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2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문제 16

3. 용어정의 17

1) 다문화 가정 17

2) Satir 가족치료 기반 집단미술치료 17

Ⅱ. 이론적 배경 18

1. 다문화가정 모-자 18

1) 다문화가정 18

2) 다문화가정 모-자의 의사소통 19

2. Satir 가족치료 이론 21

1) Satir 가족치료의 개념 21

2) Satir 가족치료 과정 22

3. 다문화가정과 집단미술치료 24

Ⅲ. 연구방법 26

1. 질적 사례연구 26

2. 연구 참여자 28

1)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 28

2) 연구 참여자 선정 과정 29

3) 연구 참여자 30

3. 모-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6

1) 프로그램 구성 36

2)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확보 37

3) 프로그램 내용 38

4) 프로그램 진행 41

4. 연구절차 42

1) 자료 수집 43

2) 자료 분석 44

5. 신뢰도 및 타당도 45

6. 윤리적 고려 46

Ⅳ. 연구 결과 47

1. 노력해도 되지 않는 것 48

1) 나의 노력을 포기시키는 아이들 48

2) 외국인 엄마로서 느끼는 한계 50

3) 전전긍긍하는 상황이 피곤함 51

4) 잔소리와 간섭을 피하고 싶음 52

5) 자녀가 느끼는 억울함 53

2. 미술이 담아주는 나의 마음 54

1) 방어와 긴장을 낮추는 미술 54

2) 미술로 털어놓는 가족에 대한 마음 58

3)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미술로 표현함 61

4) 미술치료로 즐거움을 느끼고 마음이 정화됨 66

3. 반복되는 문제의 사슬을 끊어냄 69

1) 상처받아서 대화하기 싫었어요 69

2) 아픔을 공유하고 치유함 71

3) 힘들었지만 필요했던 대화의 시간 73

4. 함께 성장하는 우리 74

1) 잘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한 자세의 변화 74

2) 협동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신경쓰고 배려함 77

3) 활동 후 긍정적인 기분을 느끼고 엄마는 자녀의 새로운 모습을 알게 됨 79

5. 강화된 마음 80

1) 다른 가정이 좋은 자극제가 됨 80

2) 자녀에 대한 신뢰가 늘어남 81

3) 감정적 연결이 강화됨을 느낌 83

Ⅴ. 논의 및 결론 86

참고문헌 91

부록 1. 동의서 99

ABSTRACT 100

〈표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9

〈표 2〉 A가정 모-자 32

〈표 3〉 B가정 모-자 35

〈표 4〉 본 연구의 모-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8

〈표 5〉 프로그램 진행 과정 41

〈표 6〉 연구절차 42

〈표 7〉 집단미술치료 경험에서 나타난 의미 47

〈그림 1〉 A가정 어머니의 동물가족화 55

〈그림 2〉 A가정 자녀의 동물가족화 55

〈그림 3〉 B가정 어머니의 동물가족화 56

〈그림 4〉 B가정 자녀의 동물가족화 56

〈그림 5〉 A가정 어머니의 감정 조각 58

〈그림 6〉 B가정 어머니의 감정 조각 59

〈그림 7〉 B가정 자녀의 가계도와 기적의 반지 59

〈그림 8〉 A가정 자녀의 4단계 말하기 60

〈그림 9〉 B가정 자녀의 4단계 말하기 60

〈그림 10〉 A가정 어머니의 앨범 표지 61

〈그림 11〉 A가정 어머니의 나무 62

〈그림 12〉 B가정 어머니의 앨범 표지 62

〈그림 13〉 B가정 어머니의 가계도와 기적의 반지 63

〈그림 14〉 A가정 자녀의 감정 조각 64

〈그림 15〉 A가정 자녀의 화산 64

〈그림 16〉 B가정 자녀의 감정 조각 65

〈그림 17〉 B가정 모자의 협동화(1) 65

〈그림 18〉 A가정 자녀의 앨범 표지 66

〈그림 19〉 A가정 모자의 상호작용 난화 66

〈그림 20〉 B가정 모자의 상호작용 난화 67

〈그림 21〉 A가정의 우리 집 67

〈그림 22〉 B가정 모자의 우리집 68

〈그림 23〉 A가정의 가족조각(1) 신체표현 70

〈그림 24〉 B가정의 가족조각(1) 신체 표현 70

〈그림 25〉 A가정의 되고 싶은 우리 모습 71

〈그림 26〉 B가정의 되고 싶은 우리 모습 72

〈그림 27〉 A가정 모자의 협동화 75

〈그림 28〉 B가정 모자의 협동화(2) 76

〈그림 29〉 B가정의 가족조각(2) 미래의 우리 가족 77

〈그림 30〉 A가정의 가족조각(2) 미래의 우리 가족 78

〈그림 31〉 B가정 어머니의 영향력 나이테 81

〈그림 32〉 B가정 어머니의 사진 앨범(안) 83

〈그림 32〉 A가정 어머니의 추억의 맛 84

〈그림 33〉 B가정 어머니의 추억의 맛 84

〈그림 34〉 A가정 자녀의 사진 앨범(안) 85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모-자의 Satir 가족치료 기반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살펴보고,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가정 모-자의 의사소통 특성을 고려하여 Satir 가족치료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다문화가정 모-자 2쌍에게 주 1회, 90분씩,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체 회기 과정 및 사전면담, 연구자와 관찰자의 관찰기록, 참여자의 발표 내용, 미술작품, 사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Creswell(2016)의 질적자료분석 방법에 따라 코드의 의미생성, 범주화, 주제 형성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정 모-자의 집단미술치료 참여 경험의 의미는 총 5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노력해도 되지 않는 것〉, 〈미술이 담아주는 나의 마음〉, 〈반복되는 문제의 사슬을 끊어냄〉, 〈함께 성장하는 우리〉, 〈마음의 강화〉이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소통의 단절과 모-자관계의 불편감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서 자기감정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표현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표현의 즐거움과 정화의 감정을 체험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모-자 사이가 가까워지는 것을 방해하는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었으며, 모-자 사이의 관계가 재통합되는 시간을 경험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것을 느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모-자 관계가 변화되고, 친밀감 및 애정 등 모-자 사이의 결속이 이전보다 강화되는 것을 느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모-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중심의 집단미술치료를 시도하고,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다문화가정 모-자의 억압된 정서가 해소되는 경험, 모자 관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경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 모-자를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가정의 미술치료 접근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