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8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12

Ⅱ. 김병섭류 설장고춤의 형성 과정 14

1. 김병섭류 설장고춤의 역사적 배경 14

2. 김병섭의 생애 15

3. 김병섭류 설장고의 전승 과정 17

Ⅲ. 김병섭류 설장고춤의 양식분석 19

1. 무대분석 19

2. 악기 23

1) 장고 23

2) 태평소 24

3. 복식 26

4. 장단 27

1) 다스름 27

2) 휘모리장단 27

3) 동살풀이장단 27

4) 굿거리장단 28

5) 자진모리장단 28

6) 좌우치기 28

7) 연풍대 28

5. 춤사위 30

Ⅳ. 김병섭류 설장고춤의 양식적 특성 32

1. 공간성 32

2. 자연성 33

3. 즉흥성 34

Ⅴ. 김병섭류 설장고춤의 양식적 특성에 기반한 무용창작 35

1. 공간성 36

1) 다스름 공간분석 36

2) 휘모리장단 공간분석 37

3) 동살풀이장단 공간분석 37

4) 굿거리장단 공간분석 39

5) 자진모리장단 공간분석 40

6) 연풍대 공간분석 40

2. 자연성 41

1) 음악사용 41

2) 복식 43

3. 즉흥성 45

Ⅵ. 결론 52

참고문헌 54

Abstract 56

부록 1. 58

표 1. 선행연구검토 11

표 2. 전승 계보 18

표 3. 무대 분석 1 20

표 4. 무대 분석 2 20

표 5. 무대 분석 3 21

표 6. 무대 분석 4 21

표 7. 무대 분석 5 21

표 8. 무대 분석 6 22

표 9. 무대 분석 7 22

표 10. 무대 분석 8 22

표 11. 김병섭류 설장고춤 장단 29

표 12. 김병섭류 설장고춤의 춤사위 30

표 13. 작품 공연의 세부 사항 35

표 14. 다스름 공간 분석 36

표 15. 휘모리장단 공간 분석 37

표 16. 동살풀이장단 공간 분석 38

표 17. 굿거리장단 공간 분석 39

표 18. 자진모리장단 공간 분석 40

표 19. 연풍대 공간 분석 40

표 20. '新설장고춤'의 악기 구성 42

표 21. '新설장고춤' 의상 44

표 22. '新설장고춤' 장단 및 춤사위 46

그림 1. 연구절차 12

그림 2. 김병섭 명인 15

그림 3. 장고 24

그림 4. 태평소 25

그림 5. 설장구보존회 제1회 정기발표회 공연 복식 26

그림 6. '新설장고춤' 의상 43

초록보기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른 문화들이 수용되면서 새로운 문화가 탄생하고. 기존 문화들은 변화하며 사라지기도 한다. 다양한 변화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부정적인 면들도 존재한다. 가령, 창작 춤은 화려한 기술과 관객들의 호응이 중심이 되면서 전통의 의의가 사라지고 본질이 변질되고 있다. 따라서 춤의 원형을 보존하고 현시대의 흐름에 맞게 변화하며 재구성하는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설장고춤은 농악이 지닌 공연성을 극대화한 연행 예술이다. 여러 농악 중 호남우도농악의 발상지로 보이는 정읍농악은 현시대에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호남우도농악은 김학순, 김홍집, 전사섭, 김병섭 등 여러 명인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계승되고 발전되었다. 그 중 김병섭류 설장고춤은 우도농악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경쾌하면서도 멋이 돋보이며 음악적, 무용적 요소가 잘 어우러진 작품이다. 무용적인 요소를 더하고 변화된 가락들을 추가하여 재 탄생시켜 김병섭류 설장고춤을 형성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김병섭류 설장고춤은 많은 사람에게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현재 공연장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본 연구자는 2020년 무용 연습실에서 진행된 성윤선의 장고수업을 수강하여 김병섭류 설장고춤을 접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김병섭류 설장고춤을 선정하여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故김병섭선생님 추모기념공연 설장고보존회-제1회 정기발표회' 영상자료를 통하여 깊은 작품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김병섭류 설장고춤 작품을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외부적 요소(con-text)와 내부적 요소(co-text)로 나누어 분석한다. 김병섭류 설장고춤은 공간성·자연성· 즉흥성 세 가지의 양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자의 창작 작품 '新설장고춤'에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김병섭류 설장고춤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고, 김병섭류 설장고춤은 창작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함으로 더욱 심도깊은 후속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