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1
Ⅰ. 들어가며 13
1. 연구자의 이야기 14
가. 화가, 그림책 작가의 꿈이 SNS 웹툰 창작자의 꿈이 되기까지의 여정 14
나. 아이들이 좋아하는 미술 시간 만들기 16
다. 바른 웹툰 교육에 관한 관심 19
2. 연구의 필요성 22
3.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31
Ⅱ. 이론적 배경 33
1. 디지털의 등장에서 SNS까지 33
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33
나. 디지털이 만든 새로운 생태계, SNS의 이해 35
다. 생성되고 사라지는 SNS 37
라. SNS가 만든 새로운 사람들, 인플루언서와 크리에이터 38
마. SNS가 만든 새로운 미디어, 1인 미디어 40
2. SNS 웹툰의 이해 43
가. SNS 웹툰의 시초, 만화 43
나. 웹툰의 등장과 발전, AI가 제작하는 웹툰까지 45
다. SNS 웹툰의 등장 53
3.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 57
가. 디지털과 미술, 뉴미디어 예술작품 57
나. 디지털과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의 변화 58
다. 디지털과 미술교육,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변화 61
마. 디지털과 미술교육, 만화와 미술교육 64
4. 선행연구 분석 68
Ⅲ. 연구 방법 74
1. 질적 사례연구 74
2. 사례 선정 기준 77
3. 연구 자료의 수집과 연구참여자와의 관계 쌓기 83
4. 자료의 분석 91
5. 글쓰기 100
Ⅳ. 3인의 SNS 웹툰 창작 경험 107
1. 연구 참가자별 경험 107
가. 약사세요의 경험 107
나. 향횰이의 경험 109
다. 서늘한여름밤의 경험 113
2. 3인의 SNS 웹툰 창작 경험에 관한 이야기 117
가. 범주 1: 잠재된 상태의 배아 117
나. 범주 2: 배아의 발아 조건, 디지털 150
다. 범주 3: 발아와 성장 186
라. 범주 4: SNS 창작자의 정체성을 가진 새로운 나 249
3. 창작 정체성을 지닌 성숙한 나 279
가) 나와의 화해 279
나) 삶의 기록이자 나침반 284
다) 수치심과 친해지기 289
라) 영향력 알아가기 295
마) 좋아하는 나의 모습 되어가기 302
Ⅴ. 논의 308
1. SNS 창작과 소통이 만들어낸 새로운 일상 308
가. '놀이'로서의 SNS 웹툰 창작의 의미 308
나. '열린 창작의 문'으로서의 SNS 웹툰 창작의 의미 314
다.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와 포용'으로서의 SNS 웹툰 창작의 의미 321
2. '새로운 나' 인식이 바탕이 되는 소통과 관계 중심의 미술교육 340
가. '소통과 관계'가 더해진 미술 창작 교육 340
나. '새로운 나' 형성 과정으로서의 창작 344
다.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미술 창작 347
Ⅵ. 나가며 350
1. 결론 350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356
참고문헌 360
ABSTRACT 371
부록 374
〈부록1〉 첫 코딩의 결과 375
〈부록2〉 매트릭스 분석 과정 379
〈부록3〉 재코딩 결과 381
[그림 1] AI 미드저니의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 24
[그림 2]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의 등장 39
[그림 3] AI와 인간의 협업으로 완성한 '파이돈' 51
[그림 4] 로봇 팔이 파이돈을 그리는 장면 52
[그림 5] 만화와 SNS 웹툰의 차이점 56
[그림 6] 약사세요의 유튜브 85
[그림 7] 약사세요의 블로그 86
[그림 8] 향횰이의 블로그 86
[그림 9] 서늘한여름밤의 SNS 웹툰이 출판된 단행본 87
[그림 10] 서늘한여름밤의 에세이 단행본 87
[그림 11] 서늘한여름밤의 30일 셀프 카운슬링 다이어리 1~3 [전3권] 88
[그림 12] 연구의 축코딩 결과 98
[그림 13] 약사세요의 대표 이미지 107
[그림 14] 약사세요 약국의 내부 전경 108
[그림 15] 약사세요의 약국 관련 패키지 108
[그림 16] 향횰이의 웹툰 속 향횰이 109
[그림 17] 향횰이의 치과툰 111
[그림 18] 향횰이의 육아와 일상을 소재로 한 일상툰 112
[그림 19] 서늘한여름밤의 인제대학교 강의 자료 중 일부 113
[그림 20] 뜻밖의 퇴사와 뜻밖의 그림일기 114
[그림 21] 나의 일상을 그림일기로! 115
[그림 22] 공적 마스크에 관한 약사세요의 웹툰 중 일부 123
[그림 23] 폐의약품 수거와 관련된 약사세요의 웹툰 중 일부 124
[그림 24] 대체조제와 관련된 약사세요의 웹툰 중 일부 126
[그림 25] 치과 진료가 비싸지는 이유에 대한 향횰이의 웹툰 130
[그림 26] 한적한 바닷가 마을에서 두 아이를 기르는 경험을 공유하는 향횰이 133
[그림 27] 웹툰으로 육아 경험을 나누는 향횰이 134
[그림 28] 내 마음을 이해해줘 136
[그림 29] 창의적인 치위생사 생활을 했던 향횰이 141
[그림 30] 네이버, 오늘의 집, KBS, MBC, EBS, JTBC에서 방영된 향횰이의 컨테이너 하우스 142
[그림 31] 약사세요 약국, 비로컬 143
