2013)이 재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 보육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임옥희와 이진숙(2006)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조사 11명, 본조사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영아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한 영아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 규명을 위해 Sché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영아 보육교사들은 놀이교수효능감과 영아와의 상호작용 수준이 평균보다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는 놀이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경험의 다양성과 교사의 반응적 태도, 적극적인 활동 참여, 교사의 허용적 태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놀이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하위요인들 간에도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과 적극적인 활동참여 요인 간에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중에서는 교직의식과 적극적인 활동참여 요인 간에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는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모두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아 보육교사가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동료 교사들과의 관계가 원만하며 교직에 대한 의식이 높을수록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높게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영아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이고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아 보육교사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놀이가 중요하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영아의 놀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긍정적 놀이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