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0
제1장 서론 11
제2장 작품 형성의 이론적 배경 13
2.1. 구술사와 기억의 공간 13
2.1.1. 구술사의 개념과 역사 14
2.1.2. 구술사와 기억과의 관계 16
2.1.3. 개인 기억과 집합 기억의 상호작용 - 공간에 대한 모리스 알브바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18
2.2. 여성의 공간 22
2.2.1. 1970년대 이후 페미니즘의 흐름 22
2.2.2. 여성의 문화적·심리적 공간 : 브래샤 리히텐베르그 에팅거의 모체 이론을 중심으로 23
2.3. 미술사적 접근 29
2.3.1. 구술사와 기억의 공간 29
2.3.2. 여성의 문화적·심리적 공간 38
제3장 창작 표현 44
3.1. 할머니들의 구술과 기억의 공간 44
3.1.1. 교회 44
3.1.2. 경로당 63
3.2. 할머니들의 문화적·심리적 공간 88
3.2.1. 모체의 공간 88
3.2.2. 이천시립박물관 : 기억과 역사의 공간 95
3.2.3. 영귀미 : 삶과 기억의 공간 98
제4장 결론 104
참고 문헌 107
Abstract 109
[도판1] Bracha Lichtenberg Ettinger 〈Painting: Matrix - Family Album series〉 n.3, 2001 25
[도판2] Bracha Lichtenberg Ettinger, 〈Eurydice, The Graces, Medusa〉 Oil painting, 2006-2012 25
[도판3] Bracha Lichtenberg Ettinger, 〈Eurydice, The Graces, Persephone〉, oli on canvas, 50 x 43.5cm, 2006-2012 26
[도판4] Bracha Lichtenberg Ettinger, No Title yet, n.1 (St. John the Baptist), Oil on canvas, 29 x 54cm, 2003-2009 27
[도판5] 이수경, 〈Copied Plate〉, 세라믹, 가변크기, 2003 29
[도판6] 이수경, 〈Parental Plates〉, Single-channel video & sound, 17min. 32sec, 2003 30
[도판7] 김현주, 조광희, 〈시장-詩작〉, 6채널 비디오 설치, 5분, 혼합매체, 가변크기, 2021 31
[도판8] 예술장돌뱅이, 〈예술장돌뱅이〉, 퍼포먼스, 2021 32
[도판9] 공미선, 〈인생은 달고나〉, 퍼포먼스, 2021 33
[도판10] 김인경, 〈시간헤나〉, 퍼포먼스, 2021 34
[도판11] 이율리, 〈해달정상회담〉, 퍼포먼스, 2021 35
[도판12] 정하응, 〈홍천, 소리의 리하모니제이션〉, 스피커, 앰프, Solar module, LED 전구, 가변설치, 2021 36
[도판13] 김수자, 〈Portrait of Yourself〉, Thread ink, crayon, and acrylic on used cloth, 가변크기, 1985 38
[도판14] 故조금앵 배우와 팬의 가상 결혼식 사진, 영화 '왕자가 된 소녀들' 캡쳐 41
[도판15] 정은영, 〈뜻밖의 응답〉, 단채널 비디오, HDV, 스테레오, 7분 58초, 2010 42
[작품1] 박주희, 〈Recording project #Unknown〉, 단채널 영상, 10분 13초, 2021 45
[작품2] 박주희, 〈Recording project #유옥순 1〉, 단채널 영상, 3분 25초, 2018 47
[작품3] 박주희, 〈Recording project #유옥순 2〉, 2채널 영상, 자갈, 9분 25초, 2021 49
[작품3] 박주희, 〈Recording project #유옥순 2〉 설치전경 50
[작품4] 박주희, 〈Recording project #임옥재〉, 종이, 가변크기, 2021 51
[작품5] 박주희, 〈Recording project #심경애〉, 사운드, 의자, 실, 5분 16초, 2021 53
[작품6] 박주희, 〈Recording project #하복선 2-1〉, 단채널 영상, 설치, 2분 6초, 2021 55
[작품7] 박주희, 〈Recording project #하복선 2-2〉, 단채널 영상, 설치, 4분 15초, 2021 57
[작품8] 박주희, 〈Recording project #하복선 2-3〉, 단채널 영상, 설치, 4분 48초, 2021 59
[작품9] 박주희, 김종기 〈순례 여행〉, 영상, 2분 28초, 2021 65
[작품10] 박주희, 박남수 〈아버지의 노래〉, 영상, 3분 22초, 2021 66
[작품11] 박주희, 안옥분 〈신기스러워요〉, 영상, 8분 43초, 2021 68
