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제1장 서론 10
제1절 문제제기 및 목적 10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3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15
제2장 공자 교육사상의 가능 근거: 天·德·性 18
제1절 인간에 대한 믿음: 天·德 18
1. 孔子의 인본사상근원 18
2. 인간에 내재된 天의 발현: 德 21
제2절 人性의 보편가치: 性相近 29
1. '性相近'의 의미 29
2. '性'과 '天道'의 관계 33
제3절 이상적 인간상 君子: 習相遠 37
1. 習의 의미와 실천성 37
2. 이상적 인간상 君子 42
제3장 『논어』의 교육내용: 仁 47
제1절 仁의 실천의 근본: 孝·悌 51
1. 孝·悌를 통한 실천교육 51
2. 현대사회에서 孝의 實踐 59
제2절 仁의 내면적 확장: 忠·恕 62
1. 忠·恕를 통한 실천교육 62
2. 현대사회에서 忠·恕 적용 67
제3절 仁의 외부적 표출: 詩·禮 70
1. 詩를 통한 감성교육 71
2. 禮를 통한 외형교육 77
제4장 『논어』에서의 교육방법: 修養 86
제1절 爲己之學을 통한 人格陶冶: 修己 86
1. 爲己之學을 통한 심리적 人格陶冶 87
2. 自己修養의 방법 91
제2절 공자의 교육방법: 治人 103
1. 자발적 학습 103
2. 점진적 계발식 교육 107
제3절 時中의 원칙: 中庸 110
1. 時中의 자세 110
2. 時中의 맞춤교육 115
제5장 결론 124
참고문헌 128
ABSTRACT 132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야기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인간 갈등 속에서 현실적 대안으로 다양한 역량이 요구되는데, 그중 가장 시급한 과제는 바로 교육이다. 현재 우리는 그동안 서구의 교육 및 문화 체계의 도입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다소 거두었으나, 전통 교육과 문화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정립하지 않은 채 서구의 교육체계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적지 않은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도덕적 인격완성을 위한 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교육이 '爲人之學'에 초점에 맞춰져 있는 현 상황에서 공자의 교육사상은 '爲己之學'을 제시하며 올바른 가치관과 인격 함양 등을 가르치는 교육으로써 현 문제점의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孔子는 인간 중심의 철학이며, 인간관계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있고 인간에 대한 절대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論語』를 통해서 살펴보면, 새로운 天을 인간의 德으로 내재화를 하여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연결하였다. 이것을 유학에서는 天人合一이라고 한다. 공자에 의하면 본성은 서로 비슷하지만 후천적인 習에 의해 서로 멀어졌다고 하여 후천적인 習의 영향력에 의해 멀어진 본성을 習의 실천인 학문의 노력으로 회복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런 학문의 노력을 꾸준히 하는 인간이 공자가 말하는 이상적 인간상인 君子이다.
공자의 핵심 사상인 仁은 인간의 선천적 본질이자 다른 덕목들을 포괄하는 최상의 덕목이다. 仁의 실현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바탕으로 부모와 형제를 사랑하는 孝·悌로 시작하여 忠·恕로 점차 타인에게 확장함으로써 진정한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는 타인을 배려하는 이타적인 마음으로써 易地思之를 통한 공감으로 타인을 헤아리고 포용하는 보편적인 도덕성이다. 이러한 도덕성을 바탕으로 공자는 조화롭고 정의로운 이상사회를 이루고자 하였다.
또한 공자는 詩와 禮의 교육을 강조하였는데, 詩는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드러나게 하고 절제하도록 하는 것이며, 禮는 내재된 仁을 표출하기 위한 외형적 형식이다. 즉 詩와 禮는 공자의 교육사상에 있어 仁한 마음을 외부적으로 드러내는 실천 방법인 것이다.
공자는 '爲己之學'을 통해 자기수양의 목적을 제시하고 있으며, 도덕적 인격 함양을 위한 수양을 바탕으로 본성을 회복하고 인간 주체성을 확립함으로써 심리적 人格陶冶를 이루고자 하였다. 즉 修己를 통해 도덕적 인격자인 군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더 나아가 자기수양의 발전단계의 완성은 법도에 어긋나지 않는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유학은 사욕을 극복하고 본성을 회복함으로써 나부터 세계까지 점차 확장하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완성을 목적으로 하는 修己의 학문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족, 국가 세계 질서를 안정시키는 타인 완성을 목적으로 하는 治人의 학문이라는 점에서 현대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도덕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듯 공자의 교육사상은 도덕적 인격완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전인교육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인간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배움이 무엇이고, 서구 패러다임 속에서 정형화된 교육의 틀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교육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대한 고민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공자의 교육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