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0

1.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1.3. 연구의 구조 체계 17

2. 이론적 고찰 19

2.1. 데이비드 치퍼필드 19

2.1.1.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배경 19

2.1.2.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사상 21

2.1.3.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공간적 특징 27

2.2. 지각의 현상학 34

2.2.1. 지각의 현상학의 배경 34

2.2.2. 지각의 현상학의 지각론 45

2.2.3. 지각의 현상학의 공간론 55

2.3. 현상학적 공간 66

2.3.1. 공간의 현상학적 이해 66

2.3.2. 정위의 공간 70

2.3.3. 깊이의 공간 71

2.3.4. 운동의 공간 73

2.3.5. 경험된 공간 74

3. 현상학적 공간의 인식과 접근 77

3.1. 공간의 현상학적 인식 77

3.2. 현상학적 공간의 접근특성 79

3.2.1. 상황적 방향의 유도 79

3.2.2. 체험된 경험의 지각 80

3.2.3. 흐름의 공간 체험 82

3.2.4. 의식화된 공간의 의미 84

3.3. 소결 86

4. 사례분석 89

4.1. 분석의 대상 선정 및 분석의 방법 89

4.1.1. 분석의 대상 선정 89

4.1.2. 사례분석의 방법 90

4.2. 사례분석의 틀 91

4.3. 사례분석 93

4.4. 사례 종합 분석 117

4.5. 소결 125

5. 결론 128

5.1. 결론 및 제언 128

참고문헌 131

ABSTRACT 134

〈표 1〉 데이비드 치퍼필드에게 영향을 준 건축가 20

〈표 2〉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사상 26

〈표 3〉 데이비드 치퍼필드에 대한 선행연구 27

〈표 4〉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 특성 28

〈표 5〉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 특징, 공간의 형태와 물질 30

〈표 6〉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 특징, 공간의 관계지향성 31

〈표 7〉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 특징, 공간의 맥락적 미니멀리즘 32

〈표 8〉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의 공간적 특징 33

〈표 9〉 후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비교 40

〈표 10〉 하이데거,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비교 44

〈표 11〉 근대사상과 현상학의 공간 사상적 차이 55

〈표 12〉 정위의 특성 58

〈표 13〉 깊이의 특성 61

〈표 14〉 운동의 특성 63

〈표 15〉 체험된 공간의 특성 65

〈표 16〉 선행연구 68

〈표 17〉 선행연구 분석 69

〈표 18〉 현상학적 공간 특성 분석 관점 78

〈표 19〉 상황적 방향의 유도 표현 특성 80

〈표 20〉 체험된 경험의 지각 표현 특성 82

〈표 21〉 흐름의 공간 체험 표현 특성 84

〈표 22〉 의식화된 공간의 의미 표현 특성 86

〈표 23〉 현상학적 공간 특성 분석 관점 87

〈표 24〉 사례분석 대상 건축물 89

〈표 25〉 건축의 공간구성 요소분석 기준 90

〈표 26〉 현상학적 공간 특성 분석 관점 90

〈표 27〉 사례분석의 틀 91

〈표 28〉 River and Rowing Museum 93

〈표 29〉 America's Cup Building 95

〈표 30〉 The Hepworth Wakefield 97

〈표 31〉 Turner Contemporary 99

〈표 32〉 Saint Louis Art Museum 101

〈표 33〉 Museo Jumex 103

〈표 34〉 Amorepacific-Headquarters 105

〈표 35〉 Inagawa Cemetery chapel and visitor centre 107

〈표 36〉 James Simon Gallery 109

〈표 37〉 Hoxton Press 111

〈표 38〉 West Bund Museum 113

〈표 39〉 Morland Mixite Capitale 115

〈표 40〉 사례종합 117

〈표 41〉 공간 요소 유사 다이어그램 분류 118

〈표 42〉 상황적 방향의 유도 종합 분석 119

〈표 43〉 체험된 경험의 지각 종합 분석 120

〈표 44〉 흐름의 공간 체험 종합 분석 121

〈표 45〉 의식화된 공간의 의미 종합 분석 122

〈표 46〉 관계요소 종합 123

〈표 47〉 데이비드 치퍼필드 건축과 현상학적 공간 특성의 관계 정리 126

〈그림 1〉 연구 흐름도 17

〈그림 2〉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3 19

〈그림 3〉 Form Matters, London, UK, 2009. 22

〈그림 4〉 '데이비드 치퍼필드 초청 강연', 서울, 2023 24

〈그림 5〉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공간적 특징 구분 다이어그램 28

〈그림 6〉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공간적 특징 구분 33

〈그림 7〉 지각의 개념 47

〈그림 8〉 퐁티의 지평 개념 50

〈그림 9〉 메를로 퐁티의 공간 개념 56

〈그림 10〉 정위의 개념과 실존적 공간구조 57

〈그림 11〉 공간의 상황에 의해 규정되는 신체 58

〈그림 12〉 시각의 애매성에 의한 깊이의 지각 60

〈그림 13〉 Steven holl, Storefront for Art and Architecture 70

〈그림 14〉 현상학적 정위의 공간 71

〈그림 15〉 Herzog & de Meuron, Ricola Storage Building 72

〈그림 16〉 깊이의 공간 72

〈그림 17〉 Ando Tadao, Museum SAN, 2018. 73

〈그림 18〉 운동의 공간 73

〈그림 19〉 Daniel Libeskind, The Daniel Libeskind, 2001 74

〈그림 20〉 경험된 공간 75

〈그림 21〉 Peter Zumthor, Therme Vals, 1996. 79

〈그림 22〉 Ando Tadao, Garden of fine art, 1994. 80

〈그림 23〉 Sou Fusimoto, House N, 2008. 81

〈그림 24〉 Peter Zumthor, Bruder Klaus Chapel, 2007. 81

〈그림 25〉 Bernard Tschumi, Parc de la Villette, 1998. 83

〈그림 26〉 Ando Tadao, Church on the Water 83

〈그림 27〉 Peter Zumthor, Kolumba Museum, 2007. 84

〈그림 28〉 Ando Tadao, Hill of the Buddha, 2015. 85

초록보기

