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7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9
1. 포스트모던 시기 '노마디즘'의 등장 9
2. '집' 개념의 변화 10
3. 포스트모던 시대 임시 건축의 특징 12
제2절 연구범위 및 연구질문 14
제2장 포스트모던 노마디즘과 노마드 양상 16
제1절 포스트모더니즘과 노마디즘 16
1. '리좀'의 노마디즘 16
2. '클리나멘'의 노마디즘 19
3. 포스트모던 노마드 양상 22
제2절 노마디즘 새로운 시간과 공간 25
1. 새로운 시간 25
2. 새로운 공간 27
제3절 노마디즘의 정체성 변화 29
제3장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에서 '집' 개념의 변화 37
제1절 문화적 맥락에서 '집' 개념 변화 37
제2절 사회경제적 요인이 '집' 개념에 미치는 영향 48
제4장 노마드 집의 존재론적 양상 53
제1절 노마드 집의 특징 및 장점 53
제2절 노마드 집의 다양한 유형들 57
1. 디지털 플랫폼 NoMAS 57
2. Nomadic Resorts의 "The Looper Suits" 59
3. Nomadic Homes: A-Frame Houses 62
4. The Rolling House 64
5. Mercury House Two 66
6. 다른 추세와 프로젝트 68
제5장 결론 71
참고문헌 74
Abstract 79
〈그림 1〉 Looper Suites | Nomadic Resorts, Wild Coast Tented Lodge. Mark Hernandez Folguera, Sri Lanka 59
〈그림 2〉 Modular House | Nomadic Homes, Romania 62
〈그림 3〉 DO Architects Develop "Rolling Homes", Lithuania 64
〈그림 4〉 Mercury House Two, Architecture and Vision, California City / United States 66
포스트모던 시대에 삶의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인류 역사를 통틀어 유지되어온 불변의 개념도 변화를 겪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집'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업무 관련 관행을 넘어 주택과 관련된 측면도 포함한다. 포스트모던 노마디즘은 각 개인의 개성을 유지하면서 문화라는 단일한 시공간을 재창조하기 위해 발생하며 우주를 하나의 폴리스로 만드는 행위가 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에 노마드 생활 방식의 의미 자체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고 이제 사람은 여행, 새로운 경험 등으로 인해 움직이고 싶어 한다. 시간, 장소, 정체성의 변화로 통해 새로운 가치를 형성되어 삶의 방식에 대한 견해도 변하고 있다. 삶의 방식을 바꾸면 집 개념도 바뀐다는 뜻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임시 건축의 존재론적 의미를 '노마드 집'을 통해 고찰했다. 현대 노마드 집은 전통적인 유목 주택에서 그 시작을 찾을 수 있으며, 주택 이동의 개념과 빠른 짓기의 측면에서 유사점을 갖는다. 그러나 구체적인 필요성에서는 차이를 드러낸다. 이에 임시건축을 둘러싼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을 분석하고, 임시 건축의 개념, 노마드 집 양상의 변화, 나아가 미래 임시 건축의 변화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포스트모던 연구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사용하여 임시 건축의 양상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텍스트 분석을 주요 방법론으로 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포스트모던 시대에 노마디즘의 시간과 장소, 정체성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둘째, 포스트모던 시대 집의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셋째, 주택 개념의 패러다임 전환에서 노마드 주택 형태의 임시 건축물은 어떤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가? 넷째, 지속가능한 임시건축의 미래에 대해 어떤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가?
포스트모던은 노마드를 위해 외부적인 이유로 이동을 강요당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욕구에 따라 이동하는 새로운 유목 조건을 만드는 것이다. 주제 외부의 객관적 존재론적 귀속으로서의 시간 개념을 거부하는 포스트모던은 이를 움직이는 주제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던의 주체인 노마드는 모던의 것과는 다른 새로운 시간 감각의 경험을 한다. 서구 세계의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공간을 인식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가져왔다. 포스트모던에서 공간은 더이상 앉아서 생활하는 시민의 전통적인 세계에서 발견되는 구조화되고 각진 특징으로만 특정지어지지 않는다. 또한 새로운 노마드의 정체성은 전통적인 정착된 사회적 연결의 한계를 초월하고 "타자(타인)"와의 새로운 상호 작용 방식과 새로운 형태의 협력 참여에 대한 개방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노마디즘은 취약한 소속감을 특징으로 하며 개인은 종종 자신의 직업이나 여가 활동, 영토의 문화적 소속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초국적 문화에 참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마드는 탈영토화된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위치에 적응하는 유동적인 자아 감각을 특징으로 한다.
산업 사회에서 포스트모던의 상황에 노마드는 문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집의 내러티브가 바뀌고 집 자체가 전통적인 기능을 상실한다. 집의 이미지는 특히 현대 노마드 시대에 역동적으로 되었다. 집은 개념이 새롭고 다른 의미 있는 개념으로 지내고 되고, 이제 거주자를 다른 현실로 옮기는 변형 수단으로 작용하여 이동성을 얻을 수 있다.
노마드 건축은 우리가 한 장소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임시 집은 주택 구성과 관련하여 주민들에게 더 넓은 범위의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에게 힘을 실어준다. 각 점진적인 단계가 필요와 선호도에 대한 적응성, 유연성 및 민감성을 제공하므로 유연한 확장 및 공간 분할 가능성이 향상된다. 이는 노마드 주택의 정신과 일치하여 다재다능하고 수용 가능한 주택 솔루션이 된다. 비판적인 관점에서 보면 임시 건축은 다양한 환경 전반에 걸쳐 이동성, 유연성 및 임시성을 일관되게 구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노마드 주택의 다양성, 특징, 장점 및 단점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노마드 주택을 사례 연구로 활용해 인류가 겪게 될 건축의 미래와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해 전망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오늘날 사람들은 집을 자신의 필요에 맞게 변경하고 집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집은 인간의 삶의 방식을 반영함으로써 세상이 어떻게 역동적이고 불안정하며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노마디즘에 가입하는 증가 추세는 노마드 주택의 활용도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것이 지금 전통적인 건축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추세가 건축 환경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