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 요약

목차

Ⅰ. 서론 14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4

가. 연구의 배경 14

나. 연구의 필요성 18

2. 연구의 문제 및 목적 22

가. 연구의 문제 22

나. 연구의 목적 23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4

4. 선행연구 29

5. 논문 구조 34

Ⅱ. 이론적 배경 37

1. 캐릭터에 대한 이론적 배경 37

가. 캐릭터의 기원 37

나. 캐릭터의 정의 40

다. 캐릭터의 성격 46

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유형 54

마. 캐릭터의 의미 및 역할 60

2. 손오공의 캐릭터 이미지 66

가. 손오공 이미지의 기원 66

나. 손오공이 문화작품과 영화에서의 이미지 74

Ⅲ. 서사와 캐릭터의 관계에 대한 고찰 81

1. 서사학의 기원 81

2. 영웅 서사의 원형 인물과 구조 82

가. 원형 이론 82

나. 영웅 캐릭터의 정의 및 유형 87

다. 영웅 서사의 구조 91

라. 경외 및 공감의 심리적 차이 104

마. 영웅 캐릭터와 영웅 여정에서 다양한 캐릭터의 원형 간의 관계 113

3. 중국 문화의 변화 트렌드 121

가. 영웅주의 서사의 두 가지 유형 121

나. 중국 문화의 변화가 중국 영웅 캐릭터 서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125

4. 서사와 캐릭터 간의 관계 132

5. 소결 146

Ⅳ. 사례분석: 손오공 이미지의 변화 표현 148

1. 20세기: 사회주의의 민족성 탐색단계 149

가. 〈철선 공주〉에서의 손오공 이미지 149

나. 〈대요천궁〉에서의 손오공 이미지 159

다. 〈금후항요〉에서의 손오공 이미지 170

2. 21세기 초기: 민족문화 자신감 단계 177

가.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에서의 손오공 이미지 177

3. 소결 188

Ⅴ. 결론 및 제언 194

1. 논문 요약 194

2. 제언 198

참고문헌 201

ABSTRACT 220

표목차

표 1. 손오공 이미지에 관련 통계 자료(2023년 6월까지) 15

표 2. 손오공의 이미지를 표현한 대표적인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사례 25

표 3. 캐릭터 성격 형성의 표현 특징 50

표 4. 캐릭터 성격 창작의 세 가지 요소 52

표 5.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등장인물로서 캐릭터 기능 64

표 6. 서하 말기 둔황의 위린 동굴벽화에 있는 손오공 이미지 70

표 7. 중국 고대 영웅의 유형 90

표 8.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의 영웅 여정 96

표 9. 크리스토퍼 보글러(Christopher Vogler)의 영웅 여정 99

표 10.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과 크리스토퍼 보글러(Christopher Vogler)의 영웅 여정 각 단계에 대한 비교 101

표 11.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과 크리스토퍼 보글러(Christopher Vogler)의 영웅 여정 3막에 대한 정리 103

표 12. 인물 원형 및 원형 기능 116

표 13. 인물 원형 및 원형 기능 118

표 14.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과 크리스토퍼 보글러(Christopher Vogler)의 영웅 서사의 공통점 143

표 15. 영웅 서사 이론 모델에서 인물 원형의 역할, 행동, 기능 및 영웅의 무의식 145

표 16. 1941년에 창작한 〈철선 공주〉에서 손오공의 영웅 여정 150

표 17. 〈철선 공주〉에서의 인물 원형 및 원형의 기능 153

표 18. 〈철선 공주〉에서 손오공의 이미지는 원숭이, 미키마우스의 특징을 결합 157

표 19. 〈대요천궁〉(상, 하)에서 손오공의 영웅 여정 160

표 20. 〈대요천궁〉에서의 인물 원형 및 그 원형의 기능 163

표 21. 〈대요천궁〉(상, 하)에서 손오공과 옥황상제의 이미지 166

표 22. 〈대요천궁〉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손오공의 이미지는 검보화(臉譜化)의 대표적인 특성을 표현 169

표 23. 〈금후항요〉에서 손오공의 영웅 여정 170

표 24. 〈철선 공주〉에서의 인물 원형 및 그 원형의 기능 173

표 25. 〈금후항요〉에서 손오공의 이미지 특징 176

표 26.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에서 손오공의 영웅 여정 179

표 27.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에서의 인물 원형 및 그 원형의 기능 182

