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Ⅰ.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1.3. 선행연구 분석 19
1.4. 연구 흐름도 22
Ⅱ. 인식과 공간 경계 23
2.1. 현대 사회와 사용자의 인식확장 24
2.1.1. 현대 사회의 변화 25
2.1.2. 사용자의 인식 확장과 감성의 시대 29
2.2. 현대 공간의 의미와 확장 34
2.2.1. 현대 공간의 정의 및 범위 34
2.2.2. 현대 공간의 변화 35
2.2.3. 현대 공간의 특징 36
2.3. 경계의 의미와 확장 38
2.3.1. 경계의 정의 및 범위 38
2.3.2. 경계의 시대별 인식 변화 43
2.3.3. 현대의 경계 44
Ⅲ. 경계의 모호성 연구 47
3.1. 경계의 모호성 48
3.1.1. 모호성 용어 설명 48
3.1.2. 경계의 모호성 49
3.2. 메를로 퐁티의 키아즘 51
3.2.1. 키아즘의 이론적 배경 51
3.2.2. 키아즘의 경계 특징 53
3.3. 자크 데리다의 파레르곤 56
3.3.1. 파레르곤의 이론적 배경 56
3.3.2. 파레르곤의 경계 특징 59
3.4. 모호한 경계 공간의 특성 61
3.4.1. 키아즘과 파레르곤의 상호작용 61
3.4.2. 모호한 경계 공간 특성 요소 62
Ⅳ. 사례 분석 71
4.1. 사례 분석의 기준 및 분석 방법 72
4.1.1. 사례 분석 공간 선정 72
4.1.2. 사례 분석 방법 73
4.1.3. 사례 분석 틀 74
4.2. 사례 분석 75
4.3. 소결 84
Ⅴ. 결론 88
참고문헌 94
Abstract 96
〈표 1-1〉 시대의 흐름과 디자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 19
〈표 1-2〉 공간과 모호한 경계에 관한 선행 연구 20
〈표 2-1〉 감성의 시대 관련 용어 정리 33
〈표 2-2〉 시대별 경계 인식의 변화 46
〈표 3-1〉 모호성의 개념 및 성질 49
〈표 3-2〉 키아즘의 경계 특성 요소 55
〈표 3-3〉 파레르곤의 경계 특성 요소 59
〈표 3-4〉 무한성으로 표현되는 모호한 경계의 공간적 세부특성 63
〈표 3-5〉 비정형성으로 표현되는 모호한 경계의 공간적 세부특성 66
〈표 3-6〉 확장성으로 표현되는 모호한 경계의 공간적 세부특성 68
〈표 4-1〉 사례분석 대상 리스트 73
〈표 4-2〉 사례분석 틀 74
〈표 4-3〉 사례분석 1 77
〈표 4-4〉 사례분석 2 79
〈표 4-5〉 사례분석 3 81
〈표 4-6〉 사례분석 4 84
〈표 4-7〉 사례종합 87
〈그림 1-1〉 연구흐름도 22
〈그림 2-1〉 디지털 혁명의 공간 인식 변화 〈연구자 작성〉 26
〈그림 2-2〉 메타버스 - 컴투버스 26
〈그림 2-3〉 다원 주의의 공간 인식 변화 (연구자 작성) 28
〈그림 2-4〉 윌리엄 포사이스 - 흩어진 군중 28
〈그림 2-5〉 메를로 퐁티 관점에서 인식 개념 (연구자 작성) 29
〈그림 2-6〉 감성의 시대에 나타나는 감각, 감정, 감성의 관계 (연구자 작성) 34
〈그림 2-7〉 현대 공간의 변화 과정 (연구자 작성) 36
〈그림 2-8〉 성수연방의 기존 모습과 팝업 행사 37
〈그림 2-9〉 Wall of Solace 39
〈그림 2-10〉 Cultural Center of Beicheng Central Park in Hefei 39
〈그림 2-11〉 Milan Design Week - ROOMS 40
〈그림 2-12〉 Minsheng Contemporary Art Museum 40
〈그림 2-13〉 Xuzhou City Wall Museum 41
〈그림 2-14〉 Sestosenso by Paul Cocksedge for BMW and FLOS 42
〈그림 2-15〉 깊이 42
〈그림 2-16〉 Tate Modern Museum 43
〈그림 2-17〉 Parthenon 43
〈그림 2-18〉 The Crystal Palace 44
〈그림 2-19〉 21세기 현대미술관 45
〈그림 2-20〉 Kanagawa Institute of Technology Workshop 46
〈그림 3-1〉 키아즘의 생성 〈연구자 작성〉 53
〈그림 3-2〉 세잔의 생트빅투아르산과 바구니가 있는 정물 54
〈그림 3-3〉 에바 헤세(Eva Hesse)의 〈걸기 (Hang up)〉 57
〈그림 3-4〉 파레르곤의 생성 〈연구자 작성〉 58
〈그림 3-5〉 모호한 경계 공간 특성 요소 〈연구자 작성〉 62
〈그림 3-6〉 더현대 서울 64
〈그림 3-7〉 인왕산 숲속 쉼터 65
〈그림 3-8〉 수풍석 뮤지엄 67
〈그림 3-9〉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67
〈그림 3-10〉 섬세이 테라리움 69
〈그림 3-11〉 지평집 70
