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7

Ⅱ. 이론적 배경 18

1. 메타버스 18

가. 메타버스의 개념 및 유형 18

나. 메타버스의 특징 21

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및 효과 22

2. 메이커교육 24

가.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24

나. 메이커교육과 구성주의 25

다. 가상현실 기반 메이커교육 29

3. 인권 감수성 31

가. 윤리 감수성과 인권 감수성 31

나. 인권 감수성 개념 및 특징 34

다. 인권 감수성의 구성 요소 37

Ⅲ. 연구 방법 40

1. 연구 대상 40

2. 연구 절차 및 방법 41

3. 자료 수집 및 분석 44

가. 측정 도구 44

나. 자료 수집 방법 45

다. 자료 분석 방법 46

Ⅳ. 연구실행 및 분석 48

1. 프로그램 개요 48

가. 프로그램 설계 48

나. 프로그램 모형 개발 54

다. 프로그램 과정안 57

2. 연구 결과 분석 74

가. 양적 분석 결과 74

나. 질적 분석 결과 77

Ⅴ. 결론 및 제언 92

1. 결론 92

2. 제언 94

참고문헌 96

ABSTRACT 99

부록 103

[부록1] 연구대상자용 설명문 및 동의서 103

[부록2] 인권 감수성 사전·사후 검사지 105

[부록3]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113

[부록4] 통계 결과 114

표목차

〈표Ⅱ-1〉 메타버스의 개념 19

〈표Ⅱ-2〉 메타버스 유형 비교 20

〈표Ⅱ-3〉 메타버스 특징 21

〈표Ⅱ-4〉 메이커 운동의 개념 25

〈표Ⅱ-5〉 메이커교육 정의 및 특징 26

〈표Ⅱ-6〉 윤리 감수성 기술과 덕목의 연계 31

〈표Ⅱ-7〉 윤리 감수성 7과정과 하위 항목 33

〈표Ⅱ-8〉 인권 감수성의 정의 및 특징 36

〈표Ⅱ-9〉 인권 감수성의 구성 요소별 내용 39

〈표Ⅲ-1〉 연구의 절차 및 일정 43

〈표Ⅲ-2〉 실험 설계 44

〈표Ⅲ-3〉 인권 감수성 척도의 구성 45

〈표Ⅲ-4〉 자료 수집 방법 46

〈표Ⅳ-1〉 프로그램 설계 방향 48

〈표Ⅳ-2〉 프로그램 관련 성취 기준 및 학습 요소 50

〈표Ⅳ-3〉 학습 목표 추출 51

〈표Ⅳ-4〉 프로그램 설계 53

〈표Ⅳ-5〉 프로그램 모형 및 단계별 내용 요소 56

〈표Ⅳ-6〉 프로그램의 주제 및 목표 57

〈표Ⅳ-7〉 교수·학습 내용 58

〈표Ⅳ-8〉 인권 감수성 평균과 표준편차 74

〈표Ⅳ-9〉 인권 감수성 하위요소별 평균과 표준편차 75

〈표Ⅳ-10〉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결과 76

〈표Ⅳ-11〉 공감 단계: 인권 감수성 구성 요소에 따른 질적 분석 80

〈표Ⅳ-12〉 정의 단계: 인권 감수성 구성 요소에 따른 질적 분석 83

〈표Ⅳ-13〉 발상 단계: 인권 감수성 구성 요소에 따른 질적 분석 86

〈표Ⅳ-14〉 프로토타입 단계: 인권 감수성 구성 요소에 따른 질적 분석 90

그림목차

〈그림Ⅱ-1〉 인권 감수성 구성 요소 38

〈그림Ⅳ-1〉 디자인사고 모델 단계 54

〈그림Ⅳ-2〉 padlet 활용 학생 활동 결과물 81

〈그림Ⅳ-3〉 인권마을 설계도 86

〈그림Ⅳ-4〉 등장인물(페르소나) 설정 87

〈그림Ⅳ-5〉 메타버스 플랫폼 기능 88

〈그림Ⅳ-6〉 메타버스 인권마을만들기 결과물 90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인권 감수성 함양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메이커교육의 효과성은 여러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으며 최근에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 메타버스에 기반한 메이커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현실과 가상 세계가 모호해지는 만큼, 인권 문제, 생태 문제 등 사회적 현상 및 사회 구성원들의 실제 삶과 관련하여 메타버스의 활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며 교육적 활용에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는 현실을 기반으로 재현된 환경에서 해당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그 안에서 존재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타인에 대한 공감과 감정적 몰입을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도덕과와 사회과에서 인권 감수성과 관련된 융합적 교육 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디자인사고 모델을 기반으로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다. 셋째,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다. 넷째,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이 인권 감수성 함양에 미친 효과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와 사회과를 중심으로 성취 기준을 분석하여 인권 감수성과 관련된 학습 목표를 추출하였으며 Stanford University d.School의 디자인사고 모델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약 1개월간, 총 12차시의 교과 융합형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평가 도구는 국가인권위원회(2002)에서 개발한 인권 감수성 지표 중 초등학생용 검사지를 정지석(2012)과 신옥임(2006)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하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방법의 양적 검사를 활용하였다. 양적 검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학생의 활동 결과물, 수업 성찰일지, 학생 소감문 등의 질적 검사 도구도 함께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학생들의 인권 감수성 전체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인권 감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체적으로 인권 감수성의 하위 요인인 상황 지각 능력, 결과지각 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 감수성 하위요소인 상황지각 영역은 평균 점수가 1.13점 향상되었고(p<0.05), 결과지각 영역은 평균 점수가 약 0.91점 향상되었으나(p<0.05), 책임지각 영역은 약 0.39점 다소 낮아졌으며(p<0.05)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권 감수성의 세 영역 중 상황 지각 영역이 다른 두 영역에 비해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진행한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프로그램은 인권 감수성 하위 요인 중 상황지각 요인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질적 분석을 통하여 학습의 흐름에 따른 학습자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에는 학생들 대부분이 인권이라는 용어를 자신의 삶과 괴리된 것으로 느끼는 모습을 보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인권은 자신들의 삶과 연관되어 있으며 우리 사회 속 다양한 사회적 약자들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 개인과 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점차 깨닫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처음에는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낯설게 느끼고 메타버스 기반 메이킹 활동을 할 때에 기능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상당한 기대감을 가지고 프로그램 참여에 적극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 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비교하여 적용 후에 학습자들의 인권 감수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초등학생의 인권 감수성 함양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메이커교육의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