[그림 32] 약사세요 약국 내부, 데일리팜 143
[그림 33] 네이버 스토어의 약사세요 상점, 스티커 145
[그림 34] 약사세요가 온라인상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이미지 146
[그림 35] 작품과 감상평 155
[그림 36] 작품을 주변인에게 공유하는 독자 159
[그림 37] 서늘한여름밤의 아무 마음 유튜브 채널 180
[그림 38] 향횰이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180
[그림 39] 향횰이의 첫 무빙툰 181
[그림 40] 치과툰을 연재하게 된 계기 196
[그림 41] '엄마의 마음'이라는 진정성이 담긴 웹툰 197
[그림 42] 웹툰을 통해 치과 검진을 권하는 향횰이 201
[그림 43] 치과 보험협회 로고 제작 에피소드 202
[그림 44] 정보를 전달하기 205
[그림 45] 서늘한여름밤의 심리 상담과 심리 코칭에 관한 웹툰 208
[그림 46] 나의 이야기를 하는 위험함 244
[그림 47] 서늘한여름밤의 인제대학교 강의 자료 중 일부 251
[그림 48] 약사세요의 자기소개 255
[그림 49] 향횰이와 치과의 협업툰과 무빙툰 267
[그림 50] 약사세요의 협엽 작품 272
[그림 51] 끌어안을 거야 너를 280
[그림 52] 다 내 삶의 일부입니다 282
[그림 53] 눈에 보이지 않았던 감정을 이미지로 287
[그림 54] SNS 웹툰 창작 활동에서의 순환 구조 347
이 연구는 SNS 기반 웹툰 창작 경험의 이해를 통한 미술교육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시작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SNS 웹툰이라는 새로운 장르에 주목하고, 이를 통한 1인 창작자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SNS 웹툰 창작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5년 이상 SNS에서 100편 이상의 웹툰을 연재한 세 명의 창작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창작 경험은 소통과 창작의 결합, 디지털 도구의 접근성과 편리함, 그리고 창작 과정에서의 다양한 어려움, 새로운 나와의 만남이라는 관점에서 깊이 있게 분석되었다. 창작자들은 디지털 기술의 접근성과 편리함을 활용하여 창작의 범위를 확장하고, SNS를 통해 새로운 출판의 기회를 얻었다. 이러한 경험은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정체성과 자신감을 부여했다.
창작 과정에서 창작자들은 무관심, 관심, 악의 및 무례함과 같은 어려움에 직면하였으나, 이들은 이를 이겨내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들의 경험은 SNS 창작자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SNS 창작 정체성'은 개인의 자신감과 성취감을 증진했다. 'SNS 창작 정체성'은 연구참여자가 진심으로 좋아하는 긍정적인 자아상이라는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인간과 디지털의 새로운 만남을 통해 창작과 소통의 의지가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SNS 웹툰 창작 활동은 창작자의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자기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선순환되며 창작 과정과 개인을 성장할 수 있게 하였다. SNS 웹툰 창작 활동은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창작 정체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제공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SNS 웹툰 창작은 놀이와 자아 실현의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창작과 소통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일상과 문화라는 논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디지털 시대의 창작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고, 창작자들의 내면적 성장과 사회적 영향력의 확장 가능성을 이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찾아낸 미술교육에의 함의는 '소통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미술 창작 교육의 필요성이다. 창작자들에게 '날개와 뿌리'를 모두 제공하며,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체성의 형성을 돕는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술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교육의 중요성과 미술교육의 개념 확장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