표 28.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에서 손오공의 이미지 특징 186

표 29. 네 편 영화에서 손오공의 이미지 특징 192

그림목차

그림 1. 중국에서 기록된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신화 인물의 등장 빈도 20

그림 2. 본 논문의 연구과정 36

그림 3. 캐릭터 성격의 형성 과정 48

그림 4. "고상 장가조(古相張家造)", 원나라 말기의 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사제 4인 불경을 구해오는 도자기 베개 71

그림 5. 옥불사(玉佛寺) 벽화에 있는 신 원숭이 하누만의 이미지 73

그림 6. 중국 고대 신화에서 물에 사는 괴물인 무지기의 이미지 74

그림 7. 『신설 서유기 이미지(新說西遊記圖像)』에서의 손오공 이미지 77

그림 8. 경극에서 손오공의 검보 이미지 78

그림 9. 단일 신화의 핵심 단원(영웅 여정의 길) 95

그림 10. 서사에서 이야기 줄거리, 캐릭터 성격 및 캐릭터 이미지의 관계 135

그림 11.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미지의 형성 139

초록보기

 애니메이션이라는 매개체가 등장한 이래 손오공 이미지는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로 되었으며, 중국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영웅적인 존재이다. 시대가 발전됨에 따라 손오공의 이미지는 애니메이션 영화작품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시기별로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손오공 이미지의 역사적 차이를 비교하면 지난 80년 동안 중국산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변화를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손오공은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는 신화적 인물임으로써 문화작품과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항상 손오공을 영웅적 이미지로 구현하고 있어 애니메이션 영화에서의 손오공 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자고 했다. 지난 100년 동안 손오공의 이미지는 시들지 않아 손오공 이미지에 대한 혁신을 연구할 의미가 있는 주제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손오공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서사 변화와 캐릭터 성격 간의 관계가 무엇인지, 캐릭터 성격과 캐릭터 이미지 간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서서 변화가 캐릭터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자고 한다. 둘째는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손오공의 이미지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러한 변화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알아보자고 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첫째는 관련 문헌을 정리하여 서사의 변화와 성격 변화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둘째는 손오공의 애니메이션 이미지에 대해 통시적 분석을 통해 그 이미지 변화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우선, 캐릭터에 관련 이론, 경외와 공감 이론 등을 정리하고 캐릭터 관련 이론을 결합하여 손오공이 확장성으로 유명함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 변화를 분석하여 손오공의 이미지를 재해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영웅 서사에서의 주인공은 대중들의 무의식을 충족시키는 원형으로 제작 목적을 돋보이는 다양한 표현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영웅 서사의 원형과 구조적 측면에서 중국의 다양한 장르의 애니메이션 영화에서의 주인공인 손오공을 분석하여 그 이미지는 이야기 줄거리에 따라 주인공에 대한 표현이 달라져 있다. 서사 변화와 캐릭터 간의 관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이야기 줄거리의 변화는 캐릭터 성격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야기 줄거리를 통하여 원형의 표현형식을 변화시키고 영웅 서사를 재구성하여 영웅 성장을 위한 성장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손오공 이미지는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밝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통시적인 측면에서 종적 연구의 차원을 설정하고 영웅의 성장 과정, 인물 원형, 가시적인 이미지, 비가시적인 이미지에서 20세기부터 21세기까지 손오공을 주인공으로 한 4편의 대표적인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에서의 손오공의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분석하고 캐릭터가 전달하는 의미를 해석하여 시기별로 손오공의 성격적 특징을 얻고 그 변화 특징과 민족성을 요약하였으며, 손오공 이미지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를 토론하였다.

이상 분석을 통하여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발전사에서 손오공 이미지의 변화는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첫째 단계는 20세기 사회주의의 만족성 탐색단계이고 둘째 단계는 21세 초기 민족문화 자신감 단계이다. 손오공 이미지의 이면에는 민족성은 시대별로의 특별한 의미를 드러냈다. 20세기에는 일제의 침략에 직면하여 손오공은 민족 감정과 반항 정신을 담고 국가 담론의 구조에서 민족적 이미지의 상징으로 되었다. 21세기에 이르러서는 손오공 이미지는 젊은 세대와 소비주의 대두와 함께 민족문화 자신감의 상징으로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를 통하여 중국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구조와 서사 가치에서 참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고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손오공의 이미지 발전 추세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