과거, 경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수동적이고 고정적인 삶의 형태를 바탕으로 이성과 합리적 가치를 요구해 왔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디지털 혁명과 다원주의와 같은 사회적 현상을 경험함으로써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새로운 기억과 경험에 대한 자극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기억과 경험에 대한 자극은 감성과 직관적 가치를 중점으로 정서적 경험을 제공하여 현대인들이 대상을 기억하는 행위 속 일련의 경험을 쌓아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사람들의 인식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대의 변화를 통해 확장된 인식은 현대인들을 '감성의 시대'로 이끌고 있다. 감성의 시대란 사람들의 인식확장을 바탕으로 대상에 내재되어 있는 기억과 경험을 반영하여 대상을 주관적인 상태로 인식하는 시대의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현대인들이 공간을 방문하는 목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인들은 이미 정해진 공간기능에 맞춰 수동적으로 공간을 사용하고 선택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 공간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다양한 관점에서 공간을 인식하여 이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얻고자 한다.
이렇게 공간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얻는 것은 공간의 소비와 직결된다. 이는 국내 소비 트렌드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서울대학교 소비자 학과 김난도 교수는 국내의 소비 트렌드 이해를 위해 매년 발간하는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 『트렌드 코리아 2023』 에서 공간력(Magic of Real Space)을 올해의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공간력이란, 현대인들이 의무적이고 수동적인 공간이 아닌, 필요에 따라 공간을 찾아가고 공간 자체가 가진 다양한 매력을 경험하고자 하는 소비 추세를 설명하는 단어이다. 이 용어를 통해 현대인들이 공간에 대한 직접적인 소비를 함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추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현대인들은 디지털 혁명과 다원주의와 같은 사회적 현상에 영향을 받아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고 다양한 경험을 얻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의 변화를 인식하고 사람들에게 특별한 공간 경험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라는 주제는 공간 디자이너의 입장에게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의 핵심 요소로 경계를 주목하였다. 경계는 공간의 기능, 역할, 사용자와의 관계 등을 구분하고 조절함으로써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에 사람들의 인식이 확장됨으로써 경계의 역할은 광범위해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주관적인 요구 및 경험과 기억에 따라 경계를 인식하는 방식 또한 달라져 경계의 영역 자체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처럼 경계는 단순하게 물리적 공간을 구분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경험과 관련하여 공간 변화의 핵심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사회의 변화를 파악하고 현대인들의 인식이 확장되는 과정을 이해한 후, 이러한 인식의 확장이 사람들을 감성의 시대로 이끌음으로써 변화하는 현대인들의 인식 체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공간과 경계에 나타나는 모호성을 이해하고, 모호한 경계로 나타나는 공간 경험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기 위해 모호성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한 메를로 퐁티(M. Merleau-Ponty)의 '키아즘(Chiasme)'과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파레르곤(parergon)' 이론을 고찰하여 모호한 경계가 공간에서 어떻게 표현 및 해석되는지 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된 모호한 경계의 특성을 바탕으로 현대공간을 분석하여 경계의 모호성 활용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
끝으로, 현대인들의 정서적 경험과 감성적 가치에 맞춰 지속적으로 공간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에 연구자가 도출한 모호한 경계 특성을 투영하고 분석함으로써, 경계의 모호성 활용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범위를 서술한다. 이후 선행연구 분석과 연구의 흐름도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차별성과 방향성을 밝힌다.