 현대사회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건축은 피상적 현상에 집중한 경향을 보였고, 이는 환경과 지속가능성, 사회적 불평등 등의 문제들을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는 공간의 본질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기 시작했으며, 단순히 시각적 표현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건축가의 역할과 공간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현대 건축의 트렌드를 이끌며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건축으로써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건축가가 다수 선정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 건축의 경향은 건축에 대한 건축가의 방법이 자기표현의 수단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을 통해 사회와 사람의 관계에 집중하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건축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독려와 관심은 2023년 프리츠커 건축상의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수상자인 데이비드 치퍼필드는 지역과 건축물, 체험하는 사람과 공간 등 다양한 상호관계성에 대해 집중하여 지속가능한 공간을 제안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건축은 실질적 존재로서 자연과 같이 우리 주변에 배경으로 존재해야 하며 건축가가 사회에 미치는 새로운 역할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 사회, 환경, 공간에 대한 상호관계성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고, 사람은 신체를 통해 다감각적으로 지각하며 움직이고 공간에 머무른다. 사람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는 건축을 위해서는 공간의 본질에 대한 연구와 사람이 공간에서 체험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점이 현대건축에서 현상학적 접근이 필요한 의의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현상학 중에서도 지각을 통한 몸의 체험으로 주체와 객체 간의 상호관계성을 궁구했던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관점과 유사하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는 2023년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이며 '상호관계적 접근을 통해 지속가능한 건축' 을 만들어 낸다고 평가받는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을 통해 현시대 건축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공간 특성을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우선,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내외 논문 자료 및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과 방법론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첫째,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건축적 배경과 사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네 가지 건축 특성과 그에 따른 공간표현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둘째, 지각의 현상학의 배경과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그중 공간론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선행연구 통해 정위, 깊이, 운동, 체험된 공간이 어떤 방식을 통해 공간에 현상학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현상학적 공간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접근관점을 상황적 방향의 유도, 체험된 경험의 지각, 흐름의 공간 체험, 의식화된 공간의 의미, 네 가지로 도출하였고, 더욱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총 여덟 개의 하위 특성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작품 중 12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2장에서 정리된 내용과 3장에서 도출된 요소들을 대입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적 방향의 유도에서 의도된 동선을 인지하여 움직임을 행하게 되는 정적인 유도와 시각적 자극을 주어 새로운 방향으로 유도하는 동적인 유도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체험된 경험의 지각에서 모호한 경계를 통한 인식의 확장성과 시각이 촉각으로 전이된 촉지적 환유성을 통해 반객관적 경험이 환원의 과정에 의해 체험된 경험을 지각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흐름의 공간 체험은 주체의 신체적 움직임에 의한 시점의 변화와 자연적 요소의 시간성이 지각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해 공간 흐름을 체험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의식화된 공간의 의미는 공간의 맥락적 표현들이 개인의 기억, 장소의 기억과 상호관계되어 공감각적 자극을 받은 감정이 공간에 의미를 부여해 시간적 동시성을 부여하며, 미지의 세계를 현전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치퍼필드 건축에서 지각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현상학적 전술을 통해 장소적, 관계적, 유기적인 공간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는 현상학적 표현을 통해 장소적 관계성까지 접근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건축의 과제 중 하나인 지속 가능한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현대 건축에서 지각의 현상학적 맥락에 근거한 공간표현의 전략이 우리의 지각을 활성화하며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존재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건축과 공간의 표현에 관계하여 존재에 대한 반성과 주관성의 회복에 대한 현상학적 인식의 긍정적 관점을 제시하며, 현상학적 공간 특성 분석을 통해 신체 지각과 연계된 공간의 언어를 부여하는 매개적 요소로서의 증명과 공간 특성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으며, 이후 현상학적 공간에 대한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