[작품12] 박주희, 오월선 〈사는 건 재미있는 것이에요〉, 영상, 5분 28초, 2021 72
[작품13] 박주희, 장옥녀 〈다들 그렇게 살았다〉, 영상, 2분, 2021 75
[작품14] 박주희, 최복례 〈그 사람〉, 영상, 3분 21초, 2021 76
[작품15] 박주희, 장흥월 〈아주 기적처럼 살겠어〉, 영상, 3분 35초, 2021 78
[작품16] 박주희, 김종기 〈사랑 노래〉, 영상, 4분 08초, 2021 81
[작품17] 박주희, 박남수 〈나의 노래〉, 영상, 2분 25초, 2021 82
[작품18] 박주희, 안옥분 〈양은솥, 세탁비누, 송사리, 각재〉, 영상, 2분 33초, 2021 84
[작품19] 박주희, 오월선 〈사는 방법〉, 영상, 4분 23초, 2021 85
[작품20] 박주희, 장옥녀 〈잊혀지는 것〉, 영상, 2분 36초, 2021 86
[작품21] 박주희, 최복례 〈그의 신발〉, 영상, 2분 42초, 2021 87
[작품22] 박주희, 〈기울여 헤아리는〉, A4 사이즈 종이, 펜, 얼음, 가변설치, 2022 89
[작품23] 박주희, 〈양은솥〉, 혼합재료, 영상, 300 x 300 x 400mm, 20분, 2022 92
[작품24] 박주희, 〈세탁비누〉, 크리스탈 레진, LED, 아두이노, 합판, 시멘트, 자개, 자갈, 607 x 4.410 x 250mm, 2022 92
[작품25] 박주희, 〈송사리〉, 혼합재료, 영상, 350 x 350 x 300mm, 4분 32초, 2022 93
[작품26] 박주희, 〈각재〉, 혼합재료, 영상, 607 x 400 x 900mm, 24분 38초, 2022 93
[작품27] 박주희, 〈Un Stable 2023〉, 혼합재료, 가변크기, 2023 96
[작품28] 박주희, 〈까꿍!〉, 혼합재료, 가변설치, 2022 97
[작품27] 박주희, 〈노동 그릇〉, 시멘트 그릇 40여 점, 스피커, 가변크기, 2023 100
[작품27] 박주희, 〈노동 그릇〉 설치 전경 102
이 논문은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에 거주하는 할머니들의 구술을 통해 그들의 삶과 기억을 기록하고, 그것을 통해 소외된 할머니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술사의 방법을 활용하여 할머니들의 이야기와 기억을 텍스트, 영상,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록하고 표현한다.
1장인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 관해 설명한다. 본인이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주목하게 된 배경과 그들을 기록하려고 하는 이유에 대해 간략히 이야기한다.
2장에서는 할머니들을 기록하기 위한 구술사의 방법과 소외된 여성과 모체(Matrix)를 주제로 살펴본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에 들어오며 다양성과 개별성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구술사에 대한 개념과 한국에서의 구술사의 흐름에 대해서 언급하고, 개인 기억과 집합 기억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인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에 대해 주목한다. 또한, 소외된 여성이라는 측면에서 페미니즘의 등장과 여성의 문화적·심리적 공간에 대해서 살펴보고, 본인 작품 형성에서 중요한 개념인 모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3장 창작표현에서는 구술 사적 방법으로의 탐구와 문화적·심리적 공간으로의 탐구에 따라 작품을 분류하여 설명한다. 구술 사적 방법으로의 탐구를 통해서 교회와 경로당의 할머니들을 인터뷰하고 기록하는 행위 자체를 작품으로 제작하고, 더 효과적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담기 위해 노력한다. 문화적·심리적 공간으로의 탐구에서는 구술 사적 탐구뿐 아니라, 할머니들의 말과 행위를 넘어서 그들의 차별의 이야기가 드러나는 공간에 대한 복합적인 요소들에 주목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술사의 방법으로 사회에서 소외된 할머니들을 탐구하고, 그들을 기록하는 다양한 미술적 방법에 관해서 탐구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