2장에서는 현대인들의 인식 확장에 영향을 제공한 사회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진행한다. 이후 현대인들을 감성의 시대로 이끈 인식의 확장과 변화하는 인식 체계에 대한 이해를 위해 인식과 감성에 대한 개념 및 사전적 정의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감성의 시대에 나타나는 현대 공간과 경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현대 공간에서 나타나는 경계의 모호성이 무엇인지 밝힌다.
3장에서는 모호성에 대한 용어 및 성질을 설명한다. 이후, 공간에 나타나는 경계의 모호성이 지니는 특성을 이해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사람들의 인식을 기반으로 대상과 주관적 경험, 경계와 주변 환경이 가지는 관계를 탐구한 메를로 퐁티의 '키아즘'과 자크 데리다의 '파레르곤'개념을 고찰하고 각 개념에서 나타내는 경계 특성을 도출한다. 이후 키아즘과 파레르곤 개념에서 도출한 특성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호한 경계 공간의 특성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앞서 도출한 모호한 경계 공간의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인식 확장에 따른 경계의 모호성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지는 연구자의 해석을 진행한다.
5장에서는 연구한 내용을 최종적으로 요약하고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이론적 가치를 서술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이 다원화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경험에 대한 자극과 목적에 따라 공간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공간 사용 양상은 사회 현상으로 인한 현대인들의 인식 확장과 경계에서 나타나는 모호성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의 인식 확장에 많은 영향을 제공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경계의 모호성을 통해 나타나는 공간 경험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여 공간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인들의 인식 확장에 영향을 제공한 사회적 현상인 디지털 혁명과 다원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러한 사회 현상들이 사람들의 인식 확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사람들의 인식 확장이 어떻게 현대인들을 '감성의 시대'로 이끌었으며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 체계의 변화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디지털 혁명은 현대인들에게 자율적 사고와 다문화 인식을 촉진하여 다양한 전개 공간을 발생시켰다. 이는 시공간의 경계를 허물어 사회적 공간을 발생시켜 관점의 변화를 이끌었다. 다원주의를 통한 새로운 가치 중심 사회는 다양성을 강조하며, 이중적인 의미를 담아내는 포용적이고 다층적인 공간을 발생시켜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 현상으로 변화하는 현대 사회는 감성과 직관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주관적 경험을 허용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때문에 시대의 변화를 이해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확장되어 고정된 인식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감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감성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감성의 시대는 현대인들의 인식확장을 통해 주관적 경험과 감정, 감각을 통합하며 대상에 대한 느낌을 모호하게 만들어, 각자의 내재된 기억과 정서적 경험을 대상에 투영하여 대상을 주관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시대로, 공간의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공간 경험을 더욱 모호하게 만드는 공간들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둘째, 시대의 변화로 인해 현대 공간에서 경계의 확장과 모호성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에 사용자의 확장된 인식은 경계의 모호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공간 경험에 대한 의미를 복합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 공간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불확정하고 광범위한 디자인을 채택하여 모호하고 다채로운 사용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간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핵심 요소로 '경계'를 주목하였다. 