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제1장 서론 10

제2장 선행 연구 15

1. 적합한 전류 제공 방법 16

2. 배터리 카테고리화 18

3. 선행연구의 한계점 19

제3장 연구방법론 21

1. RAC+: 필요한 저항 분석 24

2. RAC+: 보다 적은 저항을 사용하는 방법론 27

제4장 결과 33

1. 배터리 시뮬레이션 및 실험 환경 33

2. 분리에 따른 저항 변화 34

3. 분리에 따른 부하 변화 36

4. 저항 감소와 부하상승에 따른 선택 37

5. 배터리 구성에 따른 결과 분석 38

제5장 결론 40

참고문헌 41

ABSTRACT 43

그림목차

그림 1. 선행연구(RAC[4]) 개요 15

그림 2. RAC+ 개요 23

그림 3. 예시 2의 저항 구성도 25

그림 4. 예시 2의 저항 구성에서 분리를 한 차례 진행한 모습 29

그림 5. 카테고리에서 분리할 배터리 선정 방법 30

그림 6. 분리로 인해 줄어드는 저항 35

그림 7. 분리로 인해 증가하는 부하 36

그림 8. 저항과 부하를 병합한 결과 37

그림 9. 유리한 배터리 구성에서 결과 38

그림 10. 불리한 배터리 구성에서 결과 39

초록보기

 본 논문은 Battery Management System(BMS)에서 관리하는 battery balancing을 다룬 선행연구에서의 발전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battery balancing 방식인 active와 passive와 달리 선행연구는 충전과정과 동시에 balancing을 달성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해당 방식은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를 비슷한 충전상태로 묶고 묶인 배터리에 적절한 저항을 달아 충전상태에 맞는 충전전류를 제공했다. 선행연구는 배터리를 충전상태에 맞게 분류하는 방법과 분류된 배터리를 재구성하여 적절한 전류를 제공해 balancing을 달성했다. 그러나 적절한 전류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저항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여 불필요한 저항을 구비하는 한계점을 드러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점이 가지는 문제를 극복하고자 RAC+라는 방식을 제안한다.

RAC+는 저항에 대한 논의 부족으로 불필요한 저항을 구비하는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분류된 배터리에 맞는 저항을 구비하여 필요한 저항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다. Balancing 성능은 해치지 않으면서 배터리에 적합한 전류를 위한 저항을 확보한 이후 본 논문은 이보다 적은 저항으로도 일정 수준의 balancing을 달성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RAC+에서는 적절한 전류를 지원하기 위해 배터리 연결에 귀속되어 있는 저항을 제거하는데 1) 분리할 배터리 연결을 선정하는 방법과 2) 분리된 배터리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저항을 덜어내는 과정은 balancing 성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불러온다. 본 논문은 RAC+의 배터리 연결 분리 및 이를 통한 저항 덜어내기가 일으키는 balancing 성능감소에 대해 분석한다. 이 정보는 RAC+를 통해 balancing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본인이 가지는 자원의 수준에 맞게 시스템에 구비되어야 하는 저항의 수준을 정할 수 있도록 한다.