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4

1.2. 선행연구 검토 16

1.2.1. 학술 담화의 헤지 표현 연구 16

1.2.2. 일반 담화의 헤지 표현 연구 20

1.3. 연구 대상 및 방법 23

제2장 이론적 배경 28

2.1. 학술적 발표 장르 28

2.2. 헤지 표현 36

2.3. 학술적 발표와 헤지 표현 49

제3장 학술적 발표에서의 헤지 표현 사용 양상 분석 62

3.1.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62

3.1.1. 명제 내용의 모호화 63

3.1.2. 명제 내용의 보편화 66

3.2. 단언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68

3.2.1. 가능성 표현 68

3.2.2. 추측 표현 72

3.2.3. 피동 표현 78

3.2.4. 부정 표현 80

3.2.5. 필요성 표현 82

3.2.6. 인지동사 구문 83

3.3. 참여자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89

3.3.1. 화자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90

3.3.2. 청자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92

제4장 학술적 발표의 헤지 표현 95

4.1. 학술적 발표의 헤지 표현 사용 빈도 분석 95

4.1.1.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99

4.1.2. 단언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103

4.1.3. 참여자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112

4.2. 한국어교육을 위한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교육 내용 113

4.2.1.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교육 목적 및 목표 114

4.2.2.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교육 내용 116

4.2.3.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 교육의 실제 117

제5장 결론 124

참고문헌 127

ABSTRACT 132

〈표 1-1〉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발표 자료 24

〈표 1-2〉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술적 발표 자료 25

〈표 2-1〉 Hyland(2009)의 학술 담화 장르 30

〈표 2-2〉 홍은실(2014)의 일반 목적 발표와 학문 목적 발표의 유사점과 차이점 34

〈표 2-3〉 Prince, Frade & Bosk(1982)의 헤지 표현 분류 39

〈표 2-4〉 Hyland(1998)의 헤지 표현 기능별 분류 41

〈표 2-5〉 신명선(2006)의 한국어 헤지 표현 분류 43

〈표 2-6〉 신영주(2011)의 기능적 측면에서의 헤지 표현 분류 44

〈표 2-7〉 이준호(2012)의 형태적 측면에서의 헤지 표현 분류 45

〈표 2-8〉 이금희(2021)의 담화 전략적 차원에서의 헤지 표현 분류 47

〈표 2-9〉 홍윤혜(2014)의 연구 발표에서의 헤지 표현 실현 형태 50

〈표 2-10〉 고재필(2017)의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51

〈표 2-11〉 고재필(2017)의 '발화 수반력'과 '화시 중심'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53

〈표 2-12〉 장아남(2018)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교육 항목 54

〈표 2-13〉 김현정(2023)의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유형 55

〈표 2-14〉 나은선(2023)의 학술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유형 56

〈표 2-15〉 학술적 발표의 헤지 표현 유형 59

〈표 4-1〉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 사용 빈도 96

〈표 4-2〉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 사용 빈도 97

〈표 4-3〉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의 사용 빈도 100

〈표 4-4〉 외국인 학습자의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의 사용 빈도 102

〈표 4-5〉 한국어 모어 화자의 '단언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의 사용 빈도 104

〈표 4-6〉 외국인 학습자의 '단언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의 사용 빈도 104

〈표 4-7〉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 복합 형태 유형 108

〈표 4-8〉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 복합 형태 유형 109

〈표 4-9〉 가능성 표현과 헤지 표현의 결합 구성 사용 빈도 110

〈표 4-10〉 한국어 모어 화자의 헤지 표현 3개의 복합 형태 유형 111

〈표 4-11〉 학술적 발표의 헤지 표현 유형 목록 116

〈그림 1〉 Swales(1990)에서의 학술 담화 관련 장르의 관계성 31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가 실제 학술적 발표에서 어떠한 헤지 표현을 사용하는지 그 형태와 의미·기능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적 측면에서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의 헤지 표현에 관한 연구는 학술 문어 담화인 학술 텍스트를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며, 헤지 표현의 유형 또한 학술 텍스트에서 실현된 헤지 표현을 중심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학술 구어 담화인 학술적 발표에서의 헤지 표현을 분석하여 학술 텍스트와는 변별되는 학술적 발표에서의 헤지 표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술 구어 담화와 학술 문어 담화 그리고 일반 구어 담화에서 나타나는 헤지 표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아 학술 구어 담화인 학술적 발표에서의 헤지 표현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유형을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실제 학술적 발표 영상에서 나타나는 헤지 표현의 형태와 의미·기능에 대한 사용 양상과 빈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때 연구 자료로 한국어교육학 전공의 대학원 수업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발표 영상 18개와 30개를 분석하였다.

학술적 발표에서 나타나는 헤지 표현을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과 '단언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 그리고 '참여자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으로 크게 나누어 보았을 때,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 모두 '단언', '명제 내용', '참여자'에 나타나는 헤지 표현의 순서로 높은 사용 비율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사용 양상은 학술적 발표의 장르적 특성이 나타나는 헤지 표현에서 여러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자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은 학술 텍스트나 일반 구어 담화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헤지 표현의 유형으로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사용 양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명제 내용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은 '모호한 지시 표현'에서 학술적 발표의 담화적 특징이 나타났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외국인 학습자의 사용 양상이 낮게 나타났다. '단언에 작용하는 헤지 표현'은 2개 이상의 헤지 표현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복합형의 헤지 표현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외국인 학습자에 비해 더 다양하고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사용 빈도 분석을 통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학술적 발표에서 장르적 특성이 나타나는 헤지 표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의 사용 양상 분석에서 더 나아가 한국어교육적 측면에서 학술적 발표 헤지 표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