경계는 형태적 범위 속 공간 사용자의 감각과 관념적 인식을 기반하여 가시적인 요소와 비가시적인 요소로 나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경계의 인식이 변화하고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의 경계는 대상의 본질을 해체시키고 섞임을 통해 나타나는 다의적 성격을 가진 모호성을 중점으로 공간을 다채롭게 표현하고 여러 가지 사용성을 담아내는 표현 요소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모호성'은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 속에서 여러 의미를 혼재시키고 다원적 성격을 지니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포괄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을수록 사람들이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에 자율성을 제공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현대의 모호성은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다양성과 더불어 비가시적이고 비물질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자율성을 강조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경계의 모호성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공간의 정체성을 불확정하게 만들어 사람들이 대상을 인식하는 경험과 기억에 따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미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감성, 감정, 감각과 같은 여러 심리적 요소들의 경계가 얽혀 인지적 혼란을 겪게되고 경계의 모호함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어 새로운 정서적 경험에 대한 자극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용자의 인식과 경험 그리고 모호성 개념을 공간과 연결하여 해석을 진행하기 위해 메를로퐁티의 키아즘과 자크 데리다의 파레르곤 이론을 고찰한 결과, 메를로 퐁티의 키아즘 이론은 사용자가 대상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지각적 경험과 몸의 경험적 체험을 통해 모호성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키아즘 간의 모호성에 근거하여 나타나는 경계 특성들로 '애매성'과 '양의성', '가역성과 교차성', '확장성과 연속성'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자크 데리다의 파레르곤 이론은 사용자가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에 파레르곤의 존재가 공간의 내부 요소와 주변 요소를 인식하는 경계를 무한히 확장시켜 사용자와 공간을 서로 동등한 관계에 놓아 서로를 인식하는 경계의 영역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사용자와 파레르곤 간의 모호성에 근거하여 나타나는 경계 특성들로 '불확정성', '확장성', '비위계성'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섯째, 키아즘과 파레르곤 이론의 작품 및 대상과 사용자의 인식 관계와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두 이론의 연결점을 찾아 모호한 경계 공간의 특성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각 이론의 연결점으로는 첫째, 사용자(나)의 경험 인식을 바탕으로 주변 요소와 상호작용을 통해 모호성을 발생시켰다. 둘째, 서로 추상적이며 불확실함을 내포하고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세계 속에 존재하는 동시에, 그 세계 또한 우리에게 응시의 관점을 새롭게 되돌려 준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셋째, 경험을 기반으로 기존의 계층적 질서나 이분법적인 사고에 국한하지 않고 다의적인 해석을 통해 서로 다른 경험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한 특성으로는 '무한성', '비정형성', '확장성'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무한성'은 공간 기획의 유연성과 비움의 특징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유도하며 동시에 경계의 모호성을 유발해 공간의 영역이 계속 확장되는 경험을 제공하며, '비정형성'은 공간의 모순적인 특성을 제시하고 예상치 못한 경험과 탐색의 요소를 제공하여 공간을 새로운 시각으로 인식하며 개인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의미와 이야기를 창조하고, '확장성'은 공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고 주변 환경과 사용자의 인식 및 감각을 연결하여 모호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차원적인 감각 경험을 제공한다.
모호한 경계 특성과 인식요인을 바탕으로 국내의 현대 복합문화공간 4곳의 사례분석을 진행한 결과, 무한성에서 나타나는 세부 특성 '유연한 공간 기획', '비움'과 비정형성에 나타나는 세부 특성 '자생적인 움직임', '비예측의 혼성' 그리고 확장성에서 나타나는 세부 특성 '다면적 공간 경험', '주변 환경과 신체(몸)의 연결' 등 모호한 경계 특성들은 사용자에게 특별한 경험과 새로운 자극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인식 확장에 따라 나타나는 현대 공간에서 나타나는 경계의 모호성을 해석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사용자의 인식 확장이 모호한 경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모호한 경계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현대 공간의 디자인 및 방법에 대한 지표를 제언하는 데 가치를 둘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사례 분석 범위가 국내로 한정되어 있으며 서울권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으로 한정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경계의 모호성 특성들이 국내뿐 만 아니라 국외에 위치한 북합문화공간과 그 외 다양한 현대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는 표현 언어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끝으로 모호한 경계 공간의 특성이 계속해서 발전하고 변화해가는 공간 디자인의 양상에 맞춰 사용자들에게 흥미로운 공간의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경계 공간